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똥에 굴러도 이성(이 세상)이 좋다 라는 말을 가슴에 담고 사는 지, 사람들은 저마다 갓난 아기 헛발질 하듯, 말똥밭 같은 이 세상에서 그저 오래 살아 보겠다고 바둥 바둥 바둥대는 모습을 우리는 어제도 오늘도 끊임 없이 보고 살아가고 있다.
몸에 좋다는 약 한 오큼 입에 털어 넣고, 물 한 모금 마시고는 달구새끼 하늘 쳐다 보듯이 쳐다 보고는 십년은 더 살것 같은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그 뿐인가 헬스크럽에는 늙은이 젊은이 할것 없이 밀려와, 런닝미싱(Running Machine) 위에서 다름질 선수 마냥 땀방울에 흠벅 젖은 억척 군상들이 오늘도 달리고 또 달리고 있다. 그래서 이런 불경기에도 헬스크럽 만은 불항을 타지 않는 가 보다.
벌써 7월이다. 그렇게 질금 질금 내리던 철 그른 비 마져도 내릴 기미도 없다. 그리고 날마다 이어지던 초겨울 같이 차갑던 날씨도 간데 없고, 따갑게 내리 쪼이는 햇살 아래서 내 글방 뒷 창 가의 부켄빌리어(Bougan Villaea) 넝쿨 꽃이 올해도 어김 없이 빨갛게 피어 나, 계절의 흐름을 알려 준다.
이 해도 절반이 지나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시간을 실은 세월이란 이름의 열차가 자꾸만 달려 가고 만 있다. 하지만 우리는 달려 가는 그 기차를 가로 막을 재간이 없다. 그저 세월을 실은 그 기차에 실려 가야 할 뿐이다. 그러면서 우리는 차창 밖에 획획 지나 가는 전봇대나 산과 들을 내다 보면서 그것들이 멀어져 가고 있다는 착각 속에 살아 가고 있는 것이다.
내 고향 통영에서 걸려온 한 통의 전화 ! 그 전화란 우리 중학 동기생 중 생존해 있던 7명 중에서 또 한 친구가 갔다(死亡)는 스글픈 소식의 전화인 것이다. 또 한 친구 최익환군의 죽음! 이는 어쩌면 천상병 시인이 그의 시 귀천(歸天)에서 적었듯이 이 세상 소풍(逍風)을 끝내고 저 세상으로 먼저 간 것인지도 모른다.
익환이! 그는 1949년, 내가 연세대 의예과에 진학했을 때, 경북대 의예과에 진학한, 나와 같은 의학도의 길을 택했던 친구다. 그리고는 그는 나와는 달리, 그 길을 착실하게 밟아 성공한 개업의(開業醫)로써, 또 보건사회부(保社部)의 보건국장으로 관직에도 몸 담았던 친구였다. 그런데 그를 마지막으로 본 것은, 내가 두 번째 수필집 ‘막은 오르고 막은 내리고’ 를 출판했던 1992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이었던 것으로 기억 하고 있다.
나의 수필집 출판을 축하 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통영중학 선배와 내 동기생 10여명이 모인 자리에서 였다. 그 때, 그는 내 수필집을 받아 들고는 "주평이 넌, 네가 좋아 했던 연극과 문학의 길로 갔던 게 오히려 잘 했던 것 같다." 라고 하면서, 나를 쳐다 보던 그의 눈에 잔잔하게 깔렸던 그 미소가 지금껏 내 기억 속에 생생 하게 남아 있다. 그리고 그가 떠나면서 우리 모교인 통영중학과 통고에 1년에 2천만원 씩의 장학금을 내 놓고 간, 그의 보람된 처사(處事)를 전해 들어면서, 나는 내 고향을 위해 그리고 내가 이민 와 사는 이곳의 우리 2세 어린이를 위해 무엇을 남기고 갈 것인가를 곰곰이 생각하게 한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억지로 라도 믿으며 말똥밭 같은 세상에 발 부치고 살아 가고 있는 게 우리들이기는 하지만, 익환군의 죽음에 즈음하여 나도 그가 살다 간 세월만큼 살아 왔지만, 나는 또 한번 내가 살아 온 지난 세월과 앞으로 살아갈 세월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그래도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몰두 했던 내가 요즘 따라, 그 일에서 밀리어 나가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글 쓰는 일과 연극하는 일, 이 두가지 날개로 훨훨 날라온 나 였지만, 이제는 연극이란 날개 쭉지가 꺾이어 버린 이 마당에서의 나 자신은, 어쩌면 날으지 못 하는 한 마리 늙은 새 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 생각하면, 나는 벽 한구석에 걸려있는 색 바래져 가는 초상화(肖像畵) 일는지도 모른다.
늙었다는 것은 희망을 잃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듯이, 내가 이미 늙었다는 사실을 내 자신 깨닫게 됨은, 젊어 한때는 남이 혀를 휘두를 만큼의 패기가 내 몸 속에 휠드엎(Filled up)된 기름 탱크 같이 가득차 있었는데, 이제는 그 용기와 도전정신이 바람 나간 풍선처럼 허물허물 해 졌다는 사실 때문일 것이다.
오늘도 나는 나의 일상적인 생활의 한 부분인 원고지 칸을 매우다 말고 습관적으로 지지개를 켜고는 창문 쪽으로 몸을 돌린다. 레이디오에 끼어 넣었던 카 셋트에서 흘러간 멜로디가 흘러 나온다. 그 곡조(曲調)는 어쩌면 지금 내가 빠져 들고 있는 나의 침체(沈滯)된 생각을 반영하는 듯 한 음률이다.
나는 살며시 눈을 감는다. 그리고는 내 여생이 아름답게 물든 저녁 노을 같이 멋지게 맫읍 짓기를 바라면서 ‘잘 지낸 하루가 편안 한 잠을 가져다 주듯이, 잘 활용한 인생은 평온한 죽음을 가져다 준다’ 는 금언(金言)을 되씹어 보는 것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