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하버드 중 어디가 더 어려울까? 라는 질문에 서울대가 훨씬 어렵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 많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미국에 사는 한국 사람들 특히 한국에서 대학을 나오고 지금도 한국 입시에 조금이나마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같은 대답을 하리라 생각된다.
미국에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수시와 정시의 개념이 있다. 한국 수시는 미국의 조기 전형 즉, 어얼리(Early apply)라 부르고 어얼리에서도 디시전(Decision)과 액션(Action)으로 구분되는데 어얼리로 뽑는 비율이 보통 전체인원의 반 정도를 뽑는다고 말하지만, 학과의 정원 인원수가 정확히 나와 있지 않고 학교의 재량껏 뽑는다고 한다.
어얼리를 뽑는 우선순위를 공공연히 알게끔 학교마다 내세우고 있는데 바로 레거시(Regacy)나 기부금이라는 점이 한국과는 판이하게 다른 점이다.
레거시는 한마디로 집안 동문을 말하는데 전통을 내세워 가문을 존중해주겠다는 의도로 왕족의 가문을 잇겠다는 명분과 그들만의 리그를 어느 정도 인정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영국이나 일본 왕족의 계급이 지금 21세기까지 대중들에게 인정받고 있고 사랑받으며 떠받들어져 살아가고 있는 맥락과 어느 정도 맞아떨어진다고 본다. 만약 한국에서 대통령이 서울대를 나왔다고 대통령 자녀가 서울대에 특례로 입학이 된다면 나라가 뒤집어질 정도로 대서특필이 될 터이지만, 미국에서는 그 누구도 그에 대한 일에 불평하지 않는다. 한국은 왕 세습제가 아닌 대통령제 임을 고려할 때 이들 나라와는 절대 불가능한 일임에 틀림 없다.
그런 레거시와 비슷한 개념으로 기부금은 학교의 명예와 존속에 관한 일로 많이 내면 내는 순서대로 합격 여부가 달라진다. 이 또한 한국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만약 삼성이나 현대의 자녀가 학교에 어마어마하게 기부하고 좋은 대학에 간다면 이 또한 특혜 논란으로 학생은 제대로 그 학교에 발도 붙이지 못할 일이 될 것이다. 미국은 그러한 학생의 입학을 당연시한다. 물론 입학은 쉽지만, 졸업이 어려운 나라이므로 학교 측에서는 받아만 주고 나머지는 그 학생의 일이니 알아서 할 일이리라 생각하면 그뿐일 테니 참 편리한 제도이긴 하다.
그 다음 정시(Regular Decision)는 1월 초에서 1월 중순 정도까지 원서를 넣는다. 전 세계가 알고 있는 수능 날에는 비행기도 뜨지 않는다는 일 년에 단 한 차례만 볼 수 있다는 한국의 수능시험이, 미국에서는 고등학생 모두에게 언제 어디에서 누구에게나 기회를 많이 준다. 그것도 한 번이 아닌 일 년에 7-8번 볼 수 있는 자율이 있고 학교 원서도 하루가 아니라 학교마다 그 기간이 다르고 양식도 모두 다르다.
여기에는 장단점이 있는데 시험 기회가 많은 미국은 대학교마다 원하는 것도 모두 달라 만약 10개 학교에 원서를 넣는다면 모두 다른 양식으로 다른 질문에 답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물론 COMMON 양식이 있지만 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른 질문과 답을 해야 한다.
이렇게 어렵게 들어가는 대학이지만 정작 대학을 들어가는 비율이 한국과 미국은 큰 차이가 있다. 일등에서 꼴등까지 오로지 공부에만 매진하는 한국은 고교생 거의 100%가 대학이라는 한 곳을 향해 달리고 어릴 때부터 공부를 잘하나 잘하지 않느냐만을 염두에 두고 질주한다. 그래서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어렵다는 이야기를 한다.
미국은 절대 그렇지 않다. 대학에 가는 비율이 지금은 많이 높아져서 60%를 상회하지만, 그나마도 사립학교가 아닌 사는 지역 주변의 주립학교를 선호한다. 비싼 등록금이 가장 큰 걸림돌이기도 하지만 사회적으로도 학위를 요구하지 않는 청년층의 일자리가 한국에 비해 많다는 이유도 대학 진학률을 저해하는 요소일 수 있다.
물론, 나처럼 이민자들의 교육열은 토박이의 교육열과는 그 결이 다르다. 우리네는 이민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누가 가장 멀리 날아가야 하느냐에 목숨을 걸고 그 지점이 곧 이민사회의 끝 지점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미국 토박이들이 만들어놓은 레거시라는 프레임 안에 들지 못하는 이민자들은 우리끼리 더욱 치열하게 100미터 달리기를 전력 질주해야만 한다. 이 같은 끝 지점이 곧 이민자 2, 3세를 위한 높은 성공의 시작점이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한국을 떠난 지 20년이 흘렀지만, 아직 양육하는 아이가 있어서인지 한국의 입시에도 관심이 간다. 많은 이들이 한국 대학입시에 대해 논한다. 입시는 고등학생의 전유물이 아닌 초등학생으로 그 범위가 내려가더니 이제는 태어나자마자 입시를 준비한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가장 중대한 출산율 저하의 원인을 만들고 있다.
좁은 땅에서 어느 나라보다 뜨거운 교육열과 80% 이상 고학력으로 모두가 똑똑한 나라의 최고 학부 서울대는 하버드 이상으로 어려운 관문임에 틀림이 없다. 아메리칸 드림으로 출발한 이민 생활이 서울대보다는 하버드가 쉽다는 우스갯소리로 위안을 삼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
김지나 엘리콧시티, MD>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5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Regacy ㅋㅋㅋㅋㅋㅋㅋ Legacy겟지 한국일보 사설 수준 정녕 멍청이들밖에없는지 두서없고 무슨말을하려는지 당최 이해가안간다
뭐가 됐든 한국은 미국을 못 따라 간다. 교육도 마찬가지. 한국은 아직 미국 만큼 노 하우가 없다. 서울대가 미국에 있었다면 아마 세계 최고가 되었을 거다.
물론 일류 건설회사의 경우지만 건설업의 숙련 노동자의 연봉이 15만불정도고 고졸 학력이 대부분이라 성실하고 기술만 있다면 독립해서 연봉이 20만불 버는 게 가능한 미국 사회입니다.그래서 공부하기 싫어 하는 자녀가 잇다면 기술 가르쳐주는 커뮤니티칼리지를 생각해 보세요.의사,변호사는 아주 고단한 직업입니다.변호사는 포화 상태라 5만연봉도 힘듭니다.
들어가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나와서 얼마나 인류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는가가 중요 한거다. 단순히 공부 잘 하는거 지 먹고 사는거지 남 라고 뭔 상관이냐! 원 희룡 봐라! 뭘 했나
성공은? 성적 학교 순이 아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