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력 낮다고 저학년 취급 말아야
지각말고 숙제 챙기도록 신경
주말 한글학교 교사 연수교육에 강사로 나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어느 주말 한글학교 현장에 가서 직접 관찰하고 배우고 느낀 점을 나누어 봅니다. 2세들에게 부모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려는 의무감은 한국인, 중국인, 알미니언, 유태인 등 미국에서 언어적 소수민족(linguistic minorities)이 겪는 공통적인 숙제입니다.
학생들이 한국어 배우기에 좀 더 긍정적 태도를 가지도록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해봅니다.
1. 우선 학생들에게 왜 한국어를 배워야 하느냐를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설득력 있게 설명을 해주어야 합니다. 자녀들이 알아듣기 쉽게 한국어와 영어로 적습니다. “언어는 꼭 대화의 도구만은 아니다. 언어는 그 사회 및 그룹의 identity이다. 물론 미국에서 성공하려면 영어를 배워야 한다. 그러나 나중에 네가 크면 어느 그룹, 문화적 그룹과 일체감을 느끼고(identify) 싶은 욕구가 생긴다. 우리는 미국 내에서 소수민족이다. 그러니 남들이 절대로 미국인이라고 부르지 않고 꼭 한국계 미국인이라고 부른다. 미국 주류사회에서나 미국 내 한국 커뮤니티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알면 기회도 더 많고 자산이 된다”, “이중언어, 이중문화 이해 능력은 너의 세계를 확대시키고 미국, 한국 문화의 장점을 택할 수 있고, 서로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으므로 마음도 넓어진다. 한 개의 언어가 아니고 두 개의 언어를 하므로 인생도 더 흥미가 있다.” “역사, 전통, 문화가 없는 사람들은 뿌리가 없는 나무와 같다.” 라고 강조해 주세요.
2.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와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이 같은 한국 사람들이지만 너무 문화적, 가치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교사들이 학생의 인격을 존중해주는 태도로 대해야 하는데, 너무 어린애 취급을 하고 한국어를 잘 못 한다고 학생들의 정신적 연령을 감안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교사들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의 발달과정 및 특징에 대해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3. 주말 한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잘했다고 상을 줄 때 꼭 최고 학업성적을 보인 학생들만 발표하지 말고, 가장 진보를 한 학생(Most Improved), 또는 가장 노력을 한 학생들도 골고루 그들의 조그만 진보와 노력을 인정해 주었으면 합니다. 예를 들면 SAT 한국어 시험 만점 학생, 받아쓰기대회 일등 등 최고만 인정하지 말고, 공부하는 태도, 습관, 노력에도 상을 주어 학생들이 한국어 배우는데 힘이 나도록 했으면 합니다.
4. 한국어 교육 목적이 SAT 한국어 시험 만점, 즉 점수만을 위해서 있는 게 아니고 학생들에게 한국어 배우는 일이 재미있다고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5. 어느 학교에서는 7학년 중학생 그룹인데 한국어 실력이 낮다고 4학년 반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학생들의 정신연령 및 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어 능숙도와 정신적 연령을 맞추어서 연령에 맞는 내용을 공부해야 됩니다.
6. 주말 학교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들은 꼭 수업 시간에 늦지 않게 자녀를 데려다 주었으면 합니다. 오전 9시에 수업이 시작하는데 15분에서 50분 지각생이 수두룩했습니다. 정각 시간에 주말학교에 데려다 주지 않고 늘 지각하면, 부모가 한글교육을 중요시하지 않고 가치를 두지 않는다고 자녀들은 생각합니다.
7. 교과서도 가져오지 않고 숙제도 챙겨서 가져오지 않고 그냥 빈손으로 늦게 와서 앉아있는 학생들도 있는데 부모의 협조가 많이 필요합니다.
8. 교사가 학생들과 class rules를 함께 만들어 그 교실에 들어오면 누구나 교실 규칙을 지키도록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9. 교사들이 한글 리딩 공부를 다양하게 하도록 훈련이 필요합니다. 우선 리딩 능숙도(reading fluency)를 위해 교사가 읽기, 학생들이 따라 읽기(echo reading), 다 같이 읽기(choral reading), 소그룹 읽기(small group reading), 학생 2명씩 읽기(pair reading), 학생 개인이 읽기(individual reading) 등 변화를 가지고 읽기 연습을 하고, 그 다음엔 읽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읽기 독해력 질문을 합니다. 물론 어휘 소개도 해야 합니다. 새로운 단원이나 주제를 소개하기 전에 그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지식(prior knowledge)을 알아내고, 그것을 기초로 학생들이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을 가려내고 나중에 배운 점을 정리하는 K-W-L Strategies(What do you already know? What do you want to know? What have you learned?), 또는 학생들이 Think-Pair-Share(두 사람씩 같이 생각하고 같이 나누는 과정)하는 기회도 줍니다.
10. 교사 연수가 리서치와 데이터에 기준하여 이루어져야 된다고 강조합니다. 교사연수에 권위 있는 교육학자 Bruce Joyce와 Beverly Showers는 “교사들이 교사연수에서 배운 새로운 스킬을 교실에서 사용하려면 운동선수들처럼 코치를 받아야 된다. (Like athletes, teachers will put newly learned skills to use if they are coached.)” 고 말했습니다. 언어습득 이론,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theory, reading strategies 등을 교사들이 연수받으면 당장 교실에서 수업에 transfer가 잘 안됩니다. 교사들의 연수에는 시간을 많이 내어서 ①awareness level ②skills acquisition level ③skills application level ④follow-up (coaching), 4가지 레벨을 다 포함해야 된다고 위의 두 학자들은 강조합니다. 한글학교 교장 및 한글학교 연합회 임원과 이사들 등 모든 리더tlq 팀들이 효과적인 교사연수 과정 및 단계에 대해서 트레이닝을 받고 교사들을 위한 컨퍼런스나 연수계획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교육상담 문의: sko1212@aol.com 또는 DrSuzieOh@hotmail.com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