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승택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교수

임승택 성빈센트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교수는“갑상선암 진행이 빠르지 않아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기 마련인데 치료를 방치하다 자칫 암이 다른 조직으로 퍼지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했다. [성빈센트병원 제공]
갑상선(甲狀腺)은 넥타이를 맸을 때 매듭이 위치하는 목 앞쪽 아랫부분의 갑상 연골 앞쪽에 면해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 기관이다. 온몸의 세포에 작용해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ㆍ분비한다.
갑상선에 생긴 결절(혹) 가운데 10~15%가 암으로 진단된다. 2020년 새로 발생한 암 24만7,952건 중 갑상선암이 2만9,180건(11.8%)으로 1위였다(중앙암등록본부). 갑상선암은 예후(경과)가 좋은‘착한 암’ 거북이 암’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조기 검진하지 않으면 생명을 앗아가는 사례도 있는 등 예후가 천차만별이다. 임승택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유방·갑상선암센터(갑상선내분비외과) 교수를 만났다. 임 교수는“갑상선암 진행이 빠르지 않아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기 마련인데 치료를 방치하다가 자칫 암이 다른 조직으로 퍼지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했다.
-갑상선암 종류에는 어떤 게 있나.
갑상선암으로는 분화암(유두암ㆍ여포암)ㆍ미분화암(역형성암)ㆍ수질암 등이 있다.
유두암은 암세포 핵이 유두(乳頭)처럼 원형 모양인 암으로, 갑상선암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며 주변 림프절 전이가 흔히 나타나지만 5년 생존율은 99%에 이를 정도로 예후가 아주 좋다. 여포암은 주머니 모양의 여포(濾胞)세포가 갑상선 혹을 둘러싼 피막 안으로 침범한 상태인데, 갑상선암의 5% 정도이고 예후도 좋다. 림프절 전이보다 폐 전이 등이 많은데, 세포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미분화암은 갑상선암의 0.1%에 불과하지만 예후가 극히 나쁘다. 미분화암은 수술하기 어려운 데다 수술해도 자주 재발해 사망 위험이 매우 높다. 미분화암은 분화암이 오래돼 분화 방향이 역전돼 생기는 암으로, 고령인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그래서 고령 환자에게 갑상선 혹이 발견되면 적극적으로 검사ㆍ치료해야 한다. 수질암(髓質癌)은 다른 갑상선암처럼 갑상선 여포세포가 아닌 부(副)여포세포(C-세포)에 생긴 암으로,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생하고 분화암과 미분화암의 중간 정도 예후를 보인다.
-진단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나.
목 앞부분에 혹이 생기면 갑상선암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초음파검사를 통한 세포 검사가 필요하다. 세포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확도가 75~90%에 그치는 것이 단점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세포 검사가 갑상선암 진단의 표준 검사로 보고되고 있다. 갑상선암은 갑상선 기능 항진 혹은 저하 등과 대부분 관련 없고, 혈액검사만으로는 암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정기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유방암을 앓았다면 갑상선암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갑상선을 한 쪽만 제거할 때와 양쪽 모두 제거할 때와 차이점은.
갑상선암은 수술이 기본 치료법이다. 2개의 갑상선 엽(葉)을 모두 잘라내는 ‘갑상선 전(全)절제술’ 혹은 암이 생긴 엽만 제거하는 ‘일측성 엽절제술’을 시행한다. 갑상선 주변 림프절까지 전이된 것으로 의심되면 림프절까지 제거하는 ‘경부 림프절 곽청술(郭淸術ㆍ청소술)’을 시행한다.
예후가 좋은 갑상선 유두암의 경우 암 지름이 1㎝를 넘지 않으면(미세 갑상선암) 수술 범위를 줄이고, 발생 위치가 좋으면 곧바로 수술하지 않고 ‘경과 관찰’을 한다. 하지만 미세 갑상선암이라도 림프절 전이가 됐거나 다른 조직 전이 위험이 높으면 2개의 갑상선 엽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는 어떨 때 시행하나.
갑상선을 양쪽 모두 제거한 환자 가운데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남은 것으로 의심될 때 시행한다. 암 크기가 4㎝ 이상이거나, 암세포가 갑상선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 다른 장기로 퍼졌을 때도 동위원소 치료를 받아야 한다. 수술 후 경과 관찰 중 갑상선에서 나오는 단백질인 ‘사이로글로불린’ 수치가 너무 높아도 이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갑상선암이 예후가 좋고 진행이 느린데 꼭 수술해야 하나.
갑상선암 진단 후 수술을 반드시 해야 하는지 묻는 환자가 적지 않다. 갑상선암은 진행이 빠르지 않기에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다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갑상선암은 갑상선 위치가 가진 위험성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지 않으면 진단 즉시 수술했을 때에 비해 여러 가지 불편을 겪을 수 있다.
<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