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우리아이들…어떻게 기를까
⊙ 신문 읽기 3
이번 주에도 지난 2주에 이어 신문 읽기에 대해 알아본다.
지난주의 쓴 신문 읽기의 관한 기사를 여기서 간단히만 소개한다 :
신문은 글을 읽을 줄 안다고 그저 자동적으로 읽을 줄 아는 것이 아니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신문 읽기도 읽기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 이 훈련 중의 처음 시작으로:
1. 첫 주에는 신문을 읽기 전 신문 전체를 한번에 스키밍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썼다.
2. 지난주에는 기사 읽는 방법에 대하여 썼다. 이것도 크게 2가지로 나누어: (a)headline 읽기 방법, (b)기사 읽기 방법의 7가지 요소에 대해 썼다.
이번 주는 신문 읽기의 마지막으로 사설을 어떻게 읽느냐에 대해 쓰겠다.
■사설 읽기
사설(editorial) 읽기와 기사 읽기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여러 면에서 다르지만 중요한 요소 몇 개만 쓰려한다.
1. 내용에 따라 모두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그 수준이 높다. 여기에서 ‘높다’라는 말을 더 구체적으로 써보면:
(a)읽기 수준(reading level)이 대학, 대학원 수준을 능가하는 수가 많다(연구에 따르면 간단한 기사는 가끔 그 읽기 수준이 4~5학년일 수도 있다. 수준 차이는 순전히 기사의 내용에 따라 달라짐).
(b)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요구한다. 그저 읽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생각을 하지 않으면 이해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생각을 할 때도 생각의 넓이와 깊이(scope and sequence)가 있어야 한다.
(c)스키마(schema)가 있어야 이해가 된다. 다시 말하면 글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런 배경지식이 없이는 읽기는 읽는데 이해하기가 힘들 수 있다(어떻게 이 스키마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방법론에서 다루려고 한다).
2. 읽는 방법
(a)사설(editorial)은 기사 읽는 것의 정반대로 읽어야 한다.
기사는 주제(가끔 이 주제가 결론일 수도 있다)부터 시작을 하여 이 시작한 주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 내려가는 형식으로 쓰여진다. 교과서도 이런 형식으로 주로 많이 쓰여지므로 이것은 topic sentence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와는 정반대로 사설은 독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일을 먼저 쓴 후에 그 것에 대한 주제, 결론, 해결책 등을 나중에 쓴다. 다시 말하면 기사와 사설은 그 쓰기 순서가 바뀌어져 있다.
그러기에 기사는 주제를 먼저 읽고 나중에 그 결론을 읽는다. 또 기사의 쓰여진 순서도 그렇게 주제 먼저, 결론 나중으로 되어 있는데, 그와 반대로, 사설은 결론이 먼저 쓰여지고 그것의 뒤받침이 되는 해설로 전개된다. 즉 반대로 읽어야 할 것이다. 사설을 쓴 사람의 해설을 알려면 제일 마지막의 문장을 읽으면 알 수 있다.
(b)사설 읽기와 스키마/글 쓰기/토론
사설을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으려면 우선 학생 자신이 기사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자신의 생각, 의견을 제대로 글로 표현하려면, 해설만 읽어서는 안될 것이다.
사설이나 해설과 동의하지 않는다면, 왜 안 그런지? 동의한다면 왜 그러는 지에 대한 사실(facts), 의견 등이 확고하게 선 후에야 글을 쓸 수가 있고, 또 토론도 가능하다.
학교에선 글 쓰기, 토론, 토론대회 등이 많이 있다. 많은 학생들이 “나는 원래 글 쓰기에는 재주가 없다, 혹은 나는 원래 남 앞에서 말을 하거나 토론을 한다는 것은 성격상 맞지 않는다”라는 말들을 많이들 한다.
과연 그럴까? 아무리 글 쓰는 재주가 있고, 토론에 뛰어난 사람이라도 쓸 내용이 부실하고, 할 말의 내용이 충실하지 못하면 잘 해내기란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지표(Index) 읽기
신문 전체를 훑어보고, headline을 읽고, 기사를 읽고, 마지막으로 사설까지 읽은 후에는 지표 (index)에 갈 때가 되었다. 이제는 마이너 스토리 (minor stories)로 가게 된다.
예를 들자면, 스포츠(sports), 비즈니스(business), 스타일(style), 리빙(living) 홈(home) 등등 자신이 특별히 관심이나, 취미가 있는 분야를 읽는다(가끔 스포츠에 관심이 유난한 학생들은 신문에 첫 장을 펼치기도 전에 자기 관심 있는 분야부터 보는 경우가 있다. 별 상관은 없다고 본다).
마이너 스토리를 읽을 때도 전과 같이 “headline-질문(6~7가지)-대답 찾기”의 테크닉을 쓰기 바란다. 이러면서 자기가 원하는 사실만 가려내는데는 몇 분도 안 걸리고 쉽게 찾아내리라고 본다.
그러나 마이너 스토리 중에서도 영화(movies), 연극(stages), 서평(book reviews)을 읽을 때는 기사 읽기의 정반대, 즉 사설 읽기의 테크닉을 써야 한다.
제일 마지막 문장을 제일 먼저 읽고 그 다음에는 학생이 필요로 하거나, 재미있는 것을 읽으면 된다(여기서도 가끔 영화나, 북 리뷰를 신문의 첫 기사도 읽기 전에 읽는 학생들을 보았는데 사실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신문을 다 읽고 난 뒤에…
이런 경로로 또 이런 읽는 방법으로 읽으면 학생들의 신문 읽는 시간이 두 배로 줄어든다.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위의 소개한 방법으로 읽으면 이해가 잘 되기 때문에 신문을 그저 가끔 심심할 때만 읽으려고 하지 않고 계속 매일 읽으려고 한다.
예를 들어 9월11일 사건을 읽은 학생은 계속하여 그 일의 진전에 대하여 알려고 들 것이 사실이다. 또 어디에 총기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기사를 읽었을 때에는 그 사건의 원인을 몰라서 보고가 아직 안되었을 때였다면, 그 스토리를 계속하여 읽으려 할 것이다.
만일 학생이 지금까지는 무슨 이유로든지 신문을 계속해서 읽지 않았다 하자. 나이가 몇 살이건, 몇 학년이건 상관말고 읽히시기 바란다.
그러나 처음에는 기사부터 읽기 시작하고 점차적으로 사설에 들어가시기 바란다.
(부록: 여기에 읽기 방법은 영어신문 읽기 중심이었음을 알린다.)
전정재 박사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