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골프를 즐기는데 골프채를 휘두를 때면 어김없이 소변을 찔끔거려 마음대로 운동을 할 수가 없어요." -50대 주부
"자궁탈출증으로 수술 예정인 입원 환자였습니다. 아침에 회진을 갔더니, 요실금 증상이 얼마나 심했던지 침대가 흥건히 적셔져 있었어요. 그날의 수술을 취소하고 먼저 비뇨기과부터 가 보라고 권했죠." -산부인과 의사
"체육 시간에 줄넘기를 하다 소변이 흘러 내려 병원을 찾았죠. 복압성 요실금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16세 소녀
남편이 먼저 아는 요실금
아무리 금슬이 좋은 부부라도 남편에게, 아내에게 비밀로 간직하고 싶은 수치스런 일이 있을 것이다. 자신은 배뇨할 생각이 조금도 없는데 배에 힘만 들어갔다 하면 저절로 소변이 나오는 요실금은 많은 여성들이 남편에게도 알리기 싫은 부끄러운 증상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부부 사이가 좋을수록, 아내의 요실금 증상은 남편에게도 금세 전달될 수밖에 없다. 심한 요실금 증상은 성관계 중에도 소변을 찔끔거릴 수 있으며, 남편은 골반 근육이 늘어난 아내에게 ‘과거에 비해 친밀도(intimacy)가 떨어진다’는 불평 아닌 불평으로 아내의 마음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10여년 전부터 여성비뇨기과 전문의를 표방해 온 홍재엽 박사(홍재엽 여성비뇨기과 원장)는 "요즘 병원 문을 두드리는 요실금 여성 환자들 중 절반 이상은 남편이 병원에 가 보라고 권유해 온다"고 말했다.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가 아니었기에, 10년 전만 해도 질병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요실금. 그러나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치료를 원하는 여성 환자가 늘고 있다.
선진국선 노인 3대 질병
여성들이 내놓고 이야기하기는 꺼리지만, 많은 통계는 출산 경력이 있는 여성의 반수 이상이 요실금 증상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 요실금 환자에 대한 통계가 첫 보고된 때는 1990년. 제일병원(현 삼성제일병원)이 84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40% 이상이 요실금 증상이 있다고 응답했다.
95년 이화여대 간호대가 전국 보건지소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50% 이상이 요실금 증상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일상생활에 제법 불편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5%를 차지했다.
올해부터 요실금 패드를 시장에 내놓은 유한킴벌리사의 판매 실적 변화는 요실금이 이미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로 자리잡고 있음을 드러낸다. 선진국에서는 낙상, 치매, 요실금을 노인의 3대 질병으로 꼽고 있을 정도이다.
이렇듯 요실금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여성 환자가 많지만, 정작 요실금 증상 때문에 병원 문을 두드리는 사례는 많지 않다. 홍 박사는 "당연한 노화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그냥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면서 "많은 의사들이 수술부터 권하는 경향도 문제"라고 말했다.
수술에 막연한 공포심 같은 것을 갖고 있는 여성이 많아, 아예 병원 찾기를 포기한다는 것이다.
분만으로 인한 복압성
요실금이 대부분
요실금은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으며 치료법도 이에 따라 다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분만으로 골반근육이 약화하고 골반이 이완되면서 방광과 요도가 처져 생기는 ‘복압성 요실금’이다. 요실금의 80~90%가 여기에 속한다. 기침, 재채기, 줄넘기를 하거나 배에 힘이 들어갈 때 소변이 나오는 증상이 바로 복압성 요실금. 이정구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요실금 환자들은 기침할 때 74%, 재채기할 때 72%, 웃을 때 64%, 조깅할 때 53%, 걸을 때 24%, 성관계시 14%가 소변이 나온다고 호소했다"고 말했다.
절박성 요실금
요실금의 나머지 20~30%는 ‘절박성 요실금’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급성 방광염, 당뇨병, 자궁 수술후, 뇌동맥경화증, 뇌종양, 뇌경색, 다발성경화증 등 중추신경계통의 질병에 의해 발생한다. 절박성이라는 말 그대로, 소변이 급하다 여겨지면 화장실 변기에 앉기도 전에 속옷을 적시게 되는 증상이다. 이런 환자는 밤에 자다가도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주 일어나야 하며, 낮에도 2시간에 한번 이상 화장실에 간다.
치료는 배뇨근 자체를 억제하는 약물이나 배뇨근으로 가는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행동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을 시행한다. 절박성 요실금에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요실금은 여성에게만 발생하는 증상은 아니다. 중풍이나 신경이상,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는 남성 환자에게도 요실금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요실금 전문의>
◎ 홍재엽 여성비뇨기과 (02)546-2322
◎ 이정구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교수 (02)920-5530
◎ 배상욱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교수 (02)361-6140
◎ 정규병 강서미즈메디 산부인과 (02)2007-1000
◎ 김영호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기과 교수 (032)621-5114
◎ 주명수 서울중앙병원 비뇨기과 교수 (02)3010-3721
송영주 기자 yjsong@h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