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갑자기 오늘은 기름진 고기나, 매콤한 찌개처럼 특정한 맛에 식욕이 동할 때가 있다. 이는 체력이 떨어지면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배가 고파지는 것과 비슷하게, 우리 몸에는 어떤 특정한 기운이 모자랄 때 그 모자란 기운을 특별하게 보충해 줄 수 있는 음식에 대한 식욕이 생기는 자연적인 메커니즘이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산모가 원하는 음식이 바로 태중의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음식
특히 여성들의 경우 임신했을 때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뱃속의 태아를 위해 이러한 본능이 훨씬 더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태중의 아이가 만들어 지는 과정에서 그 신체를 형성하기 위해 특정 영양소가 특별히 많이 필요해지는 시기가 있는데, 이 때 산모는 그 특정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음식에 대한 식욕이 동한다고 한다. 즉 산모가 입덧을 하는 중에 특정한 종류의 음식을 원할 때는 입맛이 가는 대로 충분히 먹어주는 것이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더 유익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임산부가 아닌 일반인들의 경우는 어떨까? 몸에 좋은 것은 입에 쓰다는 말이 있는데, 우리는 건강을 위해 건강에 좋을 법한 맛없는 음식들을 챙겨먹어야 할까? 아니면 임산부처럼 입맛이 가는 대로 먹어도 될까? 한의학에서는 몇 가지 조건만 맞출 수 있다면 먹고 싶은 음식만 골라 먹는 것이 오히려 더 건강에 유익하다고 본다.
음식의 맛은, 그 음식의 성질을 알려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
자연과 우리 몸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운을 한의학에서는 그 특성에 따라 다섯가지로 나누어 편의상 오행이라는 이름으로 분류한다. 이 오행은 자연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되며 특히 특정한 음식의 맛으로 나타날 때 이를 오미(五味)라 한다. 그래서 어떤 음식이 특정한 맛을 더 강하게 품고 있다면 이는 그에 해당하는 오행의 성질을 그 음식이 더 많이 품고 있기 때문이다.
편식으로 오히려 건강해질 수 있는 이유
그러므로 어느날 갑작스레 특정한 맛이 나는 음식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면, 이는 우리의 몸이 해당기운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우리의 뇌에 보내는 신호 때문이다. 즉, 입맛이란 기본적으로 우리 몸에 부족해진 오행의 기운을 알려주는 체내의 알람 시스템이다. 그러니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의 종류를 일일이 분석하는 것보다는, 입맛대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쉽게 우리 몸이 느끼는 부족함을 보충할 수 있는 방편이 된다.
음식의 다섯가지 맛과, 그에 따른 효과의 차이
오미는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가지 맛으로 구분하는데, 아 각각의 맛은 고유한 성질이 있다. 가령 신맛은 흩어진 것을 수렴하고, 쓴맛은 습한 것을 건조하게 하고, 단맛은 급한 것을 늦추고, 매운맛은 맺힌 것을 완화하고, 짠맛은 굳은 것은 연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우리 몸속에 있는 특정 장기를 자극하여 각 장기가 가진 기능을 도와주는데, 이를 한의학에서는 신맛은 간을 돕고, 쓴 맛은 심장을 도우며, 단맛은 비장을 돕고, 매운맛은 폐를, 짠맛을 신장을 돕는다 라고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간의 기운이 떨어지거나 간이 특별히 더 많은 일을 해야만 하는 상황(음주나 임신같은…)에 처하게 되면 우리 몸에는 ‘신맛’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는데, 이럴 때는 그저 입맛대로 “신맛”이 나는 음식을 먹으면 간에 도움이 된다. 다만, 신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간의 기운이 넘쳐 쌓이게(정체) 되는데 이또한 다른 종류의 병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하자. 만약 이런 경우가 생기면 한의학에서 사법이라 하여 간의 기운을 억제하기 위해 매운맛의 음식을 섭취하여 폐의 기운을 보충하면 오행의 관계에 따라 간의 기운이 진정된다.
과식, 지나친 양념을 사용하는 식습관은 우리 몸의 알람 시스템을 망가뜨린다
물론 과유불급이라 하여, 좋아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특정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한다면 이것이 병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평소에는 잘 찾지 않던 특정한 입맛에 대한 욕구가 갑자기 생긴다면 이는 어쩌면 우리 몸에서 보내는 ‘특정한 영양소와 기운의 충전을 위한 필요성’에 대한 신호라 볼 수 있다. 문제는 한국인의 요리문화가 보통 재료 자체의 맛 보다는 갖은 양념의 맛을 즐기는 식으로 발전되어 왔기에 우리가 땡기는 입맛이 ‘음식의 재료가 가진 기운’ 그 자체보다 ‘특정 양념이 주는 자극성’에 대한 끌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우선은 최대한 인공적인 양념이 배제되어 재료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식으로 조리된 음식을 즐기는 식 습관으로 먼저 바꾸고 나서, ‘입맛대로 먹는’ 습관을 가진다면 더욱 더 좋을 것이다.
문의 (703)942-8858
<
정호윤 <예담한의원 원장>>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