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NCG 통해 대북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주력
▶ 北 당분간 비핵화 회귀 요원…한미, ‘외교복원’ 고심
"우리는 외교를 단념한 적이 없으나 북한이 외교를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제2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참석차 14일 워싱턴에 도착한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의 발언이다.
이는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가 지난 7일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미국 외교의 현안인 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현재 미국과의 외교에 더 이상 관심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한데 대한 의견을 묻는 과정에서 나왔다.
한국과 미국 고위당국자들 한목소리로 북한 문제에 있어 외교보다는 북한 핵과 미사일에 대한 확장억제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장면이다.
이런 판단은 지난 30년간 추구했던 북한 비핵화의 과정을 냉철하게 반성한 결과로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북핵 역사를 되돌아볼 때 북한이 미국 또는 한반도 관련국들과의 외교와 협상을 통해 '핵개발 포기'를 공개적으로 약속 또는 선언했던 합의는 여러 차례 있었다.
1991년 12월 31일 남북한이 합의한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이 첫번째 합의로 볼 수 있는데, 이 선언의 핵심은 남북한이 함께 '핵무기의 개발 포기'는 물론이고 '플루토늄의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도 하지 않기로(금지대상) 약속한 것이었다. 남북한은 상호사찰에도 합의했다.
하지만 북한은 주한미군의 전술핵무기 보유 여부에 대한 사찰 등을 고집하며 자신들의 핵시설 사찰을 거부했고, 이 선언은 1992년 12월 이후 흐지부지됐다.
북한이 비밀 핵개발 의혹이 본격화된 이후 이른바 1차 북핵 위기를 봉합한 1994년 미국과 북한 사이에 합의된 '제네바 합의'를 통해 북한은 2000MW 용량의 경수로 건설과 매년 50만t의 중유 지원을 대가로 영변 핵시설의 동결과 해체에 동의했다.
그러나 이 합의도 미국의 조지 W. 부시 정부 출범과 2002년 '고농축우라늄(HEU) 파동'으로 시작된 2차 북핵 위기의 발발로 합의이행이 중단됐다.
이후 북한은 다시 핵 개발에 주력했다. 결국 미국은 중국과 함께 북한을 협상장에 끌어들였고, 여기에 한국과 일본, 러시아가 참여하는 북핵 6자회담이 2003년부터 시작됐다.
2년 후인 2005년 채택한 '9·19 공동성명'에서 북한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계획을 포기'하기로 약속했고 북한은 경제적 인센티브를 받게 됐다. 이후 이 성명을 이행할 '2·13합의'와 '10·3 합의'도 도출됐지만 이 역시 끝내 이행되지 못했다.
북한은 이후 핵 개발로 질주했다. 결국 2017년 핵무력 완성을 선언했고, 미국은 북한을 강력하게 압박했다.
그런 와중에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8년 갑자기 자신이 직접 나서는 핵 협상을 주도했고, 결국 2018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났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미북 정상회담 결과 미국과 북한 간 새로운 관계 수립, 한반도의 지속적·안정적인 평화 체제 구축,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한국전 참전 유해 송환 등 4개 항의 합의가 도출됐다.
이후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이 한동안 회자됐으나 이는 신기루에 불과했다.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은 미국이 제시한 비핵화 방안에 동의하지 않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장을 나오면서 싱가포르 합의도 휴지 조각이 됐고, 현재까지 비핵화 협의는 진전이 없는 상태다.
이런 과정을 잘 알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당국자들이기에 당분간 북한과의 외교를 추구하되 큰 기대를 갖지 않는 것이다.
캠벨 부장관 후보자는 "그것은 우리가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라고 말했다. 또 김태효 차장은 "북한이 판단을 바꿔서 지금과 같은 일방통행식의 핵 개발로는 경제도, 안보도 밝지 않다는 결론이 나게 된다면 생각을 바꿀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현재는 물론이고 앞으로 상당한 기간 북한은 '핵보유 전략국가'를 과시하며 비핵화와 반대의 길로 갈 것이라는 게 한미 양국의 판단인 것이다.
김 차장이 이날 기자들에게 북한이 이달 중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면서 "북한의 핵 공격을 미리 막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오판을 한다면 핵 공격을 어떻게 초기에 확고하게 제압하느냐가 확장억제"라고 강조한 것은 의미가 커 보인다.
한국과 미국은 NCG 등을 통해 확장억제의 실행력 강화를 집중 협의하게 된다. 그 내용이 한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력한 힘을 담보로 해야만 향후 한반도 정세에서 한미 동맹의 축이 더욱 실효성 있게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양국은 향후 '외교 복원'의 길이 열릴 경우를 상정한 협의에도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북한이 윤 대통령을 윤석열 괴뢰도당이라하는데 어찌이글의 저자는 김정은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 깍듯이 대우하는가? 저자는 공산화되면 기관총 공개처형을 두려워하느나?간도쓸개도 없나?
결국 대한은 미쿡에 의지해 나랄지키겠다는 말 이군요 미쿡을 믿겠다고??? 미처도 적당히 미처야 대한을지키고 우리민족의번영을 이룰수있는디 어찌 남 그것도 말을 요리저리 뒤집을만한 위인들을 믿겠다는건지 난 내가잘해 나를지키고 내 가정 가족을지키는데 어찌하여 남에의지해서 나랄지키겠다하는고...ㅉㅉㅉㅉㅉㅉㅉ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