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석경제논설위원 전망… “중소 은행들, 수년간 인수되거나 대출 축소할듯”
실리콘밸리은행(SVB) 로고[로이터=사진제공]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로부터 시작된 은행 위기 확산 우려가 잦아드는 것처럼 보인다.
금융당국의 신속한 개입으로 SVB와 시그니처은행의 모든 고객이 예금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됐고, 위기설에 휩싸인 다른 지역은행들도 유동성을 수혈받아 급한 불을 껐다.
대서양 건너편에서 날아온 크레디트스위스(CS) 위기설도 스위스 당국의 긴급 대응과 UBS의 인수 결정으로 일단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최근 수십년간 대부분의 금융위기가 급속도로 격렬하게 전개되다 아시아 시장 개장 직전인 주말에 정점을 찍었다는 사실 역시, 비슷한 패턴을 보인 SVB 사태가 '최악의 고비는 넘겼다'는 희망의 근거가 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 전했다.
그러나 WSJ 수석 경제논설위원인 그레그 입은 '금융계가 슬로모션 은행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제목의 이날 칼럼에서 천천히 진행되며 서서히 시스템을 갉아먹는 슬로모션 위기라는 또 다른 유형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당장 SVB 파산이 현재까지 다른 금융기관에 미친 피해는 종전 금융위기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향후 몇 년간 다수의 은행이 영업을 축소하거나 다른 회사에 인수합병됨으로써 신용 공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그중에서도 중소 규모의 은행들이 장기간 예금 인출 압박을 받아 대출을 축소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상적인 의미의 금융위기는 아니지만, 최종 결과는 똑같을 수 있다고 입 위원은 내다봤다.
미국의 은행들은 최근까지도 자동차와 부동산 등 담보 가치 상승에 힘입어 낮은 대출손실률을 기록 중이지만, 앞으로는 특히 상업용 부동산에 많이 노출된 소형 은행들의 손실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문가 전망도 나온다.
이 시나리오와 비슷한 과거 사례로는 1980∼1994년 미국에서 3천여 곳의 저축대부조합(S&L)이 문을 닫거나 구제금융을 받은 'S&L 사태'가 꼽힌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올린 여파로 다수의 S&L과 소규모 은행이 차례로 무너진 당시 사례와 마찬가지로 지금 미국의 은행들도 지난 1년간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보유 채권의 가치가 급락하는 바람에 위험에 노출된 상태다.
아미트 세루 스탠퍼드대 교수의 최근 연구 결과 금리인상 여파로 SVB보다 더 큰 자산가치 손실률을 기록 중인 미국 은행은 전체의 11%에 해당하는 500여 곳으로 추정된다.
과거 금융위기에서 금리보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가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점에도 WSJ은 주목했다.
1980년대 경기침체와 빌딩 초과 공급, 유가 급락의 여파로 상업용 부동산 대출 시장이 무너지면서 멕시코를 비롯한 몇몇 이머징마켓 국가가 1군 대형은행들에서 빌린 돈에 대해 디폴트를 선언했고,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와 그 파생 상품들이 문제가 됐다.
다만 지금은 과거만큼 위험한 상황은 아니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S&P 글로벌 분석 결과 지난해 3분기 현재 은행들이 보유한 증권의 86%가 연방정부의 보증을 받는 안전 상품으로, 그 비율은 2008년 71%에서 상당폭 늘어났다.
경기침체가 디폴트를 초래할 경우 연준의 금리인하로 채권 가치가 상승, 결과적으로 은행의 미실현 손실이 축소될 것이라는 긍정론도 있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은행들의 진짜 문제는 대차대조표상의 자산 항목이 아닌 부채 항목이라고 입 위원은 강조했다.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기간의 제로금리와 양적완화, 연방정부의 '돈 풀기'로 은행들의 예금이 급속도로 불어났으나, 이제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썰물처럼 빠져나갈 위험에 놓였다는 것이다.
과거와 달리 모바일 뱅킹의 발달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불안 심리가 전파되면 손도 못 쓸 정도로 빠르게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이 벌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이번 SVB의 초고속 붕괴로 입증됐다.
연준에 따르면 3월 둘째주 소형 은행에서 1천200억달러의 예금이 빠져나가고 대형 은행들에 660억달러의 예금이 새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나, 지역 기반의 중소형 은행들이 위기에 취약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지역 은행들뿐 아니라 증권과 자산운용에 강점이 있는 금융서비스회사 찰스슈왑에도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날 분석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저금리로 구축한 7조달러 제국이 균열을 보이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금리인상 탓에 장기 채권을 많이 보유한 찰스슈왑의 미실현 손실이 지난해 290억달러로 불어났고, 고객들이 고금리를 찾아 찰스슈왑의 계좌에서 돈을 빼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