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무리 스펙 뛰어나도 에세이 형편없으면 고배들 수도, GPA 4.0이면 무조건 최고?…수강한 과목들이 더 중요
▶ 완벽하면 떼논 당상?…포괄적 전형 모르고 하는 소리
수험생이 알아야 할 대입 오해와 진실‘어떤 과목을 듣던 퍼펙트한 GPA를 받으면 최고다’ ‘과외활동은 다양하게 많이 할수록 더 높게 평가받는다’ ‘완벽한 SAT 점수라면 원하는 대학 어디라도 합격할 수 있다" 하나같이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모두 진실과 거리가 있는 말들이다. 대학입학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 지원자들은 조금이라도 경쟁력을 더 갖추기 위해 이런 저런 말들에 귀를 기울이고 있지만 진실이 아닌 경우도 적지 않다. 즉 대입 전형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가릴 줄 알아야 괜한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대입 전형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본다.
▲합격하려면 다재다능해야 한다?
대입 전형과 관련 가장 그럴듯하게 믿고 있는 것 중 하나는 과외활동은 종류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특히 명문대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합격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입지원서의 스페이스가 모자랄 정도로 수많은 과외활동을 쫓아다닌다.
하지만 이는 진실이 아니다. 백화점식 과외활동은 되레 입학사정관들에게 한 두 가지에 열정을 쏟지 못하는 학생이란 인상을 주기에 십상이다.
입학사정관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은 한 두 가지의 활동을 하더라도 모든 열정을 쏟아 붓는 모습이다. 이런 모습은 지원자가 누구인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목표는 무엇인지를 더 명확하게 대학에 보여줄 수 있다.
열정이 느껴지고 차별화된 활동이라면 수많은 지원자들 사이에서 단연 두드러진 인상을 줄 수 있다. 특히 독특한 과외활동의 경우 하버드나 예일 같은 아이비리그와 명문대 입학 전형에서 더 빛을 발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어쨌든 어중간하게 하는 과외활동들은 아무리 많아야 눈길을 끌기 힘들다는 점을 다시 한=번 되새기자.
▲에세이는 액세서리 정도다?
에세이가 대입 전형에서 부수적인 스펙이라고 생각한다면 트렌드를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소리를 듣기 십상이다. 물론 일부 대학에서는 개인 에세이를 요구하고 있지 않지만 대부분 대학은 최소 1~2개의 에세이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박빙의 경쟁자들 사이에서 결정적 한 방이 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UC 입학 전형에서는 에세이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탑 스쿨들 사이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물론 짚고 넘어갈 사항도 있다. 에세이의 중요성은 두 말할 나위 없지만 아무리 훌륭한 에세이를 썼다고 해도 낮은 내신성적과 시험점수를 상쇄할 수 있는 케이스는 드문것도 사실이다. 반면 아주 좋은 스펙이 담긴 훌륭한 지원서를 제출했다고 해도 에세이가 형편없다면 대입 전형에서 고배를 마실 수는 있다.
▲쉬운 과목 A가 도전적과목 B보다 낫다?
대입지원서에서 가장 중요한 스펙 중 첫째는 고교때 수강한 수업과 이들의 성적, 즉 학점이다. 대부분 학생들은 좋은 내신성적이 대입 전형에서 더 경쟁력을 갖추게 만든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분명히 맞는 말이다. 전국대학입학처 위원회(NACAC)에 따르면 대학의 74.5%가 고교 수업에서의 성적을 아주 중요한 전형 기준으로 꼽았다.
이런 점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A학점을 따기 쉬운 과목 위주로 수강해서라도 퍼펙트한 GPA를 받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입전형을 잘 모르는데서 오는 오해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은 AP나 어너 클래스같은 난이도가 있는 수업에 도전하는 학생들을 더 눈여겨 보고 선호한다.
지난해 NACAC 보고서에도 대학들의 80%는 지원자들의 도전적 과목 수강에 대해 보통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하게 간주했다.
GPA가 ‘숫자’가 전부는 아니라는 말이다. 예를 들어 4.0의 GPA를 받았다고 가정해보자. 넘버는 퍼펙트하지만 만약 쉬운 수업만 듣고 난이도가 있는 도전적 과목은 외면했다면 입학사정관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지 않을 것이다.
퍼펙트한 GPA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지만 대학들은 그저 쉬운 수업 위주로만 수강하고 A학점을 받은 지원자들에게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도전 정신이 없고 더 높은 수준의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고 싶어하지 않은 학생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명문대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라면 고교 내내 다양한 도전과목을 수강해야 한다는 의미다. AP나 IB, 어너 클래스 같은 도전적 과목의 경우 자신이 잘 하거나 대학에서 전공으로 하고 싶어 하는 과목 위주로 선택하는 게 좋다.
도전적 과목들을 많이 수강하고 완벽한 성적까지 받는다면 더 할 나위가 없겠지만 아주 어려운 AP 수업에서 B학점을 받은 경우라도 주눅 들 필요는 없다.
입학사정관들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을 테스트하는 데 주저함이 없는 지원자라고 인식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어떤 수업을 듣던 바닥의 성적을 받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점도 잊어선 안된다. AP 수업을 통해 도전정신을 발휘한다고 해도 C와 D 학점 정도라면 입학사정관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는 못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어려운 수업에서 최소한 B나 B+를 받을 수 없을 것 같다면 그 수업의 레귤러 버전이나 완전히 다른 과목으로 바꾸는 편이 나을 수 있다.
도전적 과목 수강을 포함한 우수한 GPA를 받았다고 해도 어느 대학에 지원하는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지원하는 대학의 합격생 평균 GPA보다 높아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틀담대학 합격생의 평균 GPA는 가중치로 4.0이다. 이 대학에 지원하려면 최소한 4.0의 GPA가 되어야 평균 이상의 지원자가 되는 셈인 것이다.
▲완벽한 테스트 점수라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
SAT나 ACT 같은 표준화시험 점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오해 중 하나는 퍼펙트한 스코어가 원하는 어떤 대학도 들어갈 수 있는 티켓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우선 짚고 넘어갈 점은 표준화 시험 점수는 대입전형의 하나의 기준일 뿐이라는 것.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NACAC 조사에 따르면 입학사정관들은 표준화시험 점수보다 더 중요한 전형 기준으로 학점과 수강한 과목을 꼽았다.
완벽한 표준화 시험 점수가 대입전형에서 유리한 것은 맞지만 내신성적과 수강했던 과목들이 대입 전형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입학허가를 받을 확률이 상당히 낮아질 수도 있다.
또 지원자의 내신성적과 표준화시험 점수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들은 이를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다.
물론 표준화된 시험 점수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표준화시험 점수 제출을 요구하지 않는 대학을 제외하면 대입 전형에서 여전히 중요한 기준 중 하나다. 이런 점에서 SAT나 ACT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상적으로 이야기 하면 지원하는 대학 합격생 점수의 75퍼센타일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75퍼센타일이라면 이 점수보다 낮은 사람이 75% 있다는 것으로 다른 대부분의 지원자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그 대학의 평균 점수보다 훨씬 높다.
예를 들어 NYU에 지원한다고 가정해보자. NYU 합격생들 SAT 점수의 경우 25퍼센타일은 1,310점, 75퍼센타일은 1,510점으로 평균은 1,413점으로 꽤나 높은 점수다.
하지만 수많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려면 최소한 75퍼센타일안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 대부분 수험생들이 한 개 이상의 대학에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SAT와 ACT 목표 점수는 지원하는 모든 대학에 경쟁력이 있을 정도로 잡아야 한다. 목표 점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원할 모든 학교의 차트를 만드는 것이 좋다.
▲완벽한 지원자만 합격한다?
많은 학생들은 표준화시험 점수가 평균 이하이거나 몇 개의 수업에서 아주 낮은 학점을 받은 것처럼 지원서 상에 부족함이 있다면 대학에 들어갈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물론 아주 낮은 표준화 시험 점수나 저조한 내신성적은 대학에서 불합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많은 대학들은 각각의 지원자들의 모든 면을 리뷰하는 포괄적 입학 전형을 한다는 점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즉 지원서가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것이 불합격을 의미한다는 것은 아니란 뜻이다.
사실 아이비리그와 같은 명문대에서도 겉으로 보기엔 ‘완벽한’ 지원자들이 불합격됐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지원서 상에서 뭔가 돋보이게 하는 ‘스파이크’가 없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