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김 파이오니아 부동산 대표
지난 몇 달간 바이어들에게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작년 팬데믹 시작 후 주택가격이 급격히 올랐는데 지금 주택을 구입해도 되는지, 또 이와 맞물려 팬데믹으로 인한 불경기가 1년 이상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데 주택 페이먼트를 못해 2008년의 서브프라임 같은 대량의 차압 사태로 인해 주택 가격의 하락이 또 다시 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 같다. 이중 차압 문제가 현재 얼마나 심각하며 앞으로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답부터 하자면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와 같은 대량 주택 차압 사태는 거의 오지 않을 것이라는 데 대부분의 주택전문가들과 필자는 동의하고 있다. 아무런 대책 없이 맞이 했던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달리 이번 팬데믹 사태 후 정부가 실시한 ‘CARES Act 차압 방지 프로그램’을 통해 차압 금지, 모기지 상환 유예(Mortgage Forbearance) 등이 적기에 실시되면서 일단 팬데믹으로 인한 대량 차압 사태는 피해 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모기지 상환 유예 프로그램에 들어 있어 있는 주택 오너의 숫자는 지난 2020년 말 기준으로 약 270만가구이고 미국 전체 주택 융자 가구 수의 약 5.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 수치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대량 실업 영향으로 모기지 상환 유예 프로그램을 가입한 주택 오너 수가 절정을 이루었던 작년 팬데믹 직후 인 2020년 3월의 8% 비해 2.5% 내려간 상태이다. 수치만 내려간 것이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작년 말 기준으로 모기지 상환 유예 프로그램을 졸업한 주택 오너들의 대부분인 87%에 해당하는 주택 오너들이 재상환 스케줄(Repayment schedule) 조정 등을 통해 페이먼트 문제를 은행과 원만히 해결하고 유예 프로그램에서 나오게 된 경우여서 일단 차압에서 비껴가게 됨으로 대량 차압을 몰고 온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단, 작년 말 상환 프로그램의 혜택에서 빠져 나온 주택 소유주 중 약 13%만이 은행과 아무런 추가 협상 없이 유예 프로그램에서 나오게 되어 이러한 주택 오너들은 앞으로 차압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약 32만5,000 가구가 이에 해당된다. 지난 서브프라임 때 차압, 숏세일 등의 주택 차압 매물 숫자가 약 1000만 가구였던 것을 생각해 보면 서브프라임 사태에 비해 현재 차압 위기에 노출된 숫자는 불과 서브프라임 사태의 약 3%정도의 지나지 않는 경미한 수치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 자료를 볼 때 앞으로 서브프라임 때와 같은 대량 주택 차압 사태는 거의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현재 미국 경기가 백신 배포와 맞물려 실업률 하락과 팬데믹 이전으로의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2021년 올 한 해 경기가 무척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이러한 차압 위기에 있는 주택 소유주들에게도 고용 기회가 제공될 수 있어 차압 위기에 놓인 주택 오너들의 숫자는 이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 팬데믹 이후에 주택 시장에 몰아친 엄청난 주택 구입 경쟁으로 인해 지난 한 해 주택 가격이 급등함으로써 주택 소유주들 대부분은 많은 에퀴티를 소유하고 있는 것도 대량 주택 차압 사태를 예측하기 힘들게 하는 부분이다.
부동산 통계자료 전문 기관인 ‘리얼티 트랙’(Realty Trac)에 의하면 올 1월 말 기준으로 70%의 주택 소유주들이 최소 20%의 주택 에퀴티를 소유하고 있고, 일부 다른 리포트들은 90%의 주택 소유주들이 최소 10% 이상의 에퀴티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통계자료를 통해서도 차압 위기에 노출된 주택 오너들의 차압 위기 탈출은 충분한 에퀴티를 가진 상태에서 매매나 재융자 등을 통해 차압 위기에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주택 가격의 급격한 하락이나 또는 대량 주택 차압 사태는 당분간 거의 오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필자의 의견이다.
문의 (714) 726-2828
<
스티븐 김 파이오니아 부동산 대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부동산및 그밖의 투자에 전문가 없다.그건 내가 단언한다.5년전 비트코인 400불 할때 주변에서 그거 사기라고 했으나 2800불 들여서 7개 샀기 때문에 많은 이익을 봤다.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오픈도어 앱 쓰면, 에이전트 없이
서로의 직업을 좀 존중하면서 댓글 달읍시다
부동산쟁이한태 당연히 이런말이 나오겠종. 아무 이유없이 기대치 않은곳에서 터지는게 경제다. 평생 analyze 해바라 답이 나오나. One thing for sure though, "What goes up DOES come down" "Trees don't grow to sky" Everything went up for 14 years straight. The higher faster it goes up, the deeper it f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