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 50주년 특별연재**
▶ By W.Y. Joh, Ph.D.
First of Thee Parts
<1>
It was quiet on the eve of the “storm.” On the night of Saturday, June 24, 1950, a dance party was in full swing on the premises of the Republic of Korea(ROK) army headquarters in Seoul. The top brass of the army, including chi
ef of staff Major General Chae Byung-duk, attended the event celebrating the grand opening of the officers’ club. Also present at the party were American Ambassador John J. Muccio and ranking officers of the Korean Military Advisers Group(KMAG).
At the same time, along the 38th parallel of north latitude that divided the Korean peninsula into South and North Korea, about 90,000 North Korean troops with 130 Soviet-made tanks were counting down to 4 a.m., June 25, the H-hour, D-day of Operation Storm, the North Korean code name for the Sunday morning surprise attack.
“폭풍” 전야는 고요했다. 1950년 6월24일 토요일 밤, 서울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본부 구내에서는 댄스 파티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참모총장 채병덕 소장을 비롯한 육군 수뇌부가 장교클럽 개관을 축하하기 위해 이 행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파티에는 존 무쵸 미국대사와 미군사고문단 고급장교들도 참석했다.
같은 시각, 한반도를 남한과 북한으로 나누는 북위 38도선에서는 약 9만명의 북한군과 130대의 소련제 탱크가 “폭풍”작전 (일요일 아침 기습공격 즉 6.25의 북한측 암호명) 공격 개시일 공격 개시시각 즉 6월25일 오전4시를 카운트 다운하고 있었다.
<2>
Today South Korean military radars and United States spy satellites can tell how many air force planes are in the air and how many army trucks are on the road in North Korea on any given da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located near Washington, D.C., can even eavesdrop on North Korean military commanders’ telephone conversations. But 1950 was the stone age of military intelligence. The South Korean military and its American advisers did not know much abou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North Korean armed forces.
Shortly before the war, Brigadier General William Roberts, chief of KMAG, told the New York Herald Tribune: “If attacked from North Korea, the ROK army would have no trouble
in repelling the invaders. At this point, we rather invite it. It will give us target practice.”
Major General Chae Byung-duk, ROK army chief of staff, said to President Rhee Syngman when he toured the 38th parallel prior to the North Korean invasion: “Mr. President, we are the seventh strongest army in the world. If you order us to march north in the morning, we will lunch in Sariwon, sup in Pyongyang, and breakfast in Sinuijoo the next morning, sir!”
오늘날에는 한국군 레이다와 미국 첩보위성들은 매일 북한에서 공군기 몇대가 공중에 떠있고, 육군 트럭 몇대가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워싱턴 근처에 위치한 미국 국가안전부는 북한군 지휘관들의 전화 통화까지도 엿들을 수있다. 그러나 1950년은 군사첩보의 석기시대였다. 한국군부와 미군사고문단은 북한군의 양과 질에 대해서 아는 것이 별로 많지 않았다.
전쟁 직전, 미군사고문단 사령관 윌리엄 라버츠 준장은 뉴욕 헤랄드 트리뷴 신문과의 인터뷰에
서 “북한이 침공을 해온다면 한국군은 침략자들을 물리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오히려 그들이 처들어오기를 바란다. 그것은 우리한테 좋은 사격 연습의 기회가
오늘날에는 한국군 레이다와 미국 첩보위성들은 매일 북한에서 공군기 몇대가 공중에 떠있고, 육군 트럭 몇대가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워싱턴 근처에 위치한 미국 국가안전부는 북한군 지휘관들의 전화 통화까지도 엿들을 수있다. 그러나 1950년은 군사첩보의 석기시대였다. 한국군부와 미군사고문단은 북한군의 양과 질에 대해서 아는 것이 별로 많지 않았다.
전쟁 직전, 미군사고문단 사령관 윌리엄 라버츠 준장은 뉴욕 헤랄드 트리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침공을 해온다면 한국군은 침략자들을 물리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오히려 그들이 처들어오기를 바란다. 그것은 우리한테 좋은 사격 연습의 기회가 될테니까”라고 말했다. 한국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소장은 북한의 남침 전 38선을 시찰한 이승만 대통령에게 “각하, 우리 한국군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강한 군대입니다. 각하께서 북진 명령만 내려주신다면 저희들은 황해도 사리원에서 점심을, 평양에서 저녁을, 그리고 다음날 아침은 신의주에서 먹을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강창성장군 증언, 월간조선 93년 9월호에서 인용)
<3>
It was raining, on and off, on Sunday, June 25, 1950. At 4 a.m. sharp, the North Korean artillery guns started firing and the “people’s army” spearheaded by tanks began to march across the 38th parallel. The invaders caught South Korea and the world completely by surprise. About one third of the 50,000 South Korean troops deployed near the border were on leave for the weekend or were working in their hometown rice paddies. Colonel Baik Sun-yup, commander of the 1st ROK Army Division stationed in Moonsan just south of the border, was in Seoul on a special training program. Brig. Gen. Roberts, the KMAG chief, was en route to the States to receive a new assignment, and the acting head of the advisory group, Col. Sterling Wright, was vacationing in Tokyo.
1950년 6월25일 일요일, 비가 오락가락하고 있었다. 오전 4시 정각, 북한군 대포들이 사격을 시작하고, 탱크를 앞세운 “인민군”이 38선을 넘어 행군하기 시작했다. 침략자들은 대한민국과 전세계를 깜짝놀라게 했다. 38선 근처에 배치되어있던 5만 국군 병력 중 3분의 1은 주말 휴가를 나가 있었거나 고향 논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
38선 바로 남쪽 문산에 주둔한 국군 제1사단장 백선엽 대령은 특별교육차 서울에 나가 있었다.
미군사고문단장 라버츠 준장은 새 임무를 받기 위해 미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중이었고, 미군사고문단장 서리 스털링 라이트 대령은 토오쿄오에서 휴가중이었다.
<4>
The main assault force came down the Uijungboo corridor leading to Seoul. Kim Il-sung, the then 38-year-old North Korean premier and commander-in-chief of the Korean People’s Army(KPA), put some 40,000 troops and 50 tanks in that direction. The rest of the invading force was spread over three other directions: toward Ongjin peninsula, Choonchun, and Kangnung. The invaders took Gaesung, the old city just a few kilometers south of the 38th parallel, without incident, and headed for Moonsan.
Col. Baik’s 1st Division troops bravely fought the aggressors in Moonsan, but their small-caliber bazookas were no match for the Russian-built T-34 tanks. The bazooka shells bounced off the huge tanks like ping-pong balls. South Korean “suicide squads” made up of volunteers tackled the enemy tanks with hand grenades. Some of them threw themselves under the tanks while others opened the tank hatches and dropped in grenades. A few tanks became disabled, but the North Korean advance continued toward Uijungboo, 35 kilometers north of Seoul.
남침의 주력부대는 서울로 가는 의정부 통로로 내려왔다. 북한 수상 겸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인 김일성(당시 38세)은 이 의정부 방면에 4만 병력과 50대의 탱크를 투입했다. 나머지 침공 병력은 옹진반도, 춘천, 강능 방향 등 다른 3개 방면으로 분산 투입되었다. 침략군은 38선에서 불과 수킬로미터 남쪽에 위치한 옛 도시 개성을 쉽게 점령하고 문산으로 향했다.
백선엽 대령의 국군 제1사단 장병들은 문산에서 용감하게 싸웠으나 그들의 소구경 바주카포는 소련제 T-34형 탱크에는 상대가 되지 못했다. 바주카 포탄은 탁구공처럼 거대한 탱크에서 튕겨나갔다. 지원자들로 조직된 국군 “자살특공대”는 수류탄을 들고 적의 탱크에 돌진했다. 그들은 탱크 밑으로 몸을 던지는가 하면 탱크 뚜껑을 열고 그 안에 수류탄을 떨어뜨리기도 했다. 탱크 몇대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으나 인민군은 서울 북방 35킬로 지점인 의정부룰 향해 전진을 계속했다.
<5>
It was not until 7 a.m. that Sunday morning---three hours after the invasion had started---that a duty officer wakened the five-star general Douglas MacArthur, the then 70-year-old Pacific War hero who was sleeping at his private quarters inside the U.S. Embassy in Tokyo.
President Harry S. Truman of the United States learned about the war even later---about nine hours after the war had begun. At the time, Truman was not in Washington. He was in his hometown of Independence, Missouri, to take care of some family business. A little after 10 p.m., Saturday, June 24 (U.S. Central Time), Truman received a telephone call from his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when the president was in the library with his family.
“Mr. President,” Acheson said over the phone, “I have very serious news. The North Koreans have invaded South Korea!”
When Acheson, who had carelessly announced five months earlier that South Korea was outside the U.S. defense line in the Pacific, called back the next morning to inform the president that he had requested an emergency meeting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ruman said, “We’ve got to stop th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한 당직장교가 토오쿄오의 미국 대사관 내의 개인숙소에서 잠을 자고있던 당시 70세의 태평양 전쟁 영웅이며 5성장군인 다글러스 매카아더를 깨운 것은 남침이 시작되고 3시간이 지난 후인 일요일 오전 7시였다.
미국의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전쟁 소식을 들은 것은 매카아더 보다 더 늦은 전쟁 개시 9시간 뒤였다. 당시 트루먼은 워싱턴에 있지 않았다. 그는 어떤 집안일을 처리하기 위해 고향인 미조리주 인디펜던스시에 가 있었다. 미국중부시간으로 6월24일 토요일 밤 10시 조금 지나 대통령은 딘 애치슨 국무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는데, 그때 그는 가족들과 함께 서재에 있었다.
“대통령각하, 심각한 뉴스가 있습니다. 북한이 남한을 침공했습니다!” 애치슨은 전화로 말했다.
남한은 태평양 지역 미국 군사방어선에서 제외되었다고 5개월전에 조심성없는 발언을 한 애치슨 국무장관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긴급 회의를 요청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다음날 아침 다시 전화를 걸어왔을 때 트루먼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그 개새끼들을 어떤 일이 있어도 꼭 저지해야하오!”
<6>
As the invaders neared Seoul, the capital of the young republic which had been established only two years before, President Rhee could not sleep the first night of the invasion. Bad news kept coming in from the front lines and a North Korean fighter plane even strafed an area near Gyungmoodae, the presidential mansion. At 3 a.m. Monday, President Rhee called for General MacArthur. A duty officer picked up the phone and asked the South Korean president to call later because the general was soundly asleep.
“If you don’t waken the general, American citizens will die one by one while the general sleeps in peace!” Rhee, a Princeton University Ph.D. who had lived forty years in the United States, shouted in his fluent English. The president’s rage made the duty officer waken the general.
Rhee told MacArthur, “If your country had been a little more concerned about us, we would not have come to this plight. Haven’t we warned you many times? Now you must save our country!”
수립된지 2년 밖에 안되는 일천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 침략군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는 전쟁 첫날 밤, 이승만 대통령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전선에서는 계속 나쁜 소식만 들려오고 북한 전투기 한 대가 대통령관저 경무대 근처에 기총소사까지 하는 판이었다. 월요일 오전 3시, 이대통령은 매카아더 장군에게 전화를 걸었다. 당직장교가 전화를 받아 장군이 곤히 자고있으니 나중에 다시 전화를 걸어달라고 말했다.
“자네가 장군을 깨우지 않으면, 장군이 편안하게 자는 동안 (한국에 있는) 미국 시민들은 한사람씩 죽어갈 것이야!” 프린스턴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40년간 살았던 이대통령은 유창한 영어로 소리를 질렀다. 대통령의 격노에 놀란 당직장교는 장군을 깨웠다. 이대통령은 매카아더 장군에게 말했다. “당신네 나라가 우리한테 좀 더 관심을 보였더라면, 우리가 이 지경이 되지는 않았을거요. 우리가 여러번 경고를 했지 않소. 자, 이제 당신네들이 우리나라를 구해줘야겠소!” (프란체스카여사 회고록에서 인용)
<7>
Despite its being a Sunday, the U.N. Security Council met at 3 p.m., June 25---25 hours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and adopted a resolution demanding the North Korean aggressors cease fire and retreat to the 38th parallel. Kim Il-sung ignored it, claiming that the South Koreans had attacked first. On June 27, the Security Council adopted another resolution urging UN nations to come to South Korea’s aid. Jakob Malik, the Soviet delegate, was absent from the meetings because he had been boycotting the Security Council since January of that year to protest American refusal to replace Nationalist China with Communist China as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Still, Malik could have attended the sessions and vetoed the resolutions. But he did not. Why? Some historians believe that the Soviet Union deliberately did not use its veto power hoping that American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under the UN flag would make the United Nations look like an American puppet, and that eventually would destroy the world organization.
일요일임에도 불구하고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전쟁이 터진지 25시간만인 6월25일 오후 3시 회의를 열고, 북한침략자들에게 전투를 중지하고 38선으로 철수하라고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김일성은 남한이 먼저 공격했다고 주장하며 유엔 결의를 무시했다. 6월27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또 하나의 결의안을 채택, 유엔 회원국들이 한국을 돕도록 촉구했다. 소련대표 요셉 말리크는 이 회의들에 참석하지 않았는데, 당시 소련은 중공이 자유중국을 대신하여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이 되는 것을 미국이 거부한 것에 항의하기 위해 그해 1월부터 계속 유엔회의를 보이콧해왔었다.
그렇더라도 말리크는 회의에 출석하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 할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출석하지 않았다. 왜일까? 일부 역사가들은 이렇게 믿고있다. 즉, 미국이 유엔 깃발 아래 한국전에 참전하면 유엔이 미국의 꼭두각시처럼 보일것이고, 그렇게되면 결국 유엔은 파괴되고 말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쏘련이 일부러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8>
No sooner had the United Nations asked its members to help South Korea than President Truman ordered General MacArthur to send air and naval forces to South Korea immediately, but not ground troops yet.
Back in Korea, President Rhee and his Austrian-born wife, Francesca, along with some of his cabinet members and their families, hurriedly left Seoul by a special train at 7 a.m. June 27. Three hours later, the South Korean defense ministry lied to the citizens over the radio that their government was still in Seoul and urged them not to panic. The defense ministry
feared that masses of refugees would jam main highways, railroads and the Hahngang River bridge, if they knew the president had already fled south.
President Rhee went as far south as Daegoo, and, realizing he had fled too far, ordered his train to head back north to Daejun. There, he was told by the American Embassy officials that U.S. planes and ships were already in action in South Korea. Encouraged, the president went on the radio and told his people that American help was coming!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유엔이 그 회원국들에게 한국을 도와달라고 요청하기가 무섭게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 공군과 해군 병력을 한국에 즉시 파견하라고 매카아더장군에게 명령했다. 그러나 지상군 파견은 아직 명령하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이대통령과 그의 오스트리아 태생 부인 프란체스카여사, 그리고 일부 각료와 그들의 가족들은 특별열차 편으로 6월27일 오전 7시 황급히 서울을 떠났다. 3시간 뒤 한국 국방부는 라디오방송을 통하여 정부가 아직 서울에 있다고 거짓말을 하고 시민들은 당황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국방부는 만일 대통령이 이미 남쪽으로 피신한 것을 시민들이 알면 피난민들의 무리가 주요 도로와 철도 그리고 한강 다리들을 가득 매우게 될 것을 우려했다.
이대통령은 대구까지 내려갔다가 너무 남쪽으로 멀리 갔음을 깨닫고 열차를 다시 북으로 돌려 대전으로 갔다. 거기서 그는 미대사관 관리들로부터 미공군기외 해군함정이 이미 한국에서 작전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고무된 이대통령은 방송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미국이 도우러 오고있다고 말했다.
<9>
At 2:30 a.m., June 28, a deafening explosion cut the Hahngang River bridge in half. In a desperate effort to stop the advancing Communists, the South Korean army engineers dynamited the vital bridge too soon, killing and wounding hundreds of soldiers and civilians crossing the bridge. Among the wounded were war correspondents from the New York Times and TIME magazine. Another reporter, the young and pretty Marguerite Higgins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and KMAG acting head Col. Wright were minutes away from becoming victims of the explosion. Higgins and Wright had to cross the river by boat. So did thousands of ROK troops, including Col. Baik, commander of the retreating 1st Division. (The ROK army later court-martialed Col. Choi Chang-sik, chief of the army engineering corps, for prematurely blowing up the bridge. He was sentenced to death and was executed. But 12 years after his execution, he was acquitted in a retrial.)
As Baik and his troops were crossing the river by small boats, American planes, mistaking them for enemy soldiers, dropped bombs, barely missing the South Koreans. Baik was both angry and happy. “They’re American planes! Now we have hope!” he shouted.
6월28일 오전 2시30분 고막을 찢는듯한 폭발음과 함께 한강다리가 둘로 쪼개졌다. 공산군의 진격을 막아보려는 처절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군 공병대가 중요한 한강교를 너무 일찍 다이나마이트로 폭파하는 바람에 다리를 건너던 군인과 민간인 수백명이 죽거나 다쳤다. 부상자 중에는 뉴우욕 타임즈와 타임지 종군기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 한명의 기자--뉴우욕 헤랄드 트리뷴의 젊고 예쁜 마아게리트 히긴즈--와 미군사고문단장 서리 라이트 대령은 불과 몇분 차이로 폭발의 희생자가 되는 것을 모면했다. 히긴즈 기자와 라이트 대령은 보트를 타고 한강을 건너야했다. 후퇴하던 1사단장 백선엽대령을 포함한 수천명의 국군 장병들도 마찬가지였다. (국군은 나중에 육군 공병감 최창식 대령이 한강을 너무 일찍 폭파했다는 혐의로 군법회의에 회부, 사형을 선고하고 집행했다. 그러나 사형당한지 12년 후 최대령은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았다.)
백대령과 장병들이 작은 배를 타고 한강을 건너고 있을 때 그들을 적군으로 오인한 미군기가 근처에 폭탄을 투하, 하마트면 한국군을 맞힐뻔 했다. 백대령은 화가났지만 기쁘기도 했다. “미군기다! 이제 우리한테 희망이 있다!”고 그는 소리질렀다.
<10>
By midmorning of June 28, the North Korean troops and tanks marched through downtown Seoul. Just three
days after the launch of the invasion, the capital city of the Republic of Korea fell to the enemy!
A South Korean-born Communist, Lee Sung-yup, was named mayor of Seoul. The invaders arrested South Korean luminaries who had had no chance to flee, and sent them to kangaroo courts called “people’s courts.” One of the kangaroo court victims was novelist Kim Pal-bong who almost died from barbarous lynching by the Communists and their collaborators. The North Koreans took many South Korean dignitaries to the north when they retreated three months later.
This writer was a second-grader in elementary school when the Communists took Seoul. One day we were told to go to school. At school the Communists taught us North Korean military songs. After 50 years, I still remember the tunes and lyrics.
6월28일 아침 나절쯤에는 벌써 북한군과 탱크가 서울 중심가를 행진했다. 침략이 시작된지 단 사흘만에 대한민국의 수도가 적에게 함락된 것이다!
남한 출신 공산주의자 이승엽이 서울 시장으로 임명되고, 침략자들은 도피할 기회를 잃은 남한
저명인사들을 체포, “인민재판”이라 불리우는 엉터리 재판에 회부했다. 이 인민재판 피해자의 한사람인 소설가 김팔봉은 공산주의자와 그들의 부역자들에 의해 야만적인 린치를 당하고 거의 죽을뻔했다. 북한군은 3개월 후 후퇴할 때 많은 남쪽 저명인사들을 북으로 끌고 갔다.
공산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 필자는 초등학교 2학년이었다. 어느 날 우리는 등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학교에서 공산주의자들은 우리에게 북한군가를 가르쳤다. 50년이 지났어도 나는 아직 그 노래들의 곡과 가사를 기억하고 있다.
<11>
On the fifth day of the war, June 29, General MacArthur flew from Tokyo to Soowon, about 30 kilometers south of Seoul. As his plane approached the airstrip, a North Korean YAK fighter swooped down and shot at it. Everyone on board ducked, but the general calmly
looked out the window and saw one of the four Mustang fighters that were escorting him zero in on the enemy plane. “We’ll get him cold,” MacArthur said casually.
MacArthur took a briefing from U.S. and ROK army officers, and then jeeped to the outskirts of Seoul. Arriving there, he walked up a hill overlooking the Hahngang River. Seoul was burning and smoking beyond the river. He could see retreating ROK troops and refugees streaming south. Enemy shells whistled overhead, but he did not flinch. Suddenly MacArthur told Captain James Hausman, the KMAG officer who had played a key role in setting up the ROK army, that he would like to see Col. Kim Jong-gap, one of his personal friends. Hausman said it would be too dangerous for the general to go farther forward, but MacArthur insisted on seeing the Korean officer.
전쟁 5일째인 6월29일 매카아더 장군은 토오쿄오로부터 서울 남쪽 약30킬로 지점에 있는 수원으로 날아갔다. 그의 비행기가 비행장에 접근할 때 적의 야아크 전투기 한 대가 갑자기 내려와 장군의 탑승기를 향해 사격을 가했다. 비행기에 탄 사람들은 모두 엎드렸으나 장군만은 침착하게 창문을 내다보았다. 그를 호위하고 있는 4대의 머스탱 전투기 중 한 대가 적기를 추격하는 것을 보고 장군은 “저 녀석 단단히 혼이나겠군!”이라고 예사롭게 말했다.
장군은 미군과 한국군 장교들로부터 브리핑을 듣고나서 찝차로 서울 외각지대로 향했다. 거기에 도착해서 그는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걸어올라갔다. 강건너 서울은 불타며 연기를 내뿜고 있었다. 장군은 퇴각하는 한국군과 피난민들이 남쪽으로 물밀 듯이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적의 탄환이 머리 위를 쌩쌩거리고 날아갔으나 장군은 움칠하지도 않았다. 갑자기 장군은 제임스 하우스먼 대위---한국군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한 미군사고문단 장교---에게 그의 개인적인 친구의 한 사람인 김종갑 대령을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하우스먼 대위는 거기서 더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으나 장군은 그 한국군 장교를 꼭 만나겠다고 고집했다.
<12>
General MacArthur met Col. Kim and, through Kim’s interpretation, talked with a Korean noncommissioned officer.
“When are you going to withdraw, soldier?”
“We’re not going to withdraw until we’re ordered to, sir. We will fight to the last man,
General!”
“Good! What do you need the most right now?”
“We need weapons with which to fight the enemy tanks, sir!”
“All right, soldier. As soon as I get back to Tokyo, I shall send American troops to help you. Till then stand and fight!”
“Yes, sir, General!”
This exchange between the five-star general and the noncom, known only as Sergeant Bahk, remains a legend in the South Korean army.
매카아더 장군은 김종갑 대령을 만났다. 그리고 그의 통역으로 한 한국군 하사관과 대화를 나누었다.
“자네들은 언제 후퇴할 생각인가?”
“후퇴 명령이 내릴때까지는 후퇴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마지막 한 사람까지 싸우겠습니다, 장군님!”
“좋아. 지금 자네들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적의 탱크와 맞서 싸울 무기가 필요합니다!”
“알았네. 내가 토오쿄오로 돌아가는 즉시 자네들을 도우기 위해 미군을 파견하겠네. 그때까지 견디고 싸우게!”
“네, 장군님!”
5성 장군과 하사관(박중사로만 이름이 알려짐)의 이 대화는 한국군의 전설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정일권 회고록에서 인용)
<13>
General MacArthur and his entourage jeeped back to Soowon. President Rhee, who had flown there from Daejun, the temporary capital, was waiting for the general in front of the College of Agriculture building being used by the military. The two men, both in their seventies, embraced. Suddenly Rhee said smiling, “General, you are stepping on rice sprouts!” “I didn’t know, Mr. President. I’m sorry,” MacArthur apologized, stepping aside. They had been old friends since the days in the United States. MacArthur had attended President Rhee’s inauguration ceremony two years before.
During an hour-long private meeting with the Korean president, the general promised American aid. Flying back to Tokyo that night, MacArthur told Miss Higgins, the good-looking New York Herald Tribune reporter, that he would send President Truman his recommendation for immediate dispatch of U.S. ground troops to Korea. “But” he said, “I have no idea whether the President will accept my recommendation.”
매카아더 장군 일행은 지프차를 타고 수원으로 되돌아갔다. 임시 수도 대전에서 비행기를 타고 날아온 이승만 대통령이 당시 군대가 쓰고있던 농과대학 건물 앞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모두 70대 노인인 두 사람은 포옹했다. 갑자기 이대통령이 “장군, 모판을 밟지말아요!”라고 웃으며 말했다. “몰랐습니다, 각하, 죄송합니다” 매카아더 장군은 옆으로 옮기면서 사과했다. 두 사람은 미국에 살 때부터 사귄 오랜 친구였다. 장군은 2년 전 이대통령의 취임식에도 참석했었다. (프란체스카여사 회고록에서 인용)
두 사람은 한 시간 동안 단둘이 만났는데, 이 자리에서 장군은 이 대통령에게 미국의 원조를
약속했다. 그날 밤 토오쿄오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장군은 미모의 뉴우욕 헤랄드 트리뷴지 기자 히긴즈양에게 미국 지상군의 신속한 한국 파견을 트루먼 대통
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통령이 내 건의를 받아드릴지는 모르겠소”라고 장군은 말했다. (히긴즈 기자의 저서 War in Korea에서 인용)
<14>
President Truman did accept MacArthur’s recommendation and on June 30, Washington time, he ordered the general to send part of the U.S. divisions stationed in Japan to Korea immediately. On the same day, President Rhee named Major General Jung Il-gwon ROK army chief of staff, replacing Major General Chae Byung-duk. A graduate of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 Academy, Chae blamed the North Korean invaders for his premature downfall, and was eager to become a field commander. He used to say to his friends that he wanted to die in battle like a real soldier. So, he volunteered to lead a battalion resisting the Communists near Hahdong. He was hit by enemy fire and died instantly in late July, becoming the highest-ranking ROK army officer to be killed in action.
General Jung, the 34-year-old new army chief of staff, had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the preceding day on board a special plane provided by General MacArthur at the request of President Rhee. Jung had attended the U.S. Army Infantry School in Georgia only two months when he was called back home due to the war.
트루먼 대통령은 매카아더 장군의 건의를 받아드려 워싱턴 시간으로 6월30일 일본주둔 미군 사단 병력 일부를 즉시 한국으로 파견하라고 장군에게 명령했다. 같은 날 이승만 대통령은 육군참모총장을 경질, 채병덕 소장 후임으로 정일권 소장을 임명했다. 일본제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인
채장군은 자신의 때이른 몰락을 북한 침략자들의 탓으로 돌리고 야전군 지휘관이 되기를 원했다.
그는 친구들에게 진짜 군인답게 전사하고 싶다고 말하곤 했다. 그래서 그는 자원하여 경남 하동 근처에서 적을 저지하고 있던 1개 대대 병력을 지휘했다. 그는 7월 하순 적의 사격을 받고 즉사함으로써 전투 중 순직한 최고위 한국군 장교가 되었다.
34세의 신임 육군 참모총장 정일권 장군은 바로 전날 이대통령의 요청으로 매카아더 장군이 마련해준 특별기편으로 미국으로부터 귀국했다. 정장군은 조지아주의 미육군보병학교에 유학을 갔다가 전쟁 때문에 겨우 2개월만에 본국으로 소환되었다.
<15>
Fortunately for the defenders, the North Korean invaders stayed put in Seoul for three days. This mysterious delay gave the United States precious time to send ground troops to
Korea before it was too late. It also gave the South Korean army a breather to regroup after initial defeats. Why did the Communists delay their southward march?
Some historians speculate that the invaders simply needed a rest after a hectic three-day drive, and they also needed time to prepare for crossing the Hahngahng River by boats and rafts. Others theorize that perhaps the North Koreans waited for South Korean workers and peasants to rise up against the Rhee Syngman government as they mistakenly had expected. One of the reasons Kim Il-sung was so sure of his swift victory was his illusion that the South Korean population would welcome a unified Korea under his leadership.
Whatever the reasons, if the North Koreans had not delayed their advance for three full days, many scholars believe, history might have been written differently.
방어군에게는 다행스럽게도 북한 침략군은 서울에서 3일간 머물렀다. 그들의 이 이상한 지체 때문에 미국은 때가 너무 늦기 전에 지상병력을 한국에 파견할 귀중한 시간을 벌었고, 또한 초기에 패배를 당한 남한 군대에게는 한숨돌리고 재조직할 시간을 갖게되었다. 공산주의자들은 왜 남진을 지체했는가?
어떤 역사가들은 침략자들이 3일간의 열띈 공세 끝에 단지 휴식이 필요했던 것 뿐이고 또 배나 뗏목을 이용하여 한강을 건널 준비를 하는데도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또 어떤 역사가들은 북한군이 잘못 기대하고 있었던대로 남한의 노동자 농민들이 이승만 정권에 대항하여 봉기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추론한다. 김일성이 신속한 승리를 확신하고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남한 국민들이 김일성 주도로 한국이 통일되기를 바라고 있다는 환상을 그가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유가 무엇이었든 간에, 만일 북한군이 만 3일간 남진을 지체하지 않았더라면 역사는 다르게 씌여졌을 것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믿고있다.
<16>
On July 1, the North Koreans began to move again. They crossed the Hahngang River, took Soowon and pushed toward Osan. The same day, the first group of American ground troops arrived in Busan from Japan. It was a 406-man advance group called “Task Force Smith.” It was commanded by Lt. Col. Charles B. Smith, a 34-year-old West Point graduate. Smith had fought the Japanese in the Pacific, but two thirds of his officers had no combat experience and most of his enlisted men were poorly trained youth around the age of 20. They thought the North Koreans would run away once they saw the “invincible” Americans.
Task Force Smith took up hilltop positions at Jookmiryoung near Osan on July 5. A few minutes past 8 a.m. the GIs saw North Korean tanks roll down the Seoul-Busan highway. They fired bazookas, but the 2.36-
inch shells bounced off the heavy tanks. Due to the rainy weather, American air support was impossible. The result of the first ever clash between the Americans and the Communists was a tragic defeat for the Americans with heavy casualties. Miss Higgins, the pretty and brave reporter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witnessed this battle. She heard a medic say in front of a 19-year-old private’s dead body, “What a place to die!”
7월1일 북한군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들은 한강을 건너가 수원을 점령하고 오산을 향해 밀고내려갔다. 같은 날, 최초의 미국 지상군 부대가 일본으로부터 부산에 도착했다. 그것은 406명으로 구성된 선발대로 “스미스 특공대”라 불리웠다. 지휘관인 찰스 스미스 중령(34세)은 웨스트 포인트 (미국 육사) 출신으로 태평양 전쟁 때 일본군과 싸웠으나 그의 부하 장교들의 3분의 2는 전투 경험이 없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병들은 제대로 훈련을 받지못한 스무살 안팎의 젊은이들이었다. 그들은 북한군이 “무적의” 미군을 보기만 하면 도망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스미스 트공대는 7월5일 오산 근처 죽미령 고지에 배치되었다. 오전 8시가 조금 지나서 그들은 북한군 탱크가 경부국도를 따라 굴러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그들은 바주카포를 발사했으나 구경 2.36인치 바주카포탄은 육중한 적 탱크를 맞고 튕겨나갈 뿐이었다. 비오는 날씨 때문에 미공군기의 지원은 불가능했다. 미군과 공산군의 사상 첫 충돌은 많은 사상자를 낸 미군의 참패로 끝났다. 예쁘고 용감한 뉴우욕 헤랄드 트리뷴지 기자 히긴즈양은 이 전투를 목격했다. 그녀는 열아홉살 먹은 2등병의 시체 앞에서 한 위생병이 이렇게 말하는 소리를 들었다. “이런 데서 죽다니!”
<17>
On July 8, with the approval of the UN Security Council, President Truman named General MacArthur commander-in-chief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MacArthur appointed Lt. Gen. Walton Walker, head of the Eighth U.S. Army, as the commander of the UN ground forces in Korea.
Walker flew to Daejun and ordered Maj. Gen. William Dean, commander of the 24th Infantry Division, to hold the Communists north of Daejun to buy time for more U.S. army divisions and the troops from other UN countries to arrive in Korea. Dean deployed his troops along the south banks of the Gumgang River, the strategically important natural obstacle. The GIs blew up all the bridges, but during the night of July 14-15, the North Koreans crossed the river using rafts and barges. Some of them even swam. Outnumbered, Dean’s 24th Division suffered heavy casualties and retreated south to the Daejun area. The same day, President Rhee placed the South Korean armed forces under the UN command for effective conduct of the Allied operations. Although they fought gallantly, the poorly trained and inadequately equipped South Koreans played only a supporting role for the Americans who bore the brunt of the fighting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7월8일 트루먼 대통령은 유엔안보리의 승인을 받아 매카아더 장군을 유엔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했고, 매카아더는 미8군 사령관 월튼 워어커 중장을 유엔군 지상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워어커는 대전으로 날아가 24보병사단장 윌리엄 딘 소장에게 더많은 미군 사단 병력과 다른 유엔 회원국 군대가 한국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해 공산군을 대전 북방에서 저지하라고 명령했다. 딘장군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연 장애물인 금강의 남쪽 강변에 병력을 배치했다. 미군은 금강의 다리를 모두 폭파했으나, 북한군은 7월 14-15일 밤사이 뗏목과 바아지선을 이용해 강을 건넜다. 적군의 일부는 심지어 헤엄을쳐 건넜다. 숫적으로 열세한 딘장군의 24사단은 많은 사장자를 내고 남쪽의 대전 지역으로 후퇴했다. 같은 날, 이승만 대통령은 효과적인 유엔군 작전 수행을 위해 한국군을 유엔군 사령관 휘하에 배속시켰다. 한국군은 용감히 싸웠으나 훈련과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전쟁 초기에는 주공을 맡은 미군의 조연 역할 밖에 하지 못했다.
<18>
Dean’s 24th Division put up fierce resistance in Daejun, but the city fell on July 20. Dean personally fought enemy tanks, leading a bazooka team. A desperate Dean even fired his pistol at the tanks. Outnumbered again, the GIs had to retreat, leaving over 1,000 killed, wounded or missing. During the disorderly retreat, Dean got lost and roamed the surrounding hills for five weeks in starvation and exhaustion until two South Korean civilians found and betrayed him to the Communists near Jinan. (The two men received a small cash prize from the North Koreans, but later they were arrested and put in jail by the South Korean authorities.)
Maj. Gen. Dean, who had been American military governor in South Korea prior to the birth of the Korean republic, was the highest-ranking U.S. prisoner of war in Korea. He was freed at the war’s end in 1953 and wrote his memoirs. During his three-year captivity he fought loneliness and tedium by counting the flies he swatted, according to his book. He also made this interesting observation that Koreans finished their meal by drinking the water with which they had cleaned the rice-cooking pot. He received the Medal of Honor for his bravery in the battle of Daejun. “I wouldn’t have awarded myself a wooden star for what I did as a commander,” he said.
딘장군의 24사단은 대전에서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이 도시는 7월 20일 함락되었다. 딘장군 자신도 바주카포 팀을 지휘하며 싸웠다. 처절한 심정이 된 딘장군은 심지어 자기 권총을 꺼내 적 탱크를 향해 쏘기도 했다. 또다시 중과부적이 된 미군은 1천명 이상의 사상자와 실종자를 남기고 후퇴해야만 했다. 무질서한 후퇴 와중에 딘장군은 길을 잃고 주변의 야산에서 5주일 동안 굶주림과 피로에 지쳐 방황하다가 진안 근처에서 두 명의 남한 민간인에게 발견되어, 그들의 배반으로 공산군에게 잡혔다. (그 두 명은 북한군으로부터 약간의 현금을 상으로 받았으나 나중에 남한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대한민국이 탄생되기 전에 미군정장관으로도 일했던 딘소장은 한국전 미군 포로 중 가장 계급이 높았다. 그는 1953 전쟁이 끝났
고록을 썼다. 그 책에 의하면, 그는 외로움과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파리채로 파리를 잡고 그 수를 세었다. 그는 또 한국 사람들은 밥솥 씻은 물(숭늉을 가리킴)을 마심으로써 식사를 끝낸다는 재미있는 관찰도 적어놓았다. 그는 대전전투에서 용감히 싸운 공로로 (미국 의회가 주는) 무공훈장을 받았다. “나는 지휘관으로서는 나무 훈장을 받을만한 자격조차 없다”고 그는 말했다.
<19>
The American and South Korean troops were driven back to the next and last natural defense, the Nakdonggang River. In just five weeks the North Koreans had occupied all of South Korea but a small rectangular area (80 kilometers wide and 160 kilometers long) south and east of the river. The Americans called the area “the Pusan Perimeter” because at the southeastern tip of the area lay South Korea’s second largest city Busan. The invaders and the defenders were confronting each other along 240 kilometers of the 525-kilometer-long river.
On July 27, General MacArthur flew to Daegoo, the new temporary capital of South Korea, and ordered General Walker to hold the enemy beyond the Nakdonggang at all costs. MacArthur hinted at a massive landing operation behind the enemy lines in the near future. Two days later, Walker told his officers, “There will be no more retreating. There’s no line behind us to which we can retreat. We’re going to hold this line. Stand or die!”
Premier Kim Il-sung, commander-in-chief of the North Korean armed forces, came down
as south as Gimchun just north of the Nakdonggang, and urged his troops to capture Busan
by August 15, the fif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t any cost.
미군과 국군 병력은 다음이자 마지막 자연 방어물인 낙동강으로 밀려났다. 단 5주일만에 북한군은 낙동강 남쪽과 동쪽의 작은 직사각형 지역(가로 80km, 세로 160km)을 제외한 남한 전체를 점령했다. 미군은 이 (직사각형)지역을 “부산 한계선”이라 불렀다. 왜냐하면 이 지역 동남쪽 끝에 남한 제2의 도시 부산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침략군과 방어군은 낙동강 525km 중 240km에서 서로 대치하고 있었다.
7월 27일 매카아더 장군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임시 수도 대구로 날아와 워어커 장군에게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북한군을 낙동강 너머에서 저지시키고 있으라고 명령했다. 그는 가까운 장래에 적의 후방에 대한 대규모 상륙작전이 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 이틀 후 워어커는 휘하 장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더 이상의 후퇴는 없다. 우리 뒤에는 더 후퇴할 전선도 없다. 우리는 이 전선을 지킨다. 목숨을 걸고 사수하라!”
북한군 총사령관인 김일성 수상은 낙동강 바로 북쪽의 김천까지 남으로 내려와 일본으로부터의 해방 5주년 기념일인 8월 15일까지 무슨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부산을 점령하라고 인민군을 독려했다.
<20>
August 15 came and went but the North Koreans could not even cross the Nakdonggang. They had lost the bulk of their best troops. To make up for lost manpower they even conscripted teen-agers. (ROK army chief of staff Gen. Jung Il-gwon himself once interrogated a 15-year-old North Korean POW). The invaders’ long supply line had been pounded daily by American fighters and bombers. In the meantime, more GIs and troops from 15 other UN nations kept arriving in Busan. Now the Allies outnumbered the North Koreans.
In an effort to take Daegoo, South Korea’s third largest city located south of the Nakdonggang, the Communist artillery fired 120mm rocket shells into the city on August 18. Alarmed, President Rhee and his cabinet members, left Daegoo for Busan. The next day, the North Koreans launched a massive attack on Dabudong, a short distance from Daegoo, but the South Koreans and Americans managed to repel the attackers. It was one of the bloodiest battles of the war.
The UN forces successfully defended the vital Nakdonggang line for 45 days---the whole month of August and the first half of September---living up to Walker’s “stand or die” order. These 45 days saw tens of thousands of soldiers die on both sides of the river under the sizzling summer sun.
8월15일은 지나갔으나 북한군은 낙동강도 넘지 못했다. 북한군은 정예병력 반 이상을 잃었고,
부족한 병력을 채우기 위해 심지어 10대 소년들까지 징집했다.(한국 육군참모총장 정일권 장군은 한때 15세의 북한군 포로를 직접 신문한 적도 있었다). 침략군의 긴 보급로는 미공군의 전투기와 폭격기들이 매일같이 공격했다. 그러는 동안 더 많은 미군과 다른 15개 유엔회원국 군대가 계속 부산에 도착했다. 이제 유엔군이 북한군 보다 숫자가 많아졌다.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남한 제3의 도시 대구를 점령하기 위해 공산군은 8월 18일 120mm 로케트포탄을 대구 시내를 향해 쏘았다. 놀란 이승만 대통령과 장관들은 대구를 떠나 부산으로 피신했다. 다음 날, 북한군은 대구 북쪽의 다부동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가했다. 그러나 국군과 미군은 가까스로 적을 격퇴시키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한국전의 가장 피비린내나는 전투의 하나였다.
유엔군은 사활이 걸린 낙동강 전선을 45일간--8월 한달과 9월 상반--방어하는데 성공, 워어커 장군의 “목숨을 걸고 사수하라”는 명령을 지켰다. 이 45일간 낙동강 양쪽에서 수만명의 군인들이 이글거리는 여름 태양 아래서 죽어갔다.
<21>
A few miles off Inchon, a fleet of 261 ships with 70,000 troops on board were waiting
in the early morning darkness of September 15, 1950 for a go-ahead signal from General
MacArthur’s command ship Mt. McKinley. Operation Chromite, as the historic Inchon landing was officially called, was about to begin.
When MacArthur had presented his landing plan to his superiors in Washington for approval, they had seen only a one-in-5,000 chance for the operation to succeed. The main reason was the natural disadvantage of the Inchon harbor. Inchon had one of the highest tides in the world. At high tide, the sea rose up to 12 meters and then the waters ebbed away within four hours. Unless landing craft carrying troops and supplies speedily entered the harbor through the narrow channel within those four hours, they could be stranded on mud flats before reaching the shore. In such a case, they would be sitting ducks for enemy artillery fire. This very disadvantage was the main reason MacArthur had chosen Inchon, because the Communists would think Inchon was the least likely place for a UN landing operation, if any.
인천에서 몇마일 떨어진 해상에 7만명의 군인을 태운 261척의 배가 1950년 9월 15일 이른 아침 어둠 속에서 매카아더 장군의 사령선 마운트 매킨리호로부터 작전 개시 신호가 떨어지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크로마이트 작전(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의 공식 명칭)이 막 시작되려는 참이었다.
매카아더가 워싱턴에 있는 그의 상관들의 승인을 받기 위해 상륙작전 계획을 제출했을 때, 그들은 이 작전이 성공할 가능성을 5천분의 1로 밖에 보지 않았다. 인천항의 자연적 약점이 그 주된 이유였다. 인천은 세계에서 가장 파고가 높은 곳 중의 하나다. 밀물 때에는 파고가 12미터까지 올라간 다음 4시간 이내에 물이 빠진다. 이 4시간 동안 군대와 보급물자를 나르는 상륙정들이 좁은 수로를 통해 항구 안으로 재빨리 들어가지 못하면, 상륙정들은 해안에 도착하기도 전에 뻘밭에 빠져 오도가도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상륙정들은 (앉아있는 오리들처럼) 쉽게 적의 포격 목표가 될 것이다. 바로 이 불리한 점 때문에 매카아더는 인천을 택했다. 유엔군이 상륙을 기도한다면 인천이 상륙지점으로 선택될 가능성은 가장 적다고 공산군이 생각할것이기 때문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