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방법-I
"학교에 갔다온 녀석이 공책을 보면 써 놓은 것은 없고, 책가방을 보면 CD나 컴퓨터 게임이나 들어 있고, 별별 정크가 다 있어요. 지저분한 아이라고만 생각할지, 혹은 공부에 아주 관심이 없는지…" 교육에 열성인 중학생 민기 어머니의 걱정이었다.
"우리 연준이의 성적이 떨어져 얼마 전 공책을 보자고 했습니다. 수업시간에 노트를 하기는 했는데 3의1 정도는 낙서(doodling)로 가득 차 있었어요. 왜 이런 것이냐고 물으면 강의시간에 쓸 것이 없다나요!"
이상은 10대 자녀들에게 가장 심한 증세의 하나라고도 볼 수 있다. 위의 두 예는 사실상 문제아들의 행동은 아니다.
크로포드 박사(Crawford)의 연구에 따르면 강의시간에 노트를 써가면서 듣는 학생이 훨씬 성적이 우수했다고 보고한다. 이 연구는 비슷한 성적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그냥 듣게만 하고 노트 필기를 못하게 했다. 둘째 그룹은 노트 필기를 하게 했다. 그 이후 (1)강의가 끝나자마자 (2)1주일 후 (3)몇 주일이 지난 후에 시험을 봤다. 시험도 다양하게 주관식, 객관식, 여러 가지로 보게 했다. 그 결과 시험은 언제 봤건, 또 시험이 어느 형식이었건 강의 중 노트 필기를 한 그룹이 훨씬 월등하게 점수가 높았다.
강의 노트 필기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강의 내용이 책에도 있으니 책에 줄을 긋거나 표시를 하는 법(미국에선 책이 학교 소유물이기 때문에 책에 줄을 칠 수 없음).
2. 책에 강의 내용이 있더라도 자기가 직접 노트에 필기하는 방법.
3. 선생님이 직접 요점을 잡아서 그것을 한 장씩 학생에 주는 방법.
4. 강의 도중 필름, 비디오 등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그 때 (a)이 화면을 보고만 있는 경우 (b)노트를 써 가며 보는 방법.
5. 남의 노트를 베끼는 경우의 다섯 가지 방법을 가지고 연구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해 보면,
-가장 효과적 방법은 학생이 직접 노트 필기를 하는 것. 학생이 직접 자기가 만든 문장으로 자기식 대로 필기한 것이 너무나 효과적이었다.
-두번째 효과적 방법은 책에 표시(high-lighting)하는 것.
-그 중 가장 효과가 낮았던 방법은 선생님이 요점을 미리 다 잡아주는 방법이었다. 이 방법이 겉으로 보기에는 효과적인 것 같았으나 오히려 그 요점만 믿고 강의에 더 신경을 쓰지 않았고 또 이 요점을 중심으로 공부는 했는데 이해는 안 됐다는 결과를 보였다.
선생님의 요점을 칠판에서 베끼는 것은 선생님이 직접 복사 해 준 것보다는 효과적이었으나, 별 큰 차이는 없었다.
남의 노트 베끼는 것은 자신이 얼마나 공부를 했느냐에 크게 좌우되었다고 했다. 즉, 남의 노트의 성과를 못 본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결과는 필름이나 비디오를 보는 경우 화면을 보면서 노트를 하면 오히려 배우는데 지장이 있었다. 화면이 일단 다 끝난 후 정리를 하고 노트 필기를 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배운 것으로 드러났다. 필름이나 비디오, 영화 볼 때만 빼고는 늘 노트 필기를 하는 것이 배우는데 큰 도움이 된다. 화면의 경우도 끝난 후라는 것만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금방 필기를 해 놓은 것이 큰 효과를 본다.
여기서 교육자의 입장에서 볼 때 큰 교훈을 하나 배울 수가 있다. 공부는 항상 자기가 참여자로 직접 뛰어들어가서 적극성을 보일 때만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많은 부모들이 어떻게 해서라도 자녀를 공부시키려고 온갖 애를 다 쓴다. 학교에 보내는 것은 물론 과외도 (1)부모가 직접 붙들고 앉아 시키거나 (2)가정교사를 두거나 (3)학원에 보내는 등 참으로 가지각색이다. 여러 부모들이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냐?’라는 질문들을 많이 하신다. 그 대답은 이 기사에 있다. 그러므로 부모 스스로가 답을 내리셨으리라 생각한다.
밥은 입에다 넣기까지는 누가 해줄 수 있다 해도 그 밥을 씹어서 삼켜야 영양가가 있듯이 공부도 자기 스스로가 씹고 소화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가끔 너무 음식을 입에까지 넣어주면 언젠가는 씹어 넘기려 들지 않는다. 이 세상에서 공부만은 누가 못 해준다. 듣는 척, 읽는 척, 쓰는 척까지는 해도 남의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데는 자기 스스로가 뛰어들어가고 싶어야 하고 직접 참여하여 애쓰고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에 주입식 교육은 ‘생각하는 능력’보다 외우는 일(스킬, skills)이 많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손을 빌려도 그것을 외우기만 하면 되니까 어느 정도는 가정교사, 학원, 부모가 직접 붙들고 시키는 일 등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의 교육은 이 스킬(구구단 외우기, 각주의 수도 외우기 등) 몇 개만 빼고는 거의 다 ‘생각하는 능력’ 발달이기 때문에 자신이 스스로 해야 한다.
가끔 우리 어른들은 이런 말을 한다. "부모 잘 만나 공부도 잘 한다." 물론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은 부모의 덕이라 하겠지만 공부만은 남이 해주지 못한다. 강의를 매일 열심히 들어도 자기가 애써 듣고, 배우고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강의도 소용이 없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