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숙
눈물을 뚝뚝 떨군다는 동백을 만나러 선운사에 갔다.
겨울 선운사.
텅 빈 진입로를 1월의 바람이 쓸고 있었다.
한껏 잡아당긴 고무줄처럼 탱탱한 바람은 내 뺨을 후려치며 달아나곤 했다.
한적한 고요… 겨울 산사는 고독한 섬과 같다.
산이라는 바다에 둘러싸인 섬.
사천왕이 험상궂은 얼굴로 버티고 있는 천왕문을 들어설 때부터 내 온 몸은 풀먹여 말린 창호지처럼 팽팽하게 긴장되었다. 천왕문 옆 마당 구석에 하늘로 솟을 듯한 감나무 몇 그루가 눈에 띈다. 이파리 하나 남지 않고 조각의 뼈대 같은 감나무는 누가 하늘에 붉은 구슬을 뿌려 놓은 듯 올망졸망한 감을 그대로 매달고 있었다. 그 동안 눈이 내려도 몇 번은 내렸음직한 1월에, 이파리는 전부 떨구었음에도 불구하고 저다운 빛깔을 잃지 않고 혼신의 힘으로 실가지 끝에 머물고 있는 주홍빛 감이 여간 대견스러운 게 아니었다. 끝이 아득한 꼭대기의 감들은 검은콩들이 하늘에 박힌 듯 하다.
흔히들 꼭대기의 감들은 그냥 둔다. 까치 밥이라고 하던가? 하찮은 새들의 월동까지 걱정하는 우리 조상들의 마음씀이 따뜻하다. 그러나 까치 밥 정도가 아닌, 손 하나 대지 않는 듯한 감나무를 보노라니 자연 그대로를 지키려는 선운사 스님들의 넉넉한 마음을 보는 것 같다. 대웅전 쪽으로 돌아서려다 문득 감나무 밑에 공중전화 부스가 보였다.
청색 테두리를 두른 네모난 유리상자.
많이 보아온 낯익은 물체가 왜 이곳에서는 생소하게 느껴질까? 마음까지 자연 속으로 스며드는 산 속에서, 현대문명의 하나가 그 곳에 자리하고 있음은 묘한 거부감과 어색함을 느끼게 한다.
있지 않아야 될 곳에 있는 것.
그러나 현대의 삶은 그것까지도 필요로 하리라. 어쩜 저 전화부스까지도 자연의 일부라는 생각이 든다. 자연 속으로 들어온 내가 자연의 일부가 되었듯이…
대웅전 앞뜰에 발을 디디니 마치 집주인 허락 없이 남의 집에 객이 들어선 것처럼 민망함이 앞선다. 사죄하듯 대웅전 불상에 머리를 수그리는데 ‘데-엥’하고 종소리가 울린다. 눈을 들어 바라보니 스님들이 머무는 집인 듯한 마루에서 웬 스님 한 분이 종을 치고 있다.
저녁 공양을 알리는 종소리일까?
종소리는 수심 깊은 바다 속 같은 절의 앞마당을 출렁이게 했다. 화들짝 놀란 적막이 흩어지며 날개를 펼치고 계곡 사이로 날아간다. 몇 개의 소리 빛은 내 가슴에 달려들어 박히고…
그것은 살갗까지 파닥이는 전율을 일으켰다.
종소리의 여운을 가슴에 담고 뒤뜰로 돌아서니 섬진강 강물 같은 담녹색 숲이 일렁인다.
대웅전 뒷산 한 자락을 온통 뒤덮은 동백나무 숲은, 얄포름한 나일론 천 같은 겨울햇살을 머리에만 가득 이었을 뿐, 빛 한 줄기 땅에 스미지 못할 정도로 빽빽하다. 어둡고 습했다.
처음에는 동백나무 숲 속에 쥐가 사는가 했다.
찍 찍 찌르르~ 요란한 금속성의 새 소리…
한, 두 마리가 아닌 무리 지어내는 소리였다.
자세히 보니 짙은 녹빛으로 반짝이는 동백 잎, 잎들이 바람에 팔랑이는 사이사이를 동백 잎 만한 새들이 누비고 있었다. 바다 속의 날치 떼처럼 동백나무 숲 속에 잠겼다가 튀어 오르기도 한다. 서로가 서로를 부르는 듯 뒤엉킨 소리는 마치 여러 가지 현악기를 모아놓고 조율을 하는 듯하다.
바람이 스칠 때마다 떨어지는 동백꽃잎을 눈물 뚝뚝 떨군 것 같다고 표현했던 선운사 동백꽃은 언뜻 보기엔 보이지 않았다. 섭섭한 마음을 누르고 돌아서려는데, 두꺼운 잎들 사이로 동그란 염주 알 크기의 꽃봉오리들이 수없이 맺혀 있는 것이 보였다. 몇몇 개는 참말이지 빨간 꽃잎을 립스틱 짙게 바른 입술인양 봉긋이 열고, 금빛 찬란한 꽃술을 숨길 듯 말 듯 조심스레 드러내고 있었다. 유리조각으로 살갗을 저미는 듯한 겨울바람 속에서도 흔연히 꽃을 피우는 새빨간 동백의 정열에 찬탄의 미소를 보냈다. 꽃 속에 ‘스칼렛 오하라’의 모습이 보이는 것도 같고 ‘황진이’의 모습이 보이는 것도 같다. 한 때 나에게도 저런 시절이 있었던가? 내 자신도 주체 못 할 저런 열정의 때가… 점점 기울어 가는 내 안의 정열을 꺼내어 안쓰러운 마음으로 더듬어 본다. 그러나 끝없이 끓어오르는 정열보다는 부드러운 관조의 혜안을 지니고 싶다.
아직 채 피우지 못한 동백의 꽃봉오리들… 저 꽃이 만개 하는 날이면 선운산 대웅전 뒷산은 선홍색 치마를 두른 듯 할게다. 그 황홀한 모습을 보지 못함을 아쉬워하며, 자꾸만 동백꽃 잎으로 스며드는 시선을 거두고 들어온 문으로 나서니, 대리석으로 단아하게 조각한 듯한 다리가 내 발에 매끄럽다.
’극락교’
아, 이 다리를 건너면 극락으로 가는 길인가 보다. 감촉이 견고하다. 깔끔하고 정교한 다리의 한복판에서 좌, 우를 바라보자 밑으로 물이 흐른다.
산꼭대기에서 흘러옴직한 청담색의 물줄기.
겨울 속을 여유롭게 흘러내린 물은 시냇물처럼 청아하게 맑지도, 돌돌 거리는 낭랑한 소리도 내지 않았다. 다만 소리 없는 움직임으로 옥빛의 몸을 끌고 갈 뿐이다. 아마 극락은 저렇듯 조용한 움직임으로 가는 곳인가 보다.
약력
창조문학 등단
제6회 창조문학상 수상
미주한국문인협회 사무국장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