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포드가 명콤비를 이뤘던 “내일을 향해 쏴라”는 1969년 세계적으로 히트한 영화였다. 서부개척 당시 두 무법자, 선댄스 키드와 부치 캐씨디의 굵고도 극적인 일생을 그린 작품이었는데 그 무대가 와이오밍이었다.
선댄스는 주 경계의 인구 불과 1,000여명 남짓한 소읍. 용암 더미가 5,000 피트나 솟은 악마의 탑(Devil‘s Tower)에서 동쪽으로 15마일, 옛 인디언 성지, 블랙 힐로 가는 길목에 터 잡은 선댄스 키드의 본거지였다.
그의 단짝, 부치 캐씨디는 독실한 모르몬 가정에서 자랐다. 그러나 일찍 떠돌이가 되어 정육점에서 일한 탓에 부치(Butcher의 줄인 말)란 별명을 얻었다. 서부 개척사에소 이들만큼 은행 약탈과 열차강도에 신출귀몰한 무법자도 없었다고 한다. 타고난 용맹함과 치밀성, 그리고 위트 넘치는 명석함으로 전설적인 명성과 악명을 동시에 얻었다.
이들은 남미까지 내려가 광산임금차를 털다 매복한 볼리비아 군대에게 결국 사살 당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 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포드가 서로를 엄호하며 군대의 집중사격을 뚫고 뛰쳐나가는 잔상이 아직도 진하게 남아있다.
에너지 붐이 휩쓸던 80년대 초, 나는 첫 직장을 와이오밍에서 잡았다. 그리고 5년을 살았었다. 엑손, 텍사코 등 굴지의 회사들이 새 유전과 광산을 개발하고 우라늄 채굴이 가속화됐던 그 즈음, 주 환경청도 급속도로 팽창하던 때였다.
나는 환경 담당관으로 한반도보다 넓은 와이오밍 주를 구석구석 다녔다. 수질정화법에 의해 새로 설치된 오염 처리시설들과 지하수 관리현황을 감리하는 일이 주된 임무였다. 다니면서 산재한 서부개척자들과 인디언들의 자취를 직접 살펴볼 기회도 얻었다.
감옥 벽에 끄적인 선댄스 키드의 육필 낙서, 캐씨디 일당의 ‘벽구멍’이란 비밀 아지트, 총잡이 버팔로 빌의 윈체스터 라이플, 오리건 트레일의 라라미 요새 등, 곳곳의 유적들이 보존돼 있었다. 대부분 백인들의 서부개척을 미화하는 전설로 살아있었다.
그러나 나는 이름 없는 벌판에 흩어진 인디언들의 돌무덤 앞에서, 서부개척의 명목으로 희생된 한 많은 그들의 숨은 전설을 들었다. ‘어느 인디언의 시’로 구전돼 온 노래가 바람에 실려 왔다.
“내 무덤 앞에 서지 마세요... / 나는 그곳에 없답니다 / 나는 그곳에 잠들지 않았어요 / 나는 떠도는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옛 와이오밍 황야는 샤이엔과 수 인디언들이 주인이었다. 이들은 말 잘 타는 용사들로 지천이던 버팔로를 사냥하며 평화롭게 살았다. 그런데 1803년 미 연방정부가 프랑스와 루이지애나 매입협약을 맺고 광대한 이 지역을 사들인 후, 백인들의 발걸음이 잦아지기 시작했다.
당시 인디언 추장들은 ‘붉은 구름(Red Cloud)’과 ‘성난 야생마(Crazy Horse)’였다. 그들은 성지를 사수할 각오로 백인들과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치렀다. 전투마다 기병대의 총칼 앞에 인디언들은 학살당했다. 그러나 1876년 여름, ‘성난 야생마’는 ‘리틀 빅혼’ 들판에서 기습적 전략으로 카스터 장군 휘하 제 7기병대를 몰살시키고 말았다.
그러나 승리도 잠깐, 미 정부는 이를 구실로 인디언들을 블랙 힐에서 영원히 몰아냈다. 성지를 빼앗긴 채, 그들은 사방으로 흩어졌다. 선댄스 키드 일당들도 이때 블랙 힐로 금을 찾아온 백인 이주민들의 한 떼였던 것이다.
아픈 인디언들의 역사가 절절해도, 와이오밍 성지 끝자락 옐로스톤은 아무 일도 모르는 듯, 백치처럼 아름다웠다. 끝없이 들어찬 침엽수림, 매시간 뜨거운 물줄기를 50m나 뿜어내는 충직한 종 같은 간헐천, 그리고 300미터 깊이로 병풍처럼 펼쳐지는 황금색 협곡...
이 절경 중 아직도 내 뇌리에 가장 선명한 건 옐로스톤 호수 위에 뜬 달이었다. 조상 뼈를 묻은 신성한 땅을 다 빼앗기고, 한겨울 내륙 깊숙이 피신해 들어온 그 무리들이 본 달은 얼마나 차갑고 비통했을까? 그러나 신비롭게도 그 밤의 달은 금강석처럼 빛났다. 바람이 또 지나갔다.
“나는 흰 눈 위 금강석의 빛남입니다 / 익은 곡식 위를 내려 쬐는 태양 빛입니다 / … 나는 무덤 앞에 빛나는 부드러운 별빛입니다 / 내 무덤 앞에 서지 마세요 / 그리고 울지 마세요 / 나는 그곳에 없답니다 / 나는 죽지 않았답니다.”
‘붉은 구름’과 ‘성난 야생마’의 숨결은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아직도 살아있다.
<
김희봉 수필가 Enviro 엔지니어링 대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알렉산더대왕, 징기스칸, 나폴레옹 등 정복자들의 이름은 역사에 화려하게 기록되지만 그들에게 희생된 수많은 목숨들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다. 그게 인류역사의 큰 물줄기이다. 일만년전 수메르문명에는 억울한 죽음이 없었겠는가? 잉카의 하루 수만명씩의 인신공양은 어떻게 봐야 하나? 특정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나친 감상적 해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