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타는 일본 규슈 북서쪽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마을 규모는 작을지 몰라도 이곳이 한일 양국사에서 갖는 의미는 작지 않다. 이곳은 일본 도자기 문화의 본고장이고 그 중심에 도산신사가 있다. 이 신사는 임진왜란 때 끌려온 도공 이삼평을 기리는 사원이다.
공주 출신으로 알려진 이삼평은 정유재란 때 사가현의 번주 나베시마 나오시게에게 끌려와 도자기 생산 책임자로 임명되며 그가 가마를 연지 300년이 되는 1917년 이곳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진다. 이 기념비문에는 “이삼평은 우리 아리타의 도조임은 물론, 일본 요업계의 큰 은인이다. 현재 도자업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은 그 은혜를 입고 있어 그 위업을 기리어 여기에 모신다”라고 적혀 있다.
일본인들의 이삼평에 대한 존경심은 일제 강점기인 1913년 그의 일본 이름 가나가와 산페이를 이삼평으로 바로 잡은 데서도 알 수 있다. 아리타산 도자기를 뜻하는 ‘아리타야끼’는 일본은 물론 서양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1650년대 첫 수출된 이래 70년 동안 700만 점이 넘게 팔려나갔다고 한다.
여기서 그다지 멀지 않은 규슈 남쪽 사쓰마에는 그곳 번주 시마즈 요시히로에게 남원에서 끌려온 박평의 등 80여명의 도공이 정착했다. 이들이 만든 ‘사쓰마야끼’라는 도자기도 ‘일본 최고의 백자’라는 명성을 얻으며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
1597년 일어난 정유재란은 일본에서 ‘도자기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많은 조선의 도공이 일본으로 끌려갔다. 그 후 20년의 세월이 흐른 뒤 조선 정부는 강제로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인들의 송환을 위해 ‘회답 및 쇄환사’를 파견했다.
그러나 끌려온 도공들은 대부분 본국 귀환을 거부했다. 조선에서 천민이나 다름없는 취급을 받은 반면 일본에서 이들은 번주의 절대적인 지원 속에 사무라이와 같은 대접을 받았다.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조선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삶을 살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만든 도자기는 훗날 다시 일본을 일으켜 세우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1854년 페리 제독에 굴복해 일본이 문호를 개방하고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근대화를 가장 먼저 수용한 곳은 규슈 지역이었다. 지리적으로 서양 문물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점도 있었지만 근대화에 필요한 자금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사가의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도자기를 주력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면서 여기서 나온 돈을 근대 제철기술 개발에 사용했다. 사쓰마의 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 역시 ‘집성관’을 세워 제철과 대포 제작에 성공했으며 군함까지 만들었다. 이 때 재원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정유재란 때 끌려온 도공의 후예 심수관이 주임을 맡은 백자 공장이다.
일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전국을 통일한 후 쇄국 정책을 폈지만 나가사키 인근에 데지마라는 인공섬을 만들고 1641년부터 1859년까지 네덜란드와의 교역과 문물교류를 허용했다. 서양을 향해 창 하나는 열어 둔 셈이다.
반면 조선은 임진왜란 이전은 물론 그 후에도 도공들과 그들이 만든 물건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고 이들은 천대했을 뿐 아니라 1653년 네덜란드인 하멜이 표류해 조선에 상륙했을 때도 넓은 세상에 대해 알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일본이 서양의 무력에 굴복해 문을 열고 1871년 이와쿠라 사절단을 미국과 유럽에 보내 선진 문물을 배울 때 조선은 같은 해 신미양요라는 승리 아닌 승리에 취해 쇄국정책을 내걸고 굳게 문을 닫았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 만약 조선이 도공들을 일본처럼 우대해 그 가치를 알아보고 도자기를 서방에 수출할 수 있었다면, 하멜을 포로가 아닌 서양문물 수입의 창구로 활용했더라면, 신미양요를 서양의 실체를 바로 아는 계기로 삼았다면,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일도, 지금처럼 남북으로 갈려 으르렁대는 일도 아마 없었을 것이다.
지금 한일관계는 사상 최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은 한국대로, 일본은 일본대로 상대 나라에 대한 반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이 이를 부추기고 있다. 세상에서 제일 하기 쉬운 것이 남 탓하기다. 일본이 저지른 범죄는 마땅히 규탄해야 하지만 한편으로 자신의 잘못은 없는지 돌아볼 필요도 있다. 반성하지 않으면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은 개인이나 국가나 마찬가지다.
<
민경훈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5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한국인은 모래알 ! 일본인은 진흙 !
민경훈위원의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저자의 주장에 동의합니다. 우리는 한일합방이 마치 우리국민들의 전반적인 잘못인것처럼간주하고 우리자신을 지나치게 비판하고 자학하는경항이 있읍니다. 일본강점의 원인은 위정자 즉 왕실의 잘못과 식민지 시대의 국제적인 추세가 원인이지 우리 국민의 잘못은 아닙니다. 우리국민은 약하지만 끈질기게 독립적이고 강인합니다. 지금도 나라가 망할까봐 걱장하는데 기우입니다. 대한국민 만세
일본을 이길려면 우리가 잘 살아야합니다, 잘 살려면 지금으러선 통일박에 별도리가 없습니다, 죽일놈 망할놈 멸공 반공 아무리 외처보았자 통일 안됩니다, 화공 친공으로 믿음을 이해를 서로할때 통일에 가차워지고 국방비 적게쓰고 국민들은 두다리뻣고 생에 전념해 행복하게 살수있습니다, 일본 인들 욕할 기운있으면 통일 할수있는 좋은 생각으로 머리를 맛대고 의논하는게 우리에게 더 많은 이익이 될겁니다.
그렇죠? 사실은 일본도 중국도 우방이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