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도, 어린이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부모 중 한사람이 직장을 바꾸면서 지역으로 가족의 보금자리를 옮기게 될 경우 어린 자녀는 큰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정들었던 친구 및 선생님과 헤어져야 하고 곧바로 새 학교에 적응해야 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현실화될 경우 어떤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겠다고 떼를 써 부모를 당황하게 만들기도 한다. 어쩔 수 없이 초등학생 아이가 학교를 옮겨야 할 상황이 닥칠 경우 부모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라 부모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학교 를 옮기는 것에 허탈해 할 아이의 감정 을 무시하지 않는 것이다.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간다고 해서 그동안 사귀었던 친구들과 영원히 관계를 단절하는 것 은 아니라고 말해준다.
■ 변화는 좋은 것이다 긴 인생을 살면서 변화를 경험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아이가 새로운 환경을 두려워하면 과거에 성공적으로 새 환경에 적응한 경험을 떠올리며 이번에도‘ 해낼 수 있 다’는 자신감을 심어준다. 킨더가튼에 처음 입학했을 때, 여름 데이캠프를 시작했을 때, 교회나 성당 선데이 스쿨에 갔을 때 등을 상기시켜 주면 도움이 될 것이다. 첫 수업을 듣기 전 아이를 새 학교에 데리고 가서 캠퍼스를 둘러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 전에 다르던 학교와 같은 점, 다른 점은 무엇이고 주변 환경 은 어떤지 살펴보자.
■ 친구를 만들어준다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다. 동네에서 학년이 같은 친구를 사귄 뒤 등·하교 를 함께 하면 아이가 낯선 교육환경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다. 공원 놀이터, 로컬 도서관 등 집에서 가까운 장소에 또래 친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어릴 때 좋은 친구를 만들면 평생 버디로 발전이 가능하다.
■ 방과 후에도 할 일은 있다 학교생활이 전부가 되어서는 안 된 다. 어린이들은 학교 밖에서 하고 싶은 일도 하고 마음껏 뛰어놀아야 한다. 다 양한 활동을 하는 아이들이 공부도 더 잘 하는 법이다.
■‘ 스윗 홈’을 만들어라 어린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서는 밝고 따뜻한 집안환경이 갖춰져 야 한다. 새 학교에서 첫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아이를 위해 간단한 파 티를 열어주는 센스를 발휘해 보자.
■ 클래스룸 봉사자가 되어라 꽤 많은 엄마들이 짬짬이 시간을 내 평일에 학교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한 다. 이를 통해 선생님과도 친해지고 자 녀가 어떤 아이들과 생활하는지 자세 히 엿볼 수 있다. 부모가 학교 돌아가 는 상황을 잘 알면 아이가 적응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 인내심을 갖는다 어린이들이 새 학교에서 적응하려면 5~6주 정도는 걸린다고 교육 전문가들 은 진단한다. 이 기간 부모들이 인내심 을 갖고 아이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 다. 그만큼 시간이 지나도 아이가 친구 가 없다거나, 선생님이 마음에 들지 않 는다고 불평하면 학교 관계자를 만나 상의하도록 한다.
#“부모의 과보호·닥달 불안장애 유발”
■ 수줍음 타는 아이 어떻게 고치나
정규학교에 갓 입학한 자녀가 유난히 수줍음(shyness)을 잘 타는 아이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집에 서 벗어나기만 하면 불편해하고 학교에서도 아이들과 어울리길 꺼려한다. 이런 행동이 나타나면 당연 히 학업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많은 어린이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수줍 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수줍음은 드문 현상이 아니다 일단 수줍음은 보편적인 증상이라고 아이를 안심시킨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매일 수백만 명이 수줍음 때문에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는 다. 하버드 대학이 실시한 연구조사 결과에 따 르면 킨더가튼~8학년 아동의 10~15%는 수줍 음을 심하게 타며 25%는 성격이 활달하며 나 머지는 중간에 속해 있다. 어릴 때 수줍음을 심하게 탄 어린이의 3분의 2는 어른이 되어서도 이 같은 성격이 유지된다 고 전문가들은 밝히고 있다.
■ 심한 경우‘ 불안 장애’도 있어 수줍음은 어린이들에게 흔히 찾아볼 수 있 는 특성이긴 하지만 어떤 아이들은 단순한 수 줍음 차원을 뛰어넘는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증상을 보인다.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우울증으로 증상 이 악화될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필요 하다. 9~17세 어린이 및 청소년의 13%가‘ 불안 장애’에 해당된다.
만약 아이가 ▲사회활동 참여를 거부하는 현상이 오래 지속되고 ▲구토, 말더듬증, 숨을 헐떡거림, 심한 짜증 등의 현상이 나타나면 의 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 예방 및 대응은 자녀에 대한 기대치가 너무 높지 않은지 확 인한다. 수줍음은 유전적인 요소가 크지만 부 모의 양육 스타일 등 환경이 문제가 되기도 한 다. 매사에 아이를 닦달하고 과보호하는 경향 이 심한 부모일수록 자녀가 수줍음 또는 불안 장애에 걸려 있을 확률이 높다. 또한 아이를 형제자매와 자주 비교하며 깎 아 내린다든지, 해야 할 일을 대신 해준다든지,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싫어하는 일을 하 라고 강요하는 등의 행동을 하면 아이에게 전 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1‘. 수줍어하는 아이’로 낙인찍지 말 것 부모 등 주위에서 수줍어하는 아이라고 계 속 말하면 실제로 수줍어하는 아이가 된다. 스 탠포드 대학의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아이에게 레이블을 붙이는 것은 금물 이다. 교사, 친지. 형제자매 등 관계를 막론하고 그 누구든 아이를 수줍은 아이라고 부르지 않도 록 조치한다.
2. 아이의 느낌과 감정에 공감을 표시한다 아이의 긴장상태에 공감을 표시하라. 마음 이 불편한 것을 부모가 잘 알고 있다고 말해주 고 이는 아이의 잘못이 아님을 확인시켜 준다. 부모는 언제든지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고 어 떤 결과가 나오든 끝까지 너의 편이라는 사실 을 강조한다.
3. 워밍업 시간을 정해 실행한다 어떤 어린이들은 사회활동을 하기 전에 워밍 업 타임이 필요하다. 행사나 액티비티 시작 전 여유 있게 도착해서 아이가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뜻하게 격려해 주고 지 나친 통제를 삼가면 수줍음을 타는 아이에게 큰 힘이 될 것이다.
<구성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