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섯살이던 해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2차세계 대전이 마지막으로 접어들던 무렵, 우리 식구들은 아버지의 유언을 따라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대아리란 곳으로 소개를 가서 약 이년간 살던 적이 있다. 그 당시 좀 돈께나 있던 집안들은 미군들의 폭격을 피해 시골로 피난을 갔던 것을 소개라고 불렀다.
나는 지금도 가끔 눈을 감으면 내가 어릴적 살던 그 황해도 땅이 그림처럼 떠오르곤 한다. 내 생전 그곳을 한번 가볼 수 있을까 생각하며 그때마다 그리운 마음이 들곤 한다. 왜냐하면 그 시절은 아버지는 돌아가셨으나 엄마가 계셨고, 언니 둘과 오빠까지 함께 살던 행복한 유년시절이었기 때문이다.
조그마한 집 뒤에는 얕으마한 동산이 있었고 밤이면 승냥이나 여우들이 우는 소리로 으스스 몸이 시리던 밤, 아침이면 갓 낳은 달걀을 가지러 닭장의 작은 둥지를 뒤져 따뜻한 온기가 느껴지는 달걀을 꺼내오던 기억이 새롭다.
앞에는 툭 터진 논들이 끝없이 펼쳐졌고 조금 걸어 나가면 늘 깨끗한 물이 흐르던 개울도 있어서 여름엔 동네 아이들과 함께 붕어도 잡고 또 멱도 감으며 즐겁게 놀았다.
며칠전 남북의 수뇌가 판문점에서 만나는 역사적인 장면을 보면서 나는 먼저 75년 전에 떠난 그 황해도 땅을 생각했다. 한국인의 피를 가진 사람이라면 이념이나 정치적인 이해 관계를 떠나 너나 없이 가슴이 뭉클하는 순간을 경험했을 것이다.
그동안 고국의 뉴스를 보면서 김정은이 나올 때마다 꼭 살찐 돼지를 연상시켰던 그가 그날은 그래도 ‘좀 귀여운 데가 있는 친구네’ 하는 생각을 하면서 사람의 마음이 참 간사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고 놀랐다.
두 정상이 손에 손을 잡고 군사 분계선을 넘나드는 것을 보고 정말 전쟁의 공포는 없어지고 이제부터 그 땅의 평화가 시작되지는 않을까하는 기대로 가슴이 부풀어오르기도 했다.
나는 이산 가족도 아니고,실향민도 아닌데 이렇게 기분이 들뜨고 좋은데 정작 고향을 잃은 자나 가족들과 헤어져 오랫동안 오매불망하던 사람들의 심정은 어떨까를 생각해보니 새삼 그들의 고통과 슬픔이 이해되기도 했다.
나는 그곳에서 약 이년을 살다가 해방을 맞아 그해 가을 기차도 타고 작은 배로 갈아타면서 몽금포라는 항구에서 마포까지 왔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부터 지금까지 우리 가족들의 삶은 아슬아슬했고, 또 육이오 전쟁과 이 먼 미국 땅까지 이민을 와서 현재까지 무사히 살고 있다는 그 자체가 기적처럼 느껴진다.
내 또래 나이들은 모두가 다 이 말을 이해한다. 제 각기의 삶은 다 달랐지만 우리들은 비슷한 환경에서 함께 전쟁과 배고픔과 가난을 겪었고, 전쟁의 참혹함을 경험한 후에 이 미국땅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가지 역경을 겪었다. 그리고 이제 아이들은 모두 떠나고 살만해져서 이곳 라스모어라는 은퇴촌에 마지막 둥지를 틀었다.
우리들이 아침마다 운동 후에 간단한 아침을 먹고 여럿이서 나누는 대화는 참으로 다양하다.
얼마 전에 이곳 코리안 대표로 있는 분이 이메일을 보내셨는데 이런 말이 쓰여 있었다. 자신이 일생 중에 제일 잘한 것이 미국에 이민 온 것이고 또 이곳 라스모어에 정착한 일이라는 것이다. 여기 사는 사람들은 다 이 말에 공감한다. 이곳은 살수록 정말 천국 같은 곳이라는 생각이 절로 난다.
김정은이 한 말 중에서 우리는 모두 한 민족, 한 핏줄, 한 문화를 가진 같은 민족인데 남쪽으로 오는 길이 여지껏 너무 오래 걸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방명록에 ‘새로운 역사, 역사의 출발점, 평화’라고 썼다.
우리 큰 언니가 올해 91살이 되시는데 언니는 열아홉살 때 그곳 황해도에서 큰 지주의 아들에게 시집을 가셨고, 불행히도 그분이 일본으로 가시는 바람에 오랜 세월을 헤어져 있다가 51년만에 미국 땅에서 다시 만나 재결합을 하셨다. 그리고 오년을 함께 사시다가 그분은 돌아가셨다. 정말 소설 같은 이야기다.
이제 개성 공단도 다시 시작이 되고 금강산도 개방이 된다면 어쩌면 나도 여행객들 속에 끼어 그 잊었던 이북 땅을 함께 한번 밟아볼 수 있지 않을까.
옛날 옛적 내가 아주 꼬마였을 때 엄마 손을 잡고 황해도 땅을 기차를 타고 신나게 달렸을 때처럼, 이제는 흰머리칼을 날리며 그때처럼 또 그곳을 한번 가볼 수 있을까. 그 생각을 하니 어느덧 내 두눈에 눈물이 고인다.
아! 그땅! 아마 그 땅과 산천은 여전하지만 그때 함께 있던 사랑하는 사람들은 지금 내 옆에 아무도 없다. 그러나 그 땅은 내 유년의 추억 속에서 지금도 가슴 속에 별처럼 빛나곤 한다.
<
김옥교 칼럼니스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