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전설 같은 이야기지만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붕괴는 전 세계적인 충격이었다. 1945년 2차대전 종전 이후 40여 년간 전 세계를 지배해 오던 냉전시대와 이념 논쟁을 종식시킨 것이다. 이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 개혁)를 이끌었던 고르바초프 전 서기장이 1년 전인 2022년 8월 30일, 91세로 사망했다. 격동의 80년대에 그가 썼던 자서전을 읽은 적이 있다. 다음은 인상 깊었던 3가지 대목이다.
공산당 간부 시절에 지방 시찰 중이었는데 트럭에서 감자가 떨어지고 있는데도 계속 가길래 세워 놓고 운전사에게 이 사실을 물었는데 운전사가, ‘나의 임무는 이 감자 박스를 30분 내에 A에서 B 지점으로 수송하는 것입니다….’ 또 못 생산공장에 들러서 보니 보통은 사용하지도 못할 큰 못 두세 가지 종류만을 만들고 있어서 관리자에게 물어봤다. ‘나는 하루에 3톤의 못을 생산하는 것이 임무입니다…’
그리고 시베리아 철도 노선을 자세히 보면 허허벌판에 똑바로 곧은 철로가 어느 지역에서 갑자기 반원형으로 빙 돌아가는 부분이 있어서 그 내막을 알아본 결과, ‘설계자가 자를 대고 설계도를 그리다가 한 손가락이 잣대와 물려서 내민 부분을 그대로 볼록 나오게 그린 걸 설계도만 보고 철로를 놓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고….’ 고르비는 이런 비효율, 비능률, 무책임, 영혼 없는 사람들을 보면서 체제에 대한 깊은 회의를 느낀다. 그리고 1985년 서기장에 선출되자마자 세기적인 개혁개방을 추진하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잊어버릴만하면 미국의 빈곤층에 대한 조사가 발표되곤 한다. 고 뱅킹 레이트가 최근 미국인 1,1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36%가 ‘집에 $100의 현금도 없다’라고 답했다. 또 67%의 미국인들이 $500의 현금도 없다고 답했다(2023. 8월) 더 이상 묻기도 겁난다. 만약 $1,000 있느냐고 묻는다면 적어도 80%를 상회할 듯하다. 또한 작금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태가 크게 보일는지 모르지만 전쟁도 없는 미국 내에서 매일 120명씩, 연간 4만 5천만여 명이 총기로 사망하고 있는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에는 놀라울 정도로 무감각하다. 중동전쟁은 이해 당사국 간에 휴전하면 금세 조용해지겠지만, ‘미국의 총기 사망률이 하루아침에 줄어들 것인가?’ 글쎄요, 참 암담하고 외면하고 싶은 현실이다.
자본주의는 무결점이라는 것은 환상이다. 끊임없이 보완하고 견제하지 않아서 생긴 이런 빈부 양극화는 이미 예견되었고 부지부식 간에 걷잡을 수 없을 정도가 되어버렸다. 구소련과 미국에서 보여주는 체제와 이념의 긍정과 모순점들은 이제는 거의 드러날 대로 드러났다고 봐도 무방하다. 개개인들은 각각의 체제 내에서 각각 도전과 적응을 반복하면서 체질개선해 가면서 생존해 가고 있다. 다만 각국의 국가지도자들은 이런 제 문제들을 어떻게 보완, 개선해 나갈 것인가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목적 추구에만 천착(穿鑿)해 보인다. 소련과 쿠바, 미국이 그렇다. 한국도 최근에 다시 그렇게 보인다.
얼마 전 한국의 대통령은 여당의원 연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념이다.’(2023. 8. 29)면서 장황하다. 좀 엉뚱하구나 했다. 물론 그럴 때도 있었다. 40년 전 소련 붕괴 이전이라면 혹시 모르겠다. 요즈음에는 개인 간에도 ‘빨갱이’어쩌고 했다가는 그 사람 주위가 조용해져 버린다. 그런 것은 이미 이 세상에는 거의 없다. 요즘 세상에 누군가 이념을 이야기하면 마치 씨앗 뿌린다면서 시멘트 바닥을 파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강릉 출신으로 국내 초중고 교과서에 그분의 글들이 가장 많이 실려있어서 주목받고 있는 서울대, 하버드대 출신 전 서울대 최재천 교수의 2023년 서울대 졸업식 축사에서 그는 ‘평생토록 관찰해온 자연에도 서로 손잡지 않고 생존하는 생물들은 없다’면서, 여러분은 아직까지는 정당하게 노력해서 얻은 자리이긴 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나가서 공정하지 못하면 바깥세상에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어떻게 이 혹독한 세상을 살아가야 하겠는가, ‘나 혼자만 잘 살지 말고 모두 잘 살 수 있는 사람이 돼라’고 호되게(?) 꾸짖는다.
내것은 내가 먹고 니것은 네가 먹는 딱 그런 이념이 아닌, 나 혼자만 잘 살면 된다는 그런 이념이 아닌, 더불어 같이 잘 살자는 말이나 노력들을 빨갱이라고 부르고 싶다면 그렇게 열심히 계속 콘크리트 바닥을 파라. 쿵쾅거리는 소리때문에 사람들이 뭔가 하고 들여다 보기는 하겠지만 딱 거기까지다.
<
강창구 메릴랜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국민은 창의성도 없어지고 협동 농장에가서 농사짓는 정부의 노예가되는 것이다. 그런환경에서 정치권이나 투표권은 상상도 못한다. 아오지 탄광으로 발령 받을까 벌벌떤다.
빨갱이라는말은 해방후 공산주의자들은 붉은기에 낫을 그린 깃발을 들고 다녔다. 그들은 한사코 말하길 함께생산해서 똑같이 나누어먹고 정부가 식량도 주고 집도 준단디. 이게 빨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