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우리아이들…어떻게 기를까 공부 잘 하기
“우리 아이는 가끔 책을 읽고 있으면 딴 나라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옆에서 누가 자기 이름을 불러도 잘 못 들어요. 물론 무슨 책이나 다 그렇게 읽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흥미본위의 책은 아니고 거의 명작들입니다. 학교 공부를 하거나, 시험공부를 할 때 그렇게 읽으면 정말 좋겠는데 그렇지 못합니다. 오히려 더 산만해지는 것 같습니다. 저의 욕심인지는 몰라도 학교 공부를 자기 책 읽는 것처럼 푹 빠지게 할 수는 없을까요?”
-10학년 지수 어머니-
●인게이지드 리딩(Engaged Reading)
지수가 명작에 푹 빠져서 책을 읽고 있는 것은 다이어트 하는 사람이 초컬릿을 입에 넣기 전에 칼로리가 얼마나 되나 하고 레이블(label)을 열심히 읽는 것,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사람이 샌프란시스코까지 운전을 해야 할 때 열심히 지도를 들여다보며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것과 같이 개인이 각자가 원해서, 필요에 의해서 하는 리딩이다.
이런 리딩은 누구나 시험을 잘 보려고 하는 것도 아니고 숙제 때문도 아니다. 이런 리딩을 자기만의 개인 리딩(personal reading)이라고 한다. 이 개인 리딩은 감정적으로 자신의 필요에 의하여 읽기 때문에 이것을 인게이지드 리딩이라고도 불린다. 즉 감정적으로 그 책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뜻이다.
이 인게이지드 리딩에도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사실을, 핵심을 찾아내기 위해 읽는 리딩을 의미한다. 위에 든 예문에서 다이어트 하는 사람, 운전을 해야 할 때 열심히 지도를 들여다보며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사람들이 다 여기에 속한다.
그들은 그저 사실만을 원할 뿐이다. 이런 리딩은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고 재미가 있어서 하는 것도 아니다. 각 개인의 필요에 의하여 한다. 이 필요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핵심 리딩(Efferent Reading)
핵심 리딩은 문자 그대로 문장의 핵심만 가려내는 것으로 이런 리딩의 가장 큰 목적은 사실(facts)만을 알아내는데 있다.
이것은 물론 자기가 직접 읽어서 하는 일이지만, 때로는 남이 추려서 해줄 수도 있다. 위에 든 예를 다시 든다면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사람이 샌프란시스코까지 운전을 해서 가야 할 때 운전중이라서 지도를 들여다볼 수 없는 경우에는 옆에서 다른 사람이 필요한 정보를 구해 줄 수도 있다.
그래서 아마 주입식 교육에서는 가정교사를 두고 공부하는 아이들이 성적을 가끔은 잘 받을 수도 있지 않나 싶다. 이런 교육의 목적은 그저 핵심만 찾아내어 외우면 되니까! 그러나 남이 해준 핵심을 그냥 외우는 것이 그렇게 쉽게 우리의 피와 살이 될 수 있을까? 외운 것은 자기 자신에게 필요가 없으면 쉽게 잊을 수가 있다. 그러나 점수를 잘 받아야 하는 것은 그때 당시에는 대학 입시라는 좁은 문 때문에 자신의 절실한 필요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과연 리딩인가? 로젠블래트(Louise Rosenblatt, l978 The Transactional theory of literature and reading)가 처음으로 한 말이기는 하지만 이것 하나만 독단적으로 리딩의 자리는 차지하지 못한다.
2. 경험 리딩(Esthetic Reading)
경험 리딩은 근본적으로 핵심 리딩과 다르다. 이 리딩은 우리의 살이 되고 피가 되는 리딩이다. 핵심 리딩을 음식에 비교해 본다면, 영양사가 그 음식의 칼로리와 영양가 등을 일일이 분석하여 종이에 써놓는 것이라면, 경험 리딩은 영양사의 역할이 아니고 그 음식을 직접 먹어보는 것이다. 읽는 소설의 주인공이 아프면 ‘나’(여기서는 독자를 의미함)도 같이 아프다.
주인공의 첫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면 ‘나’도 함께 운다. 예를 든다면 황순원씨의 소나기에서 윤 초시네 증손녀가 아파 누워있을 때 ‘나’는 아주 안타깝다. 어떻게 해서든지 그 소년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고 싶다. 그 아이가 마침내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 순간 ‘나’는 그 아이가 너무 가여워 눈물이 난다. 약 한 첩도 못해 먹였다는 그 소녀의 부모가 원망스럽고 밉기까지 ‘내’ 감정이 극도에 다다른다.
즉 경험 리딩의 주요 목적은 독서를 통한 간접경험을 직접경험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경험 리딩을 많이 한 사람은 생각의 깊이가 있고, 생각의 폭이 넓다.
이때는 이미 리딩 스킬(reading skills)이 쌓여 자동적으로 적용하여 자기가 적용하여서 그 결과를 즐긴다고는 생각조차도 못한다. 예를 들어 apple에 첫번 /a/는 short /a/이고 able에 나오는 /a/는 long /a/라고 모르는 것이 아니고 이것을 이용하여 즐기고 있는 상태이다.
또 책을 읽어 나가며 이미 주제(topic sentence)가 무엇인지를 알고 그 주제의 뜻을 알아 즐기고 있는 상태지 이 주제를 골라내는 상태는 아니다.
또 한걸음 더 나아가서 리딩에는 여러 가지 읽기의 종류가 있다고 했다. 소설 읽기, 단편소설 읽기, 시 읽기, 신문, 잡지, 논설 등이 있는데 그 각각의 읽기 방법을 이 지면에서 소개한 바가 있다.
예를 들면 소설에는 줄거리, 등장인물, 배경, 요점 등을 분석할 줄 아는 단계가 아니고 아주 익숙하여 자연히 그런 방법으로 읽어낸다.
아무리 이 세상에서 아무 일도 안 하고 살 수 있는 사람도 먹는 것만은 자기가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경험 리딩만은 남이 못해 준다. 경험 리딩을 할 때는 음식의 맛을 알고 그 맛이 입맛을 북돋워주며 그렇게 먹은 음식은 우리의 살이 되고 피가 되는 것 같이 이런 책을 읽을 때는 생각의 양식이 되어 그 책을 단순히 읽은 것이 아니고 같이 경험을 나누며 함께 울고, 웃고, 사랑하고, 고생도 나누었기 때문에 우리의 생각을 바꾸기도 하고, 새 사람을 만들기도 한다.
여기에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배우 Walter Matthau이다. 그는 The Secret in the Daisy, by Carol Grace를 읽고 너무나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그 책을 읽기 전에는 비참하고, 불행한 삶을 살아왔는데 그 책을 읽고 사람이 달라지고, 행복해졌다. 그 이후 그는 그 책을 너무 사랑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그 책을 쓴 작가 Carol Grace를 찾아 나서서 결혼까지 하게 되었다. (Sabine and Sabine 1983, p.29)
■결 론
리딩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인게이지드 리딩(Engaged Reading)과 언인게이지드 리딩(Unengaged Reading)이 있다. 이것을 학교 공부하는 것과 연결을 시켜본다면:
1. 학교 공부
a. 언인게이지드 리딩-남을 위해 읽는다.
b. 인게이지드 리딩-자기 자신의 필요에 의하여 읽는다.
2. 개인 리딩(Personal Reading)
a. 인게이지드 리딩도 있다.
b. 핵심 리딩-사실, 지식, 배움이 그의 목적이다
c.경험 리딩-감정의 중심이다. 책과 경험을 같이한다.
서론에 소개한 지수는 보시다시피, 개인 리딩(Personal Reading)에서 인게이지드 리딩을 주로 한다. 이것은 리딩 문제가 아니고 지수는 하기 싫은(?) 공부도 해야 한다는 디스플린(discipline) 문제이다. 즉 읽기 능력의 문제는 아니다.
전정재 박사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