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단체 AATK, NAKS 공동벤처 모색하고
교사연수 행사도 더 깊이 있고 실속 있게
여름방학이 끝나기 전, 미주 한국학교 중서부 지역 주말 한국학교 교육자들을 만나서 미국에서 자라나는 2세들에게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역사를 가르치는데 대한 여러 가지 전문적 지식, 경험 및 직면하고 있는 도전에 대한 해결방안 등을 교환하였습니다.
교사들을 위한 연수에는 ‘한국문화와 역사를 주제(theme)별로 한국어 커리큘럼에 통합시키는 방법’‘Thinking Maps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제가 발표하였고, 교장들을 위한 웍샵에서는 ‘리더십; 어떻게 학부모, 교사, 학생들을 더 나은 한국어 교육을 위해 변화시키나’에 대해 얘기했습니다.
우선 교사들에게 주말학교 교사로서 어떤 점이 가장 힘 드는지 물었더니 ▲학생들의 태도와 행동관리 ▲교재와 교사 지침서가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을 수용하기에 제한적인 점 ▲클래스 컨트롤 및 학급 경영 ▲학생들 동기유발 시키는 점 등이 가장 힘들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교장들에게 주말 한국학교 운영에 있어 가장 도전을 받는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더니 ▲일부 학부모들이 주말학교를 값싼 베이비시팅으로 간주하고 수업시간 시작보다 늦게 애들을 데려오고 아예 결석을 자주 하는 점 ▲가르치는 열정과 애들에 대한 애정 및 인내심과 언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모두 갖춘 교사를 구하기 힘든 점 ▲이사들이나 코리안 커뮤니티 리더로부터 구체적인 도움을 받는 방법을 모색하는 점 등을 지적했습니다.
미국 내 주류사회 외국어 교육자들도 이제는 각 소수민족들의 주말 언어학교들을 헤리티지 랭기지 스쿨(Heritage Language Schools)이라고 부르며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어 학습 전문성을 위한 단체들도 여러 개 있습니다. AATK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는 주로 미국대학에서 가르치는 한국어 교수들로 조직되어서 일 년에 한 번씩 컨퍼런스를 열고, NAKS(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Schools)는 주로 주말 한국어 교육자들로 구성되어 한국 정부의 보조를 받아 일 년에 한 번씩 컨퍼런스를 열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제 의견으로는 AATK나 NAKS가 함께 조인트 벤처(joint venture)로 공통적인 이슈로 전문적인 대화를 나누는 계기가 있었으면 합니다. 또 남가주의 미국 주류사회 초중고 교육자들의 단체인 KAEA(Korean-American Educators Association─한미 교육자협회)에도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코리안 듀얼 랭기지 프로그램(또는 Immersion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에서 가르치는 교사들, 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외국어로 가르치는 교사들이 있으며 제 자신도 KAEA의 고문(advisor)으로 있습니다.
위의 세 단체, KAEA, AATK, NAKS가 좀 더 리서치에 의거하고 연구, 이론, 실제, 현장이 연결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전문화된 한국어 교육의 실천을 추구하기 위해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봅니다.
1. 우선 한국어 교육 정책가들이나 지도자들이 교사 연수에 대한 상식적인 이론과 실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Showers 및 Bruce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교사연수에는 5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①awareness(인식) ②knowledge acquisition(지식 습득) ③skills acquisition(가르치는 기술 습득) ④application(현장 적용) ⑤follow-up & coaching(현장 적용해 본 뒤에 추후 지도)
2. 교사연수 계획을 할 때 여러 가지 제목을 많이 다루어 충분한 시간도 할당하지 못하고 서두르는 것보다, 해마다 한국학교 교사들과 교장들에게 needs assessment survey(필요한 점이 무엇인지 연수를 계획하기 전에 미리 의견조사)를 하여 그 중 주제를 몇 개만 선택하여 그 제목에 대해 깊이 시간을 충분히 주어 다루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3. 교사 연수회를 한번 하고 나서 배운 점을 몇 개월 뒤에 교사들이 현장에서 적용한 학생들의 웍 샘플(student work sample)을 가지고 와서 교사들끼리 서로 가르친 경험(best practices)을 나누는 점이 파워풀합니다. 또 교재 박람회(instructional fair)도 열어서 서로 교재 및 부교재를 모든 교사들이 공유했으면 합니다.
4. 주말 학교의 교실 중 모두를 클래스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교실 하나는 티처 웍룸 또는 티처 리소스 룸으로 교사들이 수업하기 전 30분쯤 일찍 와서 수업준비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교재물과 장비를 갖추어 놓았으면 합니다.
5. 각 교장들이 매주 토요일 수업시작 전 교사회의가 있는 학교가 있는데, 물론 학교마다 여건과 사정이 다르겠지만, 교장이 교사에게 해야 될 통지사항은 서신으로 해서 교사 웍룸에 두고 그 시간은 교사들이 준비하도록 주고, 한 달에 한 번씩만 교장과 교사가 수업 전 회의를 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6. 신임교사들은 수업에 처음부터 혼자 들어가지 말고 한 달쯤은 경험 있는 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는 기회를 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7. 교사들이 많은 주말 한국학교에서는 그 중 잘 가르치고 인간관계도 원만한 교사는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지 않고 멘토 티처(mentor teacher)로 신임교사들이나 오래 가르쳤지만 발전이 없는 교사들을 도와주고 직접 수업도 해 보이며(demonstration) 교사들을 도와주면 어떨까요?
8. 학부모님들이나 고등학생들을 자원 봉사자로 트레이닝 하여 학부모님들은 교통정리, 휴식시간 간식 제공, 학생들 감독, 교실에서 보조교사로 봉사하도록 해보세요. 그런데 반드시 트레이닝을 미리 시켜야 합니다.
9. 어떤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영어공부는 중요시하고 한국어 공부는 덜 중요시하는 태도를 갖지 않도록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0. 한국학교 평가를 학생 수(quantity)로만 크라이티리아(criteria)로 삼지 말고 교사들의 질적인 가르침과 학생들의 배움도 감안하도록 학교평가 체크 리스트를 더 포괄적(comprehensive)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지 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