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핸드폰 나온다
FCC 홉-온사 제품 시판 승인
==========
핸드폰에도 일회용 시대가 열렸다. 소비자들은 편의점, 주유소, 소매체인점 등에서 마치 공중전화 카드를 사듯 언제라도 일회용 핸드폰을 쉽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29일 CNN 인터넷판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가든 그로브의 중소기업 홉-온은 이번주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로부터 일회용 핸드폰 시판을 승인 받았다.
이 회사의 피터 마이클 회장은 조만간 캘리포니아 남부지방 편의점 등에 일회용 핸드폰을 출시하고, 3개월 내에 전국으로 판매망을 확대해 올해 크리스마스 때까지 수백만개를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본 사용시간 60분에 가격 40달러로 책정된 일회용 핸드폰 첫 제품은 아직 구체적인 상표명은 붙이지 않고 일단 `메이저 CDMA’라는 이름 아래 출시된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트럼프 카드 크기의 이 핸드폰은 쌍방향으로 마이크와 이어폰을 연결해 상대방과 통화한다. 사용시간은 60분, 90분, 120분을 더 추가할 수 있다.
통화는 같은 지역번호를 공유하는 지역내에서만 가능하며, 다른 지역과 통화할 때는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이 일회용 핸드폰은 퀼컴사 기술에 토대를 둔 필립스전자의 저가 칩을 내장했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통화에 필요한 기능만으로 아주 단순화했다.
홉 온은 CDMA식 일회용 핸드폰에 이어 유럽시장을 겨냥해 앞으로 45∼60일내에 국제 GSM 기준에 맞는 개당 29달러선의 다른 모델의 시판 허용을 신청할 예정이다.
홉 온은 일회용 핸드폰의 판매를 위해 편의점, 주유소 등을 비롯한 30여개의 대형 소매체인점과 협상을 진행중이다.
또 맥주회사 등은 광고 판촉 전략의 일환으로 이 일회용 핸드폰에 자사 상표를 붙이는 협상을 제의해오고 있다고 홉 온은 밝혔다.
==============
7월 소비자신뢰지수 큰 폭 하락
=============
미국의 7월중 소비자신뢰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 2개월 연속 떨어지면서 지난 2월 이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민간 조사기관인 컨퍼런스보드는 지난 6월 106.3을 나타낸 소비자신뢰지수가 7월에 97.1로 떨어졌다고 30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당초 7월 소비자신뢰지수가 101.5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발표된 수치는 이를 훨씬 밑도는 것이다.
소비자신뢰지수가 크게 떨어진 것은 증시 침체와 노동시장의 불안, 특히 기업 회계부정 스캔들의 충격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컨퍼런스보드의 소비자신뢰지수는 미국내 5천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토대로 산출되며 미국 경제활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비지출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간주되고 있다.
==================
부시, 기업개혁 법안 서명
==============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30일 투자를 위축시켜온 회계부 정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대공황 이후 가장 광범위한 내용을 담은 기업개혁법안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엔론과 월드컴 등 미국 경제를 뒤흔든 대형 부정사건에 자극받아 마련된 것으로 이른바 `장부조작’으로 불리는 기업들의 부정행위를 단속하고 회계업체들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부시 대통령은 30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의회와 법무부, 증권거래위원회(SEC), 회계부정 등 기업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의 `스와트(SWAT.특별기동대)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개혁법안에 서명했다.
그는 서명에 앞서 "이제 기업 범죄자들이 더 이상 손쉽게 돈을 벌지 못하게 됐다. 이제는 힘든 세월이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유시장은 비양심적인 자들만이 살아남는 정글도, 탐욕만이 지배하는 금융계의 독무대도 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이 법은 모든 부정직한 기업지도자들을 노출시키고 처벌받게 할 것이다. 이제 낮은 기준과 부정한 이익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했다.
의회는 중간선거를 앞두고 잇따른 기업 회계부정이 터지자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지난 25일 이 법안을 승인했으며 기업 최고경영자 출신인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 정부는 이로 인해 정치적인 공세에 밀릴 것을 우려해 법안의 조속한 발효를 추진해왔다.
지난 60여년간 지속돼온 미국의 회계 관행을 대대적으로 바꾸게 할 내용을 담고 있는 이 법안에는 무엇보다도 기업들에게 회계상태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투자자들을 속이는 행위를 못하도록 하는 강력한 제재가 포함돼 있다.
특히 소환 권한을 갖고 회계감사 업체들에 대한 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회계감독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으며, 회계업체들이 회계감사 대상 업체들에 대해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이 법안은 그러나 대다수의 애널리스트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최고 경영자들에 지급되는 스톡옵션을 비용으로 처리하도록 의무화한다는 조항은 담지 않았다. 대신 근로자들의 연금 보호조치를 강화했다. 이는 엔론이 회계부정 사태로 도산했을 때 수천명 근로자들의 퇴직연금이 고갈된 것을 감안한 조치이다.
한편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인 톰 대슐 의원은 신설되는 기업회계감독위원회가 독립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돼야 할 것이라고 부시 대통령에 촉구했다.
=============
이라크 공격시 경제충격파 심각
NYT
================
미국이 이라크 공격작전에 나설 경우 걸프전과 달리 전쟁비용을 자체 부담하고 유가파동, 증시혼란 등의 충격도 감수해야하는 등 미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30일 보도했다.
타임스는 지난 91년 걸프전 당시 미국 등 연합군측에서 모두 611억달러의 비용이 발생, 경제침체를 불러오는 요인이 됐으며, 이같은 침체는 부분적으로 유가급등으로 야기됐다고 지적, 이같이 전망했다. .
신문은 특히 동맹국들이 당시 비용 가운데 484억달러를 부담했으나 부시 행정부가 다시 이라크 공격을 개시할 경우 대부분의 비용을 미국이 독자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그러나 아직 어떠한 유형의 군사작전이 필요한 지에 대해 결정하지 않은 만큼 조지 W.부시 대통령과 고위 측근들은 이라크 작전에 소요될 전비(戰費)가 얼마나 될지 검토조차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타임스는 설명했다.
특히 연방예산적자 폭이 이미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라크 공격작전이 시작될 경우 소요전비로 인해 적자폭이 더 커지거나 다른 국내예산을 감축해야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될 것이라고 신문은 우려했다.
타임스는 또 소비자 및 투자 신뢰도가 취약한 가운데 군사작전이 단행될 경우 금융시장과 소매지출, 기업투자, 여행, 기타 다른 경제핵심 분야에 상당한 심리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지난 91년 걸프전 당시와 같이 원유공급이 차질을 빚어 유가가 급등할 경우 미국과 전세계 경제에 적잖은 충격파를 던질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다.
신문은 이어 이같은 부작용은 모두 11월 중간선거와 2004년 재선을 앞두고 있는 부시 대통령에게도 복잡한 정치문제를 안겨줄 소지가 있다고 진단했다.
타임스는 또 걸프전 당시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일본 등이 미국과 전비를 분담했으나 현재로서는 어느 나라도 재정적 지원을 제의하지 않은 상태라고 전하면서 각국은 미국측의 지원요청을 받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이어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당시인 지난 90년 당시 중앙정보국 분석팀장을 지낸 하버드 경제전문가의 말을 인용, 미국이 전략비축유를 통해 서방국가들 가운데 가장 효과적으로 유가파동을 견뎌낼 준비를 갖추고 있지만 아무리 신중한 사전준비를 했더라도 ‘심리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타임스는 당시 이라크군이 쿠웨이트를 전격 침공하면서 배럴당 최저 15달러에 머물던 유가는 미국이 전략비축유를 풀었음에도 불구, 같은 해 10월들어서는 40달러선까지 치솟은 사실을 상기시켰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