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시와 신화에서는 농사가 신성한 예술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60년대 필자가 태어났을 때 부모님은 생계형 농사꾼이셨다. 외딴 섬이라 장터도 물물교환도 없어 집 텃밭에서 기른 것과 손수 만든 것들로 먹거리를 해결했다.
부모님께서는 이곳의 땅을 생명줄로 여기셨다. 부모님의 생활은, 내 기억에 각인 된 가장 오래된 장면 중 하나는, 땅을 일구며 자연계의 순환에 젖어 살면서 자연에 철저히 순응하는 모습이었다.
1960년대 후반 미국은 ‘땅으로 돌아가기(Back to the Land)’ 귀환 운동이 한창이었다. 여기에 불을 지핀 사람은 Halen(1904-1995)과 Scott Nearing(1883-1983) 부부이다. 1928년 헬렌이 사회주의자인 스콧을 교회 모임의 강사로 초대했을 때 첫 대면 후 1932년 대공황이 한창이던 무렵 28세였던 헬렌은 이상과 철학이 맞아 50세 이혼 남 스콧과 결혼했다.
결혼 전 스콧은 톨스토이 평화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공산주의 이념에 심취한 골수 좌파였으며, 반자본주의 경제학 교수·반전 평화주의자·환경주의자 이기도 했다. 그는 자기 사상을 담은 집필과 강연회 등 급진적인 사회운동 활동으로 유펜 와튼 스쿨과 스워스모어 칼리지 교수직에서 쫓겨나 미국 사회에서 반 강제로 퇴출 당하다시피 했다.
결혼 후 세속을 떠나기로 결심한 이들 부부는, 뉴욕을 떠나 버몬트 남서부의 자메이카 외곽의 파이크 밸리 숲 속 에 정착하여 20년(1932-1952)을, 메인주 바닷가 인근 브룩스빌로 다시 이주하여 31년(1952-1983)을 농장에서 자급자족하며 30권이 넘는 책을 공동 집필하며 51년간 은둔 생활의 여생을 함께 했다. 전기도 전화도 라디오도 없는 고립된 농장에서 들판에서 모은 돌로 손수 자신의 석조 집을 짓고, 유기농 농법과 채식주의를 옹호하며 일주일에 한 번씩 하루 동안 단식을 하며 톨스토이식 금욕주의 농촌 자급자족을 실천했다.
부인 헬렌과 공동 집필한 자급자족과 채식주의 기술 농법을 담은 1954년에 출판된 ‘Living the Good Life’ 에세이가 1970년에 재 발행되면서 베스트셀러가 되자 이 책에 영감을 받은 착륙자들은 헬렌과 스콧 니어링 부부의 라이프스타일을 배우고자 메인주 브룩스빌에 있는 포레스트 팜으로 모여 들기 시작했다. 한 추산에 따르면 헬렌과 스콧의 삶을 살기위해 1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The Good Life Center를 거쳐 땅으로 돌아가는 삶을 선택했다고 한다.
헬렌과 스콧은 좋은 삶을 살기위해 목표를 정했다, 유급 노동시장에서 독립하여 생활하는 것, 땅을 일구고 유기 농 식품을 먹음으로써 건강을 유지 및 개선하는 것, 그리고 이윤 기반의 생활에서 벗어 나는 것이었다. 이들 부부는 자급자족 농장을 운영하고, 메이플 시럽과 설탕을 생산하고, 유기농 작물을 재배하며 고기·생선·계란·커피·차·술을 먹거나 마시지 않았고, 가공식품을 거부하며 반소비주의 이상을 존중하는 생활 방식을 고수하며 평생 채식주의자로 살았다.
헬렌과 스콧 니어링의 삶과 필자가 알고 있는 부모님의 삶은 유사하면서도 전혀 다른 목적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둘 중 어떤 삶이 좋은 삶인지는 알 수 없다. 현실은 하나가 다른 것보다 반드시 더 나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부모님과 니어링 부부의 삶이 머리속에 오버랩 되면서 다가올 은퇴 후 삶을 단순화 (Simplify)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은 인생을 보내는 방식은-햇볕을 쬐고 숲속을 걷고 음악을 들으며 글을 쓰며 과일 나무와 채소를 돌보며 장작 패기, 물 기르기, 고랑 파기로 기계적인 운동 대신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땅으로 돌아가 본성에 따라 야생으로 사는 삶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최소한 5-20에이커 숲이 필요하다. 둘째, 오두막집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소규모 텃밭을 만들기 위해 쿼터 에이커 숲만 개간하고, 나머지 숲은 향기로운 나무 향과 풋풋한 풀 향을 즐기기 위해 자연 상태로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건강을 지키기 위한 단순한 노동과 숲속 은둔 생활이 결코 쉽지는 않을 것이다. 땅으로 돌아가는 선택이 나를 힘들게 할 수도 있고, 시골 생활의 불편함이 도시생활과 다르게 많은 희생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현대 문명의 이기를 최소화 하고 싶다. 땅에서 사는 데 합당한 정도의 헌신은 감수 할 생각이다. 가능한 한 많이 버리려고 노력을 하겠지만 현대 문명의 잔해를 완전히 버릴 수는 없는 문명에 길들여진 반 자연인일 수 밖에 없다. 은둔생활 한다고 해서 반드시 반문명적일 필요는 없다.
좋은 삶을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엄격한 “하루 4시간 육체 노동과 4시간 정신 노동, 4시간 친교, 4시간 여가와 휴식, 8시간 수면의 조합이 아닐까?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도 끝없이 나태와 쾌락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권태 때문이다. 노동 없는 여가와 휴식은 고통일 뿐이다.
세상의 모든 이치는 대립하며 조화를 이룬다. 질병은 건강을 상쾌한 것으로 만들 듯이 노동은 휴식을 달콤한 것으로 만든다. 땅으로 돌아가는 소박한 철학은 육체 노동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암묵적인 나의 신체와의 약속이다.
<
이형국 정치 철학자, VA>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모든 서양식이 좋은것만은 아닌것 생각 먹거리가 사람을 괴롭히고 어렵게 만드는걸 너무많이 보고 격고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