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민족의 상징
모국어 가치 되새겨야
수년 전 저는 미국 주류사회 교육계에 풀타임으로 일하면서 2년제 대학에서 재미삼아 파트타임으로 대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교육 시스템에서 언어교육에 대해 배운 점을 한국어 교육자들이 한글 교육에 응용하도록 교사 트레이닝 및 교장 리더십 강사로 초대되어 강연해 주기도 합니다. 미국에 사는 많은 한인 학생들이 대학생이 되어 자신이나 부모의 모국어 즉 heritage language를 배우며 그들의 문화적 자존심(cultural pride)을 새롭게 발굴하는 기회를 모색하느라고 한국어를 대학에서 선택하여 공부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학생들이 초중고 시절에는 ‘fit in’하기 위해 영어만 사용했지만 대학에 가서 ‘renewed sense of ethnic pride’(새로운 민족적 자긍심)이 생겨 모국어를 다시 배우려고 하는 ‘heritage speakers’가 많이 늘어나는데, National Heritage Language Resource Center는 이러한 현상은 자신들의 뿌리를 다시 찾고, 자기 자신과 다시 연결하는 기회라고 말하는 heritage speakers들의 얘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미국 교육계에서의 오랜 경험, 특히 ESL-요즘은 ELD(English Language Development)라고 함―교육, 다문화 교육 분야에 직접 관련했던 경험을 종합하여, 미국 교육 시스템의 이론과 실제를 미국에서 자라나는 2세들의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접목시키는가를 늘 생각해보고 가끔 강연도 하게 됩니다.
미국 전국 외국어 교육 지침서에 따르면 외국어 교육에는 반드시 5C’s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 Communication(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 Culture(문화)
● Comparison(대조)
● Connection(연결)
● Community(영어권 커뮤니티)
학습자들의 현저한 능력 차이, 동기 유발,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 학습자들의 정신적 연령과 관심에 맞춘 학습 환경조성 등, 이러한 전문성을 요하는 한국어 교육을 한국어 교육자들이 계속 연구하고 배워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질 높은 한국어 교육은 우선 전문적 훈련을 받은 한국어 교육자로부터 시작됩니다. 한국어 교육자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1.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배우는가를 알기, 효과적인 클래스 룸 매니지먼트를 배우기
2. 한국 문화를 한국어 교육에 통합시키기
3. 언어 습득 이론을 배우기
4.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가르치는데 대한 이론과 방법: 예컨대, 한인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과 타인종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이 구분되어야 할 것입니다.
5. 미국 주류사회에서 강조하는 교육방법, 즉 협동적 수업, 공동 프로젝트를 통한 학습, 높은 사고력 개발을 위한 언어교육, 문제 해결력을 강조하는 언어교육
6. 인간의 두뇌발달에 기초를 둔 언어 교육
7. 미국 교육 시스템의 외국어 교육 지침서에서 강조하는 점을 알기
8. 학습자 중심의 교육,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학습
9. 주제식 학습
10. 미국 내 다른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화 유지에 대한 역사 및 노력, 그리고 그들과의 networking: 중국 커뮤니티는 대학에서 중국어를 가르치는 교수, 초중고의 중국어 프로그램, 주말 중국어학교 교육자들이 모두 합쳐서 파워풀한 컨퍼런스를 하고 중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어 교육자들도 주말학교 교사 및 교장들, 대학의 한국어 교수들, 미 주류사회에서 일하는 초중고 교육자들이 함께 조인트 벤처로 연구, 지식, 현장경험을 합치면 더욱 의미 있고 변화된 모습의 한글교육으로 도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들 중심의 한국어 교육 activities를 몇 가지 소개합니다.
● 학생들이 당면하고 있는 이슈를 한국어로 연극 각본을 써서 연극해 보기(skit)
● 음악을 통해서 언어를 배우기: 영어공부에 ‘Singlish’라는 프로그램이 있듯이, 노래하면서 한국어 배우는 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가족사진을 가져와서 그 사진에 대해 말하거나 글을 써보기
● 엄마와 아빠가 어떻게 만났는지 부모를 인터뷰하여 발표하거나 글을 써보기
● low-level 사고력 질문을 피하고 high-level 사고력 질문을 하기: 예를 들면 추석에 대해 가르칠 때, “추석에는 무슨 떡을 먹지?”라는 질문보다는 “한국의 추석과 미국의 추수 감사절을 비교 대조해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얘기해 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한국 신문에 나오는 광고를 읽고 무슨 뜻인지 서로 얘기해 보기
● 학생들의 연령에 따라 신문광고를 써보기(애견, 자동차, 악기, 아파트 렌트)
● 책을 읽은 후 그 주인공에게 편지 써보기
2세 한국어 교육에 학부모들의 태도도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어와 영어를 똑같은 가치의 귀중한 언어로 대접해야 합니다. 영어는 value하고 한국어는 devalue하면 자녀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태도가 좋을 수 없을 것입니다.
어느 라틴계 시인은 “나의 언어는 내 영혼의 피”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유대인 언어학자인 조수아 피시맨은 그의 책 Language Loyalty in the United States에서 self-identity, family unity, occupational opportunity를 위해 반드시 주말 언어학교에서 열심히 언어와 문화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언어는 꼭 의사소통의 수단만이 아니고, 어느 민족을 상징하는 상징적 역할도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교육상담 문의: DrSuzieOh@gmail.com
수지 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