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교육·고소득 비율 높은 곳 ‘잔류’ vs 낮은 곳 ‘탈퇴’
▶ “금융위기 후 소득격차 심화·기득권층에 거부감”
영국 국민투표에서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이끈 동력은 노인과 저소득, 저교육층이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개표 결과를 토대로 브렉시트 찬반 성향과 해당 선거구가 지닌 인구구성의 주요 특질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는 도표를 내놓았다.
이는 출구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여론조사가 결과예측에 실패해 신빙성을 잃은 상황에서 투표 결과의 원인을 엿볼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된다.투표 결과와 가장 뚜렷하게 상관관계를 보인 인구구성 특질은 소득, 교육, 주민의 출생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을 받은 주민이 35% 이상이 있는 선거구의 주민은 거의 모두 잔류 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주민이 35% 미만인 선거구에는 잔류보다 탈퇴 성향을 지닌 곳이 눈에 띄게 많았다.
잔류가 무려 75%에 육박한 런던의 금융가 '시티 오브 런던' 선거구는 고등교육 주민의 비율이 70% 육박했다. 이에 비해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이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기록된 보스턴은 탈퇴 표가 75%를 차지했다.
가디언은 "잔류 표를 던질 지역의 확실한 특질은 대학학위를 지닌 주민의 비율"이라고까지 설명했다.
소득을 보면 연봉 중간값이 2만5천 파운드(약 4천만원)를 넘어서는 곳에서는 잔류 성향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연봉 중간값이 그보다 낮은 곳들에서는 탈퇴가 훨씬 많았다.
고소득자 비율이 전국 최고인 웨스트민스터는 잔류가 69%를 차지한 반면 비율이 가장 낮은 블랙풀은 탈퇴가 67.5%로 집계됐다.
소득, 교육과 함께 영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주민이 많은 곳에서는 잔류 지지가,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탈퇴 지지가 많아지는 현상도 관측됐다.영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소득, 교육, 이주와 브렉시트 성향의 상관관계는 정치적 이유로 잔류 성향이 두드러지는 스코틀랜드에서만 예외였다.
일단 이민자들이 많은 지역이 토박이가 많은 지역보다 잔류세가 두드러진 것은 난민사태로 인한 반이민 정서로 쉽게 풀이된다.
저교육, 저소득 지역에서 탈퇴 성향이 강했던 것도 이민자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불만이 주민들 사이에서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OECD에 따르면 영국에서 제조업 고용률은 세계화 추세와 함께 2000년 이후 3분의 1이나 떨어졌다.
저소득, 저교육층 노동자들은 그나마 줄어든 일자리에서 EU 회원국 출신 주민이나 대규모로 밀려드는 난민과 함께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몰린 셈이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의 조사 결과에서는 저소득, 저학력층은 물론 장년·노인층이 'EU 탈퇴'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고브는 투표에 참여한 4천772명을 상대로 조사해 투표가 끝나자마자 결과를 공개했다.
유고브의 조 트와이먼 정치사회연구소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투표 성향 분석에서 젊은층은 '잔류'에, 노년층은 '탈퇴'에 표를 더 많이 던졌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를 비교하면 50∼64세, 65세 이상에선 탈퇴가 각각 56%, 61%로 높게 나왔다. 반면 18∼24세와 25∼49세 유권자에게선 탈퇴(25%, 44%)보다 잔류(75%, 56%) 의견이 많았다.또 중산층(ABC1)의 60%는 잔류에, 40%는 탈퇴에 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노동자층(C2DE)의 60%는 탈퇴를 선택했고 40%는 EU에 남는 것에 찬성했다.
교육수준별로는 대학교육 경험이 있는 유권자의 71%가 잔류를 택했지만 그보다 낮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유권자 가운데 잔류를 찍은 비율은 45%로 집계됐다.
최근 유럽을 휩쓸고 있는 반세계화, 반엘리트, 빈부격차에 대한 불만 정서도 저소득층, 저교육층의 탈퇴 성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유럽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소득수준 양극화와 기득권층에 대한 분노와 불신 풍조가 커졌고 이번 국민투표 캠페인 과정에서도 그런 현상은 계속 감지됐다.
국제통화기구(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영국 중앙은행 등이 탈퇴의 악영향을 경고할수록 오히려 탈퇴 여론이 거세지는 현상이 여론조사로 확인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둘러싼 기득권층에 대한 불신이 2008년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고 캠페인 과정에서 지적한 바 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영국에서 10명 중 9명은 전문가들을 믿지 않는다"고 불만과 불신 풍조를 소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