몇 주 전 한국일보 ‘여성의 창’에서 ‘공감 백’ 글 한 편을 만났다. “나는 오늘 X을 쌌다.” 발칙하게 들리지만 진실성이 담긴 글이었다. 공감이 갔던 건 나도 비슷한 경험을 몇 차례 해봤기 때문이다. 그때 얼마나 힘들었는지, 말로는 이루 표현이 힘들다. 디그니티(품위) 완전상실! 가까운 화장실이 내 구세주일 뿐! 그나마 다행히 일은 안 벌렸으나 그 후유증으로 며칠간 영육 간으로 심히 고생했다.
오늘 쓰려는 글의 논지도 그 글의 결론과 비슷하다. 인간은 별거 아니라는 사실. 대단한 품격의 언행을 하고 그 유지를 위해 모든 환경들을 동원시키는 능력을 소지한다 한들, 내 괄약근 하나도 내 맘대로 조절 못하는 존재가 인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도 감사하게, 그 근육이 쉽게 조절될 때 찾아오는 그 만족감이란 실로 대단하다. 역시 인간은 별거 아니다.
언제부턴가 아내와 나누는 아침인사말이 이렇게 바뀌었다. “지난밤 잠 잘 잤소?” 잠이 하루출발의 주제가 된 것이다. 지난밤 잠 잘 자면 오늘 하루가 만족이다. 잘 못 자면 하루가 힘들어진다. 불면증에 시달리거나, 매일 잠 조절의 실패를 경험하는 이라면 이 인사말의 무게를 실감할 것이다. 인간은 이처럼 잠 하나에 삶의 희비가 엇갈리는 존재에 불과하다.
아내나 나나 젊었을 땐 잠에 있어서만큼은 거의 문제가 없었다. 난 잠돌이, 아내는 잠순이 별명을 갖고 있을 정도였다. 누가 뭐랄까 딸과 아들도 그렇다. 그들은 우리의 그 유전자를 타고난 것 같다. 얼마나 잠을 잘 자는지. 가만 놔두면 하루 24시간 끄떡없이 잔다. 분명코 우리부부도 과거엔 그랬다. 그래서 젊은 시절 목회할 때 새벽기도 하는 게 힘들었다. 누가 새벽기도를 만들었나, 라고 원망(?)하며 그 시절을 보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 많이, 깊이 잘 못 자고 있다. 특히 아내는 갱년기를 통과하면서 이게 매우 심해졌다. 우리부부는 지금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상황에 와있다.
먹는 게 낙이던 시절, 하고 싶은 운동 맘대로 하던 시절, 몸 삐끗한 것 정도는 탈탈 털고 금방 일어나던 시절, 그땐 유명인사의 요절이 비현실적으로만 느껴졌다. 워커홀릭 대기업 회장님, 살 빼겠다고 나선 유명연예인, 올림픽 메달리스트 운동선수, 정말 영원히 살 것 같아 보이는 그들이 어느 날 급작스런 건강이상증세로 유명을 달리했다는 보도를 접할 때면, 지금은 이 질문이 내게 더 자연스럽다. “그들은 잠은 잘 잤을까?” 잘 먹고, 골라 먹고, 최고의 트레이너를 동반한 규칙적인 운동을 잘했다 해도, 그들은 정말 잠은 잘 잤을까? 이게 궁금한 것이다. 아마 지속적인 불면증이 그들의 요절에 한 몫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시편 127편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자에게는 잠을 주시는도다.” 목사이면서도 전엔 이 말이 무슨 말인지를 잘 몰랐다. 그땐 잠을 잘 잤고, 그래서 “그럼,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제일 사랑 받는 자인가?”라고 자연스럽게 여기던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하나님의 그 사랑을 의심할 정도로 잠이 잘 컨트롤되지 않는다.
그래서 잠 하나에 일희일비하는 우리네 인생이 한심하다고? 그건 또 아니다. 말하고 싶은 건 역으로 그 반대다. 한심한 게 아니라, 잠 때문에 오히려 인생의 본질을 생각할 수 있게 된 게 더 감사하다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경험할 때 더 성숙해진다. 한계 경험이라는 게 그럼 내 맘대로 해보겠다고 해서 찾아오는 그런 것이던가? 그렇지 않다. 한계는 내 인생에 대개 느닷없이 쳐들어온다. 그때 그걸 잘 받아들이며 나의 연약함을 응시할 줄 안다면, 그 순간 난 자동적으로 지혜롭고 성숙해진다.
하나님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자에게 잠을 주신다는 의미를 깨닫게 된 이 시점에 난 이미 많이 겸손해졌다. 잠 하나도 조절할 수 없을 만큼 연약해진 날 여전히 여러 모양으로 기억하고 계시는 하나님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는 것이다. 사도 바울의 고백에 그래서 더 동의한다. 연약할 때 오히려 더 강해진다는 그의 ‘역설적 인생법칙’말이다. 아, 감사하다! 잠으로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알게 되었으니! 이것이 오늘 내게 찾아온 ‘잠의 신학(sleep theology)’이다.
<
김 숭 목사 / 새크라멘토 크로스포인트교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