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했다.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지면서 7월 비농업 고용 결과의 충격에서 빠르게 벗어났다.
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85.06포인트(1.34%) 뛴 44,173.6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1.93포인트(1.47%) 튀어 오른 6,329.94, 나스닥종합지수는 403.45포인트(1.95%) 급등한 21,053.58에 장을 마쳤다.
증시에 영향을 줄 만한 경제지표나 이벤트는 별달리 없었다. 지난주에 주요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이벤트가 휘몰아쳤던 만큼 이번 주는 상대적으로 잠잠한 분위기다.
그럼에도 이날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것은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장 마감 무렵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은 더 강해졌다.
데일리는 이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동결) 결정은 안심됐지만 그와 같은 결정을 거듭하게 된다면 편안함은 덜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남은 기간 2회 금리인하는 여전히 적절한 분량의 금리 재조정으로 여겨진다"며 "금리인하를 2회보다 적게 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우리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0.3%에서도 추가로 상승하며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3회(75bp) 인하된다는 베팅도 전날의 46.4%에서 데일리의 발언 후 51.2%로 튀었다.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이다.
더블라인캐피털의 제프리 건들락 최고경영자(CEO)는 "경제 데이터가 약해졌음에도 연준은 올해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 전략가는 "오늘은 반등하는 날이라며 "주가는 하락 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바로 그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기술과 통신서비스는 2% 이상 뛰었고 소재와 의료건강, 유틸리티도 1% 이상 상승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아마존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였다.
엔비디아가 3.6% 올랐고 메타와 브로드컴, 알파벳도 3% 이상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도 2%대 강세였다. 반면 아마존은 1.44% 밀려 반등 분위기를 즐기지 못했다.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린아 팔란티어는 이날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뛰고 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이 10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16달러를 기록했다.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매출이 9억4천만달러, EPS는 0.14달러였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는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자사주 매입이 올해 들어 중단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2.9% 하락했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업체 피그마는 주가가 27.38% 폭락했다. 지난달 31일 증시에 상장되며 하루에 250% 폭등했던 피그마는 이날 가파르게 되돌림이 일어났다.
의류업체 아메리칸이글은 백인 우월주의적 광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 지지한 데 힘입어 주가가 23% 폭등했다.
한편 트럼프는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를 엄청난 양으로 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중 상당 부분을 국제시장에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며 인도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달 7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관세를 이보다 더 높이겠다는 것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86포인트(14.03%) 떨어진 17.52를 가리켰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