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1월1일 아침에 몹시 심한 두통과 욕지기 때문에 깨어났다. 새해 첫날 아침의 숙취라니. 이로써 나는 3번째 숙취 경력을 쌓게 되었다.
이번 숙취는 철학교수(철학교수들을 조심하라!)가 초대한 섣달그믐 파티 때문이었다. 그녀의 집 전체는 ‘죄의 제단’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그 중엔 ‘흡연’ ‘키스’ ‘초컬릿’ 그리고 ‘알콜’의 ‘제단’도 있었다. 특히 ‘술의 제단’에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술 종류가 많았다. 보드카, 진, 럼, 데킬라, 4종류의 위스키와 무지개처럼 밝은 수많은 종류의 단 술들.
그녀는 2개의 바텐더 책을 펼쳐 놓고 보면서 술들을 섞어 주었는데 그 중엔 ‘오르가즘의 외침’ 등 웃기거나 음흉한 이름의 술들도 있었다. 호기심이 발동했던 난 그녀의 멋진 화학실험 결과들을 조금씩 수없이 마셔봤다.
물론 그녀는 술꾼마다 집에 데려다 줄 정신 말짱한 사람이 있는 지를 확인한 후에 술을 내주었다. 나중엔 그냥 주고 말았지만. 파티가 막판에 이르면서 그녀와 난 브라운 대학의 한인 철학자 김재권 교수에 대한 얘기까지 나누게 되었다. 그는 ‘정신(마음)’에 관한 철학으로 대단히 유명한 교수다(1950년도에 유학생으로 미국에 와 정착했다). 철학에 관심 많은 전산과 교수들도 흥미를 갖고 읽는 그의 책은 읽기가 아주 어렵고 딱딱하다.
술에 취했기 때문이었을까? 그 뻣뻣한 소재는 우리의 대화 속에서 아주 부드러웠다. 그에 관해 논문을 썼다는 그녀도 그에 대해 그렇게 부드럽게 얘기해 본적이 없었다고 했다.
나는 술 문화에 그다지 민감한 편은 아니다. 부모님이 술을 마시지 않았고 나 역시 그랬으니까. 숙취의 첫 경험은 1980년대의 한 섣달 그믐날로 학생 시절 혼자 아파트에 살 때였다. 수퍼마켓에서 싸구려 샤도네를 한 병 사서 다 마셨었다. 그 경험은 하도 지겨워서, 지금도 누가 프랑스 산 고급 화이트 버건디 (화이트 버건디는 샤도네 포도로 만들어졌다)를 권하기만 해도 속이 울렁거리기 시작한다.
내 친구들은 내가 술에 취해본 적이 많지 않다면 놀란다. “넌 한국에서도 살았었잖아! 일본에도 갔었잖아! 거기 문화에선 술을 뺄 수가 없다는데”
물론 기회는 많았다. 하지만 외국인이었던 덕분에 권하는 술을 공손히 거절하는 일이 별로 어렵지 않았다.
한국 술에 대한 내 입맛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소주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맥주는 그저 괜찮은 정도였다. 막걸리는 입에 맞았다. 그리고 동동주는 상당히 좋아했다. 그렇지만 그건 내 생애 두 번 째 숙취의 원인이기도 했다.
멋진 자기 그릇에 담긴 하얀 술과 바가지. 넓은 대접에 그 차가운 술을 부어 입에 대는 맛이란! 한 친구가 인사동의 한 식당에서 진짜 홍어회 맛을 소개하던 날이었다. 홍어회의 암모니아 냄새가 너무 지독해서 동동주를 계속 마셔댔다. 얼마나 많이 마셨는지는 알 수 없었으나 마루에서 일어설 때 난 확실히 비틀거리고 있었다(마루에서 오랫동안 가부좌하고 앉아 있어야 하는 서양인들에겐 술이 아주 훌륭한 근육이완제가 되어 버티기가 더 쉽다는 말도 이미 들은 터였다). 그곳을 나온 우리는 찻집으로 가 좋은 차를 오랫동안 마셨다. 그랬는데도 나는 지하철을 타러 갈 때도 비틀거렸다. 그 날 밤 지하철 5호선엔 술 취한 승객이 결코 나뿐만이 아니었다.
다음날은 휴일이 아니어서 아침 일찍 일을 가기 위해 일어나야 했다. 숙취의 경험이 많지 않은 터라 나는 지금도 그 아침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
때는 가을이었다. 좁은 골목골목의 작은 가게들을 지나면서 차곡차곡 쌓인 감들을 보던 기억이 난다(한국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가게의 과일들도 바뀌던 것이 참 신기했다. 내 기억이 맞는다면, 감 전에는 배였고, 그 전에는 참외였다).
그리고 그 아침의 소리도 생생하다. 우리 아파트 2층엔 피아노를 배우는 학생들이 있었다. 웬일인지 그 아침에 모두 바흐의 미뉴엣을 연습하는 게 아닌가. 바흐의 ‘애나 맥다레나 책’의 그 유명한 곡. 4개의 창문에서 똑 같은 곡이 울렸나왔다. 각기 다른 스피드로 겹쳐져서 흘러나오는 그 피아노 소리는 마치 20세기의 실험곡 같았다. 아, 그 소리는 내 두통을 더욱 견딜 수 없게 했다.
그런데도 난 오늘 이날까지 동동주를 사랑한다. 감, 바흐 그리고 머리가 깨질 듯한 두통을 생생하게 기억나게 할지라도.
북켄터키 대학 전산과 교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