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잔 다르크의 수난’ (The Passion of Joan of Arc·1928)
▶ 칼 드라이어 감독 무성영화 신부들의 마녀재판 기록 바탕
화형되기까지 치밀한 구성, 클로즈업 기법 사용한 촬영…영혼의 고뇌 잘 표현한 걸작
‘뱀피르’(Vampyr·1932), ‘분노의 날’(Day of Wrath·9134) 및 ‘거트루드’(Gertrud·1964) 등 심오하고 영적이며 종교적인 작품을 만든 덴마크의 위대한 감독 칼 테오도어 드라이어가 연출하고 프랑스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인 르네 잔 팔코네티가 프랑스의 처녀 전사 잔 다르크로 나오는 1928년작 무성영화다.
보는 사람의 영혼을 고양시키는 선험적이요 완벽한 형식미를 갖춘 기념비적 작품이자 신비주의를 영상으로 구체화한 걸작으로 순교자 잔 다르크가 스크린에 현신한 감동을 체험케 한다. 특히 이 영화는 1994년에 작곡가 리처드 아인혼이 합창과 앙상블 악기를 위해 작곡한 오라토리오 ‘빛의 음성’의 연주와 함께 보면 지극한 영적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오라토리오의 대사는 모두 잔 다르크에 의해 노래 불러진다.
잔 다르크에 관한 영화들은 이 영화 전과 후에도 여러 편 만들어졌다. 드라이어처럼 심오한 작품을 만든 프랑스 감독 로베르 브레송이 비배우들을 기용해 만든 ‘잔 다르크의 재판’(The Trial of Joan of Arc·1962)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감독한 빅터 플레밍이 잉그릿 버그만을 기용해 만든 ‘잔 다르크’(Joan of Arc·1948)가 있다.
그리고 ‘왕 중 왕’과 ‘십계’ 등 종교영화를 많이 만든 세실 B. 드밀의 무성영화 ‘여인 조운’(Joan the Woman·1917)이 있고 조지 버나드 쇼의 동명 연극을 바탕으로 한 ‘성인 조운’(Saint Joan·1957)에서는 진 시버그가 잔 다르크로 나온다. 그리고 프랑스의 뤽 베송 감독이 밀라 조보비치를 써서 만든 ‘메신저: 잔 다르크의 이야기’(The Messenger: The Story of Joan of Arc·1999)는 액션영화다.
‘잔 다르크의 수난’은 오를레앙의 처녀 잔 다르크(1412-1431)에 대한 프랑스 가톨릭 신부들의 마녀재판 기록을 바탕으로 재판과정과 재판 끝에 있은 잔 다르크에 대한 화형을 치밀하게 재구성한 작품으로 드라이어의 철두철미한 연출과 팔코네티의 심오한 연기 그리고 루돌프 마테의 엄격한 촬영 등이 다 획기적이요 경이롭다.
특히 고뇌하는 잔 다르크의 얼굴이 자주 클로즈업으로 화면을 가득히 메우면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 무식한 촌색시 성인의 고뇌를 함께 느끼도록 만든다. 마테는 잔 다르크와 그를 심문하는 신부들의 얼굴과 머리뿐 아니라 이들의 육신에도 근접해 관객으로 하여금 그들과 같은 현장에 있는 사실감을 극대화한다.
마테의 촬영은 투명하면서 간결하고 또 정직한데 인물들 외에도 재판이 열리는 수도원의 백색 내부와 외부를 비롯해 장식 없는 무대를 꾸미면서 잔 다르크와 신부들 간의 치열한 영적 대결을 강렬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그의 카메라는 잔 다르크의 발가벗은 영혼을 있는 그대로 퍼내다시피 포착하고 있다.
폴란드와 헝가리 계인 마테는 후에 할리웃으로 건너와 촬영과 영화감독으로 여러 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촬영감독으로는 ‘다즈워드’ ‘스텔라 달라스’ ‘러브 어페어’ ‘웨스터너’ ‘해밀턴 여인’ ‘양키즈의 자랑’ 및 ‘길다’ 등을 찍었다. 그가 연출한 영화들로는 ‘D.O.A.‘ ‘낙인’ ‘도둑 왕자’ ‘세계전쟁’ ‘미시시피 도박사’ ‘폭력적인 남자들’ 및 ‘300명의 스파르타인들’ 등이 있다.
‘잔 다르크의 수난’은 화면구성이 과감한 당시만 해도 형식미가 실험적인 작품으로 인물들이 말을 하는 입술의 움직임과 제스처가 마치 무대의 무언극을 보는 느낌을 주는데 진행이 순례자의 걸음처럼 매우 느려 순간순간이 고뇌로 연결되면서 서서히 감정의 결을 쌓아가다가 마지막에 깊은 감동으로 승화한다.
영혼의 육체의 삶에 대한 승리를 그린 대담무쌍한 영적 드라마로 머리를 삭발당한 팔코네티의 체념과 고뇌 그리고 불굴의 정신과 자비로운 부드러움 및 순교자로서의 영적 희열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떠도는 얼굴 표정은 한번 보면 결코 잊지 못할 숭고한 표정이다. 이 영화는 팔코네티의 유일한 주연 영화다.
그런데 드라이어는 배우들의 화장을 허락하지 않고 조명을 이용해 인물들의 모습을 거의 괴물들처럼 기괴하게 과장하고 있다. 드라이어는 팔코네티에게 맨 무릎을 돌바닥에 짓눌러 진짜로 고통을 체험토록 하면서 이 장면을 반복해 찍었다는 설이 있다.
영국과 프랑스 간의 백년전쟁 중인 1431년 영국군에게 포로가 된 잔 다르크가 프랑스의 루앙으로 후송돼 영국에 충성하는 프랑스의 가톨릭 신부들에 의해 종교재판을 받는다. 신부들은 신의 소명을 받아 영국군을 물리치기 위해 출전했다는 양치기 잔 다르크의 믿음을 꺾으려고 하나 잔 다르크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결국 화형을 당한다. 이 영화가 처음 상영됐을 때 잔 다르크의 처형장면을 본 관객들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잔 다르크의 수난’이 크라이티리언(Criterion)에 의해 디지털로 복원돼 최근에 나왔다.
<
박흥진 편집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