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코로나 질 병은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환경오염, 그리고 인간의 극단적 이기심과 탐욕의 결 과...전 세계의 대처(對處)는 속수무책 (束手無策)이고, 과학기술의 무력(無力)함이 드러나면서 동양의 정신문 화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 달 미뤄 봉행한 불기 2564년 (서기 2020년) 부처님오신날을 여드 레 앞둔 지난달 22일 대한불교조계 종 종정 진제 스님이 발표한 봉축법 어 중 일부다. 코로나 사태 이후 이 런 식의 진단과 처방이 쏟아졌다. 하 기에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받아들 이기 십상이다. 일일이 검증하면 사 정은 달라진다. 도무지 한 마디도 입 증된 게 없다. 입증될 것이 없다 해 도 무방하다.
‘코로나 질병은...이기심과 탐욕의 결과’라는 대목은 무서운 괴질의 대 유행이나 인재든 천재든 대형 재해 나 사고가 발생하면 흔히 등장하는 진단이지만 입증도 어렵고 반증도 어려운 관용적 수사다, 겉말이야 그 래도 속말은 인간의 반성을 촉구하 는 것이니 굳이 시비할 건 없겠지만.
말줄임표 다음에 이어지는 건 실 로 문제다. 전 세계의 대처가 속수무 책이라니, 가당치 않은 말이다. 더 효 율적인가 덜 효율적인가 차이는 있 어도 코로나 사태에 속수무책인 나 라는 없다. 과학기술의 무력함이 드 러난 것도 아니다. 의학을 포함한 과 학기술 덕분에 지금 이 정도나마 컨 트롤이 되고 있고 멀지 않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비드19)를 다스리 는 백신이 나오리란 희망을 갖는다. 이것과 관계없이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병과 약은 2인3각 달리기를 하 듯 거의 ‘나란히 끝없이’ 진화한다 는 점이다.
동양의 정신문화가 주목받고 있 다는 것도 근거가 희박하다. 그 이전 에 ‘동양의 정신문화’ 운운 자체가 허망하다. 이런 말을 즐겨 쓰는 이들 이 갖기 쉬운 ‘서양=물질문명, 동양 =정신문화’ 나아가 ‘저급한 물질 vs 고상한 정신’ 같은 이분법적 사고 내 지 정의, 이것 역시 엉터리임은 서양 사나 서양철학을 조금만 파보면 금 방 알 수 있다. 당장 개개인의 인권 과 자유가 보다 더 보장되고 존중되 는 곳이 대체로 서양인지 동양인지 잠시만 생각해보면 된다.
더군다나 종정 스님의 이런 진단 은 그 다음에 이어지는 “천지가 나 와 더불어 한 뿌리요, 모든 존재가 나와 더불어 한 몸...이웃 없이 나만 홀로 존재할 수 없고, 땅을 딛지 않 고 살아갈 수 없다. 만물은 나와 더 불어 둘이 아니”라는 말의 진의를 무색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조계종 최고어른인 종정예하가 지금 바깥세상에 대고 맑고 고운 말 내지 지당한 쓴소리를 할 계제 가 아니라는 점이다. 조계종단 내부 자정, 특히 윗물부터 자정이 시급해 서다. 우선 종단행정을 총괄하는 총 무원장 출신 두 스님이 불미스런 일 에 연루됐다. 월주 스님과 자승 스 님이다.
1980년 총무원장 재임시 10.27법 난으로 신군부에 의해 강퇴당하고 (원장직 사퇴) 1994년 종단파동 때 원장에 복귀해 3선을 꾀하다 사부대 중에 의해 강퇴당했던(후보직 사퇴) 월주 스님은 깨달음의 사회화를 주 창하며 일제하 종군위안부 피해여성 들을 위한‘ 나눔의집’과 지구촌구호 활동을 위한‘ 지구촌공생회’ 등을 운 영했으나 나눔의집 보시금을 의뭉스 럽게 집행했다는 의혹으로 사퇴압력 을 받고 있다. 얼마 전에는 사회단체 로부터 고발까지 당했다. MBC피디 수첩을 통해 나눔의집과 월주 스님 의 의혹이 방영된 뒤 사회적 파장이 커지자 월주 스님측은 월주 스님이 1992년 나눔의집 설립 당시 사재 4 억5천만원을 출연했다는 등 진화에 나섰으나 이마저 거짓이라는 반론이 제기됐다.
2009년 가을부터 2017년 가을까 지 8년간 총무원장을 지낸 자승 스 님은 원장 이전 룸싸롱 출입사건부 터 시작해 재임중 이권개입(속칭 감 로수비리, 달력비리 등)과 독단적 계 파행정 등으로 원성을 샀는가 하면 이에 저항하는 종무원들을 해고 등 징계했다가 최근 법원으로부터 부당 징계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대 한불교조계종이 아니라 대한불교자 승종이란 자조섞인 말이 나돌 정도 로 막강한 영향력을 여전히 행사하 고 있다고 한다. 이번 법원 판결과 관련해 조계종 민주노조가“ 자승 전 총무원장의 상왕정치는 막을 내려야 한다”고 날을 세운 것이 ‘물러난 자 승의 물러남 없는 종권’을 대변한다.
그럼에도 그는 퇴임 직후에는 백 담사 무문관행으로, 지난 겨울에는 서울 외곽 한 공사장 빈터에 임시로 세운 천막선원에서 90일간 자파스님 8명과 함께한 동안거로 언론의 주목 을 받았다. 얼마 전에는 천막선원 동 안거를 다룬 다큐영화를 선보이더니 이번에는 부처님의 길 따라 인도 만 행을 준비한다며 오는 7월부터 하루 30km씩 연습에 들어간다는 기자회 견까지 했다. 북한식 표현을 빌면 삶 은 소대가리가 하늘을 쳐다보고 웃 을 일이다. 머물지 않고 늘 떠나는 삶에 특히 주목하며 불교를 극찬했 던 철학자 니체는 법력 수십년차 승 려들의 만행연습 계획을, 그것도 기 자회견을 통해 발표한 계획을 어떻 게 받아들일까.
<
정태수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T'=25('C) for 30(um)
Ro=nㅅo, n=(Mo/me)^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