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 time no see, 제임스! 바빴어?”
“ 하이. 미스 수잔.” 나는 늘 여사님을 미스라고 불렀다. “아니야. 나 할머니야. 놀리지 마!” 깡마른 팔과 손은 유독 길고, 커보였다. 천진한 소녀 같고 다정했다.
운명하시던 당일 날 아침식사를 아들과 함께하시고 11시에 출타하는 아들을 배웅한 후 오후 3시께 주무시듯, 행복하게 떠나셨다고 전하는 크리스티나의 말에 눈물이 배어 있었다. 그리움은 날이 갈수록 커질 것이다. 뒤뜰 처마에서 들려오는 인경소리가 여사님의 쾌활했던 목소리로 들린다. 2년 전 백영중 선배의 장례식에서 뵌 것이 마지막이었다.
"제임스. 왜 그리 안보여…” 손등을 두드리며 맞이하는 모습이 왠지 쓸쓸해보였다.
몇 해 자주 찾아뵙지 못했다.
2003년부터 흥사단 미주위원부총무직을 맡으면서 여사님을 가깝게 뵐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혼자로는 과분해 가끔 주변 분과 동행하기도 했다. 여사님을 더 가깝게 만든 것은 도산선생과 조개단추이다. 1973년 도산선생을 서울 망우리 공동묘소에서 지금의 도산공원으로 이장할 때, 시커멓게 타버린 유골 속에서 묻어나온 조개단추에 대한 기고문이었다.
주운 5~6개의 조개단추로 미뤄볼 때일제가 도산선생의 장례를 어떻게 치렀는가를 알 수 있었다. 장지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닫기 힘든 산꼭대기.
곡도 없이 염도 없이 병원 복에 덮고있던 마포에 말아 큼직한 석회관 속으로 내던졌던 것이다.
여사님도 가파른 길을 여러분들의 부축을 받으며 참석하셨지만, 내가전해준 조개단추 얘기는 남달랐던것 같다. 그 후 나를 지인들에게 소개할 때마다 도산 선생님의 조개단추라고 하셨다. 92회 생신파티에서는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주변에서 나를가리켜 일본인, 필리핀인, 몽고인, 심지어 에스키모인이냐고 묻기는 했어도 그 누구도 한국인이냐고 묻는 사람이 없었다”고 술회하셨다.
장례식의 조문객들은 모두가 아름다운 덕담으로 여사님을 환송했다. 그러나 나는 여사님께서 내게 주신 3가지의 과제를 앞에 두고, 깊은회환을 느끼고 있다. 늦었고 미흡하지만 이에 대한 대답을 드리고 싶다.
2003년 도산선생 탄신 125주기를 계기로 제 90차 흥사단 미주대회를 LA에서 치렀다. 보시기에 흡족하셨던지 그 후에 내게 하신 말씀이다.
첫째는 “흥사단을 일으켜 달라”는 것이었다. 흥사단은 도산선생의 분신이다. 오랫동안 흥사단 소식이 끊기고 소문조차 들리지 않던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북미주지역에 10개의 지부와 보스턴과 중가주까지 12개 지역에서 흥사단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흥사단 운동은 글로벌시대에 맞게 UN NGO에 가입해 새로운 진로를 찾고, 캄보디아에 도서관도 건립하고 있다.
둘째 소원은 “아버지의 생신을 성대히 차려 달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우리 사회가 응집되고, 성숙한 민족으로 발돋움하길 바라셨다. 2007년 9월초. 도산의 이름아래 활동하는 모든 분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데 뜻을 같이 하고, 날짜와 장소, 스폰서까지 준비된 상태였다.
그러나 준비하는 과정에 연휴가 끼었고, 팩스전송이 백지가 되어버렸다. 결국 행사진행이 차질을 빚었다. 작은 실수로 그 행사를 성사시켜드리지 못한 점을 사죄드린다. 그 후 필립 커디가 여사님을 모시고 1.5세 2세들을 중심으로 훌륭하게 사업을 펼쳐주었다. 1주일 전에는 그들을 위한 펀드레이징에도 참가하셨다.
끝으로, 참으로 어려운 말씀을 용기 있게 해 주셨다. "수산 할머니, 돈이 없어. 자서전 ‘버드나무 그늘아래에서…’를 좀 사게 해줘.” 각 지부를 통해 얼만큼은 기대했지만, 결과는 그리 도움이 돼 드리지 못했다. 여사님도 여느 독립운동가들 가정과 같이 어려웠다. 미 정부에서 받는 남편과 여사님의 연금으로 생활해 오셨다. 한국정부는 노무현 정권 이전까지 해외 독립유공자에 대한 연금제도가 없었다. 다행히 지금은 도산선생을 해외 독립유공자 중 최고로 예우하고 있다고 한다.
여사님은 오랜 세월을 살아오셨다.
그러나 국운이 상승하고 대단한 한국인이라는 말이 회자되기 시작한 것은얼마 되지 않는다. 역사는 반복한다. 그러나 안수산 여사님이 살아온 질곡의 역사가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한국인의 국민성을 은근과 끈기로 표현해왔다. 그러나 지금은 냄비근성으로 표현한다. 요즘 한국사회는 억지가 너무 심하다. 생각 없이 너무 쉽게 들끓는다. 이성을 잃은 것 같다.
우리가 가장 경계하는 일본인들은 국가의 안정과 이익을 위해서 개인의 주장을 유보하고, 국가와 한 몸이 된다. 바로 지금 아베정권 아래서의 반한 감정이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이다.
항상 웃고 박수치며 우리를 응원해 주시던 여사님의 모습이 선하다.
안수산 여사님! 염려마시고 평안히 쉬세요. 원래 우리는 오뚜기 같은 민족, 넘어지면 일어나고 짓밟히면 솟구쳐 오르는 당찬 민족이지 않습니까. 여사님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민족의 정신을 세우는 일에 더욱 더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