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 깁슨은 연기보다는 제작과 감독에 더 열심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기보다 제작-감독에 주력”
16세기 초 중미 마야문명의 몰락기를 배경으로 한 도주와 추격의 액션 스릴러이자 문명비판 영화인 ‘아포칼립토’(Apocalypto-지난 8일 개봉, 주말 3일간 1,400만달러의 수입을 올리며 흥행 1위)의 감독 멜 깁슨과의 인터뷰가 지난 5일 베벌리힐스의 포시즌스 호텔에서 있었다.
흰 셔츠에 푸른색이 감도는 타이를 매고 정장을 한 깁슨은 처음에는 다소 긴장하는 듯 냅킨으로 이마의 땀을 닦기도 했다. 그러나 인터뷰가 진행되면서 깁슨은 큰 제스처에 큰 눈을 위로 치켜뜨면서 농담과 위트를 섞어 답변했다. 그는 매우 다혈질이었는데 자신이 넘치다 못해 오만해 보였다. 하고 싶은 말을 아무 여과 없이 하는 사람이었는데 반유대인 발언에 대해 뉘우치는 기색이 안보였다. 인터뷰 후 함께 사진을 찍으면서 한국 사람이라고 나를 소개하자 깁슨은 “김정이 일(Ill-병들다)하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해 같이 크게 웃었다.
영화인 책무는 사람을 즐겁게 해줘야
폭력 판치는 세상, 사실 그대로 표현
-당신의 영화 ‘그리스도의 수난’과 달리 이 영화는 반종교적으로 보인다. 평화롭게 사는 주민들을 종교의식의 제물로 바치기 위해 약탈자들이 납치해 갔으니 말이다.
▲그렇지 않다. 난 단지 당시 문화적 사실에 충실했을 뿐이다.
-영화가 너무 폭력적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이 영화는 ‘브레이브 하트’(깁슨의 오스카 작품, 감독상 수상작)보다 덜 폭력적이다. 진짜로 끔찍한 장면은 사실 볼 수 없다. 그러나 세상이 폭력적인 것은 사실로 그것을 다루려했다.
-당신은 과거 문명에 집착하는 것 같은데 그것은 현재로부터의 탈출을 뜻하는가. 현대에 관한 영화를 만들 계획은 없는가.
▲내가 현대 영화를 만든다면 아마 난 십자가에 매달린 채 불 타 죽었을 것이다. 현대영화를 만든다면 가벼운 것을 만들겠다. 나는 역사가 반복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로마인이나 그리스인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내가 과거 역사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그 것이 내 상상력을 불태워주기 때문이다.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기 위해 우리는 촬영하는 동안 고고학자들이 다른 지역에서 발굴한 유적의 벽화를 본 따 세트의 벽화를 그렸다.
-당신의 개인적 삶에서 영화 제목처럼 새 시작은 어떤 모양을 갖출 것이며 또 당신이 아내에게 보여준 가장 최근의 로맨틱한 제스처는 무엇이었나.
▲오래 산 사이지만 여자란 여전히 신비다. 로맨틱한 제스처로는 정원의 꽃을 한 아름 따다주었는데 모두 죽은 꽃들이었다. 새 시작에 관해서는 모르겠다. 모두 새 시작을 원하면서 30년 전으로 되돌아가 다시 시작하기들을 원하는 것 같다.
-당신이 지금까지 거쳐 온 개인적 여정에 관해 말해 달라.
▲그것은 배움의 과정이다. 난 균형 잡힌 삶을 살고 있다. 약간 중심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우리는 모두 결점과 근심, 공포에 갇혀 살고 있다.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한 것도 바로 공포다.
-당신은 한 인터뷰에서 이 영화를 맨발 도주의 액션과 스릴과 재미가 있는 영화라고 소개했는데.
▲영화인으로서 첫째 책무는 보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영웅주의를 신화적 스타일로 얘기했다. 영화란 어느 특정 층을 위해 만들어서는 안 된다. 모두가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첫째가 재미, 둘째는 교육, 그리고 셋째는 관객을 보다 높은 지경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영화인이 3대 임무다.
-영화에서 마야인 들은 죽음을 여행으로 생각하는데 당신의 죽음에 대한 생각은.
▲우리는 모두 죽음에 대해 당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고 나도 마찬가지다.
-영화에서 부유하고 강하고 사악한 자들이 자신들보다 정신적으로 나은 사람들을 파괴하는 것이 요즘 세상과 똑같은데 그로부터 600년이 지난 지금 인간은 과연 정신적으로 진화했는가.
▲인간 정신은 늘 세상이 우리에게 가하는 불의와 핍박에 시달려 왔다. 보통 돈 많고 권력 있고 사악한 자들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것이 현실이다. 난 우리가 정신적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 인간이 영혼 적이 될 때는 어려움에 봉착할 때로 그것은 일시적 현상일 뿐이다.
-당신은 낙천적인가.
▲그렇다. 세상에는 뉴스와 달리 좋고 훌륭한 사람들이 많다.
-영화는 마야문명이 내부 폭발로 멸망했다고 묘사했는데.
▲지나친 소비주의로 인한 자연환경 파괴가 그들의 문명 파괴의 근원이었다. 그리고 권력의 부패도 거기에 일조를 했다. 이것은 로마나 희랍 때도 마찬가지다. 늘 그래왔다. 이 영화는 그 같은 것에 대한 설교조가 아닌 경고의 의미도 조금 지녔다.
-폭력이 너무 자심한데.
▲그렇지 않다. 침입자가 아이들을 죽이는 장면은 멀리서 찍었고 또 인간 제물의 심장을 꺼낼 때도 손이 직접 가슴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은 볼 수 없다. 모두들 날 폭력적이라고 질타하기를 좋아한다. 난 단지 관객들을 속였을 뿐이다. 여러분들이 이 영화보다 훨씬 끔찍한 ‘텍사스 전기톱 대살육 Ⅳ’를 보면서 살인행위를 웃어넘길 수 있는 것은 여러분들이 그 영화의 주인공과 아무런 감정적 연계를 맺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객들이 내 영화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그의 안전을 염려하기 때문에 영화가 더 폭력적으로 느껴질 뿐이다.
-왜 더 이상 카메라 앞에 안 서는가.
▲나는 다른 사람을 통해 카메라 앞에 선다. 연기에 대해 전연 그리워하지 않는다. 난 그동안 영화에 너무 많이 나왔다. 흥미 있는 소재가 발견되면 연기를 할지도 모르지만 정말 지루한 일이다.
-개인적 실수를 하고도 상을 받고 또 그 잘못이 우스갯거리로 취급 받는 영화인들도 있는데 당신은 세간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지는 않다. 당신이 스스로를 표적으로 만들 때 표적이 되는 것이다. 나는 내가 하고픈 일을 할 것이며 다른 많은 사람들에 의존할 필요도 없다. 모든 것은 인식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나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고칠 수는 없다. 내가 날 돌보는 수밖에 없다.
-당신은 이 영화 때문에 얼마 전 라틴-아메리칸 상공인들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그 직후 LA타임스는 그것이 아주 잘못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글을 읽었는가. 거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아무 것도 읽지 않는다. 보나마나 말똥 같은 소리일 텐데 왜 읽어야 하는가. 왜 내 마음을 그것들로 오염시켜야 하겠는가.
<박흥진 편집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