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국·EU 정상, 나토 수장 집결…미-러 사우디 협상 앞두고 잰걸음
▶ ‘美 없는 유럽 안보’ 논의…방위비 증액 논의도 속도
▶ 종전 뒤 ‘안보 청구서’ 감당이 종전 협상 발언권 관건
![](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5/02/16/20250216105133671.JPG)
EU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로이터]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급속히 전개되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논의에서 사실상 배제된 유럽이 목소리를 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AFP 통신,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파리에서 주요국 정상을 초청해 비공식 긴급회의를 열기로 했다.
영국과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덴마크 정상과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초청받았다.
EU 관계자는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의 참석을 확인하면서 이에 따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과 키스 켈로그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의 회동은 그다음 날인 18일로 연기됐다고 말했다.
영국 총리실은 키어 스타머 총리의 회의 참석을 확인하면서 스타머 총리가 이달 내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할 때 이번 회의에서 나온 메시지를 들고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정권 교체로 급변한 미국의 태도에 유럽을 덮친 불안과 다급함을 그대로 보여준다.
미국이 러시아와 직접 접촉해 유럽의 장기적 안보에 영향을 미칠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주도하면서 유럽을 '패싱'하고 자국 이익을 우선 내세웠기 때문이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은 이번 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공식 협상을 시작할 것으로 전해진다.
파리에서 열릴 유럽 정상들간 비공식 회의에서는 종전 협상에서 유럽을 배제하려는 듯한 트럼프 정부에 대한 유럽의 대응,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파병안을 포함한 전후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당국자들을 인용해 우크라이나를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놓을 방안 외에도 향후 미국의 관여가 없더라도 유럽 방위를 보장할 구체적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 유럽 외교관은 가디언에 "유럽은 협상에서 직접 손을 쓰지 못하고도 그에 따른 합의에 대해선 경찰 역할을 하라는 요구를 받을 것"이라며 "그러면서 트럼프는 우크라이나 희소 광물에 50% 지분을 요구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미국은 유럽 동맹국들에 지난주 외교 문서를 보내 우크라이나 종전 합의의 일부로 유럽 각국이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우크라이나에 파병할 수 있는지, 유럽 주도 평화유지군의 규모는 어떻게 될지 등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유럽 외교관들은 유럽 각국이 이에 어떻게 응답할지 논쟁이 있지만, 유럽의 집단적인 응답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있다고 전했다.
유럽이 미국 주도의 협상에서 한자리를 차지하려면 유럽이 실질적 대안을 내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거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유럽 내부에서도 나온다.
뤼터 사무총장은 전날 뮌헨안보회의 참석 중 유럽이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을 위한 '좋은 제안'을 내놔야 한다면서 "유럽이 발언권을 얻기를 바란다면 더 유의미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스타머 총리는 이번 회의와 관련, "오늘날 세계의 현실과 러시아의 위협에 맞선 우리 국가 안보를 위한 한 세대에 한 번뿐인 순간"이라며 "유럽이 나토에서 더 큰 역할을 맡아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특히 "동맹의 분열로 우리 외부의 적에 맞서는 데 주의가 분산돼서는 안 된다"며 흔들리는 미국과 유럽 간 관계를 다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럽 안팎에선 유럽이 얼마만큼 우크라이나 종전에 따른 '안보 청구서'를 감당할지가 관건이라는 게 일관된 관측이다.
미국의 켈로그 특사는 전날 뮌헨안보회의에서 유럽을 향해 "협상 테이블 배석 여부를 불평할 게 아니라 구체적 제안과 아이디어를 마련하고 방위비를 증액해야 한다"고 거듭 압박했다.
뤼터 총장도 파리에서 열릴 정상 회의가 "우크라이나 협상 타결 시 유럽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명확해질 수 있도록 방위비 지출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유럽이 자체 군대를 창설할 때가 왔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문제는 유럽이 미국의 요구만큼 방위비를 감당할 수 있는지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의 '안보 무임승차'를 거론하며 미국이 유럽의 안보를 위해 돈을 쓰지 않겠다고 꾸준히 경고했지만 유럽의 대응이 빠르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잭 와틀링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선임 연구원은 16일 가디언 기고에서 "평화를 바란다면 평화를 유지할 군에 투자해야 한다"며 "유럽에는 돈이 있다. 분명하지 않은 것은 영국을 비롯한 우크라이나의 유럽 파트너 국가가 그 돈을 쓸 의지가 있느냐다"라고 꼬집었다.
상황이 급박해지면서 유럽이 방위 지출을 늘리고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방위력 강화에 속도를 내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유럽이 방위비 증액 등 새로운 군사 강화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이달 23일 독일 총선이 끝난 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서두르면서 유럽 각국이 군사적 지원책을 빨리 내놓지 않으면 우크라이나가 '재앙적인' 종전 합의로 내몰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유럽 당국자들에게 부활절(4월 20일)까지 휴전을 확보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영국도 스타머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재무부가 난색을 보이는데도 국방비 증액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