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노인은 공원에서 가끔 노부부가 손잡고 걷는 모습에 착잡한 마음이 들었다. 건강이 안 좋아 일찍 가버린 아내 생각이 났다. 떠나기 전 좀더 따듯하게 해주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그때는 왜 그리도 앞만 보고 뛰었을까. 물론 그렇게 뛰었기에 오늘이 있는 것이다. 이젠 하늘도 보고, 뭉게구름도 볼 수 있고, 나무 위로 오르내리는 다람쥐를 보면서 산책을 즐기는 여유도 생겼다. 정 노인의 아내는 가면서 자기의 사랑을 손자들한테 주라고 부탁했다. 한편 정 노인도 아내한테 주지 못한 사랑을 손자한테 곱으로 전해주었다. 이제 손자들이 공부를 마치고 가정을 꾸릴 때까지 살아 있으면 다시 사랑을 줄 마음이다. 정 노인은 요즘 집에서 책 읽고 사색하면서 살아간다.
“이봐요, 늙은이.”
정 노인은 돌아봤다. 웬 늙은 여인네가 연한 핑크 색 츄리닝 복을 입고, 앞창이 넓은 모자를 쓰고 벤치에 앉아 있다. 공원길에서 몇 번 스친 적이 있는 여자 같았다.
“이리와 앉았다 가요.”
여자는 오랜 친구처럼 말을 했다. 정 노인은 서먹서먹한 자세로 벤치에 앉았다.
“이 근방에 살아요?”
여자가 물었다.
“저 아파트 다음 건물에 있어요. 그 쪽은 어디 있소?”
“전, 좀 떨어져 있어요.”
“운전해요?”
“운전하면 이런 후진 곳으로 안 와요.”
“이 공원이 어때서요? 나무도 많고, 넓은 잔디도 있고 얼마나 좋아요.”
“그런데 영감을 뭐라고 부르죠?”
정 노인은 여자를 빤히 쳐다본다. 화장을 곱게 해 그런지 얼굴이 고와 보인다. 돈 많은 집에서 고생을 모르고 살아온 늙은이 같았다.
“정씨니까 정 노인이라 해요.”
“정 노인. 저는 서 씨예요.”
“왜 혼자 산책하시오?”
“그 영감 먼저 가버렸소.”
“사람은 한번 오면 떠나가고, 만나면 헤어지는 것이 우리들의 삶이 아니겠소.”
“그래서 오늘 정 노인을 만난 것 같네요. 그런데 부인은?”
“그 할망구, 이 좋은 세상 천천히 구경하고 갈 것이지. 왜 그리도 빨리 갔는지.”
“그럼 서로 말동무나 해요.”
정 노인은 서 여사와 말동무가 될 수 있을까 하고 탐색하듯이 바라본다.
“정 노인은 자녀가 몇이나 돼요?”
“2남 1녀요. 서 여사는?” 1.
“전, 딸만 여섯이요.”
“이왕이면 칠 공주를 낳지 그랬소?”
“그것도 내 마음대로 안 되던데요.”
“그래도 손자들 보는 재미는 있겠소.”
“난 손자들 안 봐요.”
“안 보다니. 없다는 말이요?”
“손자가 장장 한 다즈하고 셋이나 더 있어요.”
자식이 여섯이니까 그 정도는 되겠다는 듯이 정 노인은 고개를 끄덕끄덕한다.
“손자를 안보는 이유가 뭐요?”
“보기야 보죠. 내가 베이비시터를 안 한다는 거지.”
“서 여사. 우리가 그런 일을 해주므로 가정이 화목하고 즐겁지 않소.”
“내 몸 관리하면서 사는 것이 즐거운 것이지 그들까지 걱정해야 하나요?”
“서 여사! 출가 외인이라고 하지만 다 내 가족이 아니요.”
“난 그런 것 몰라요. 정 노인은 손자를 봐줘요?”
“그럼요. 얼마나 귀여운지 하부지, 하부지 하면서 따라 다니고 온갖 재롱을 부리는 것을 보고 있으면 시간가는 줄 몰라요. 내 자식 키울 때는 몰랐는데 정말 귀엽고 대견해요. 그래서 자식을 보는 것 같아요.”
“정 노인은 자상한 면이 있어 그렇게 잘 하겠네요.”
“서 여사. 이제 옳다 그르다 따져가면서 살 때는 다 지나갔소. 이제 자식들 세대요. 자식들을 바라보면서 따라 가야해요.”
“난 그렇게 못살아요. 내 주장과 권위를 찾아가면서 살아야지.”
“현실은 그렇지 않소. 내가 양보하고 한 걸음 물러서면 가정이 편하고 사회가 편해지는 거요.”
“내 배 아파 가면서 낳아 길렀으면 그만한 보상은 받을 권리가 있다고 봐요.”
“서 여사. 그런 시대는 우리 세대로 끝났소.”
“정 노인은 그렇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난 그렇지 않네요.”
“서 여사. 밥숟가락 놓고 나면 다 소용없소. 태양도 떠 있을 때 빛이 있지만 산 넘어가면 캄캄한 어둠밖에 더 있소.”
“그럼 정 노인은 아직도 손자들을 봐주고 있어요?”
“막내아들의 막내가 대학 들어가면서 독립했소.”
“그만큼 해주었으면 자식들하고 살아야죠.”
“나는 내 일이 있고, 그들은 그들 일하면서 서로 베풀면서 사는 것 아니겠소.”
“난 정 노인처럼 혼자 못살아요.”
“혼자도 못살고, 손자들은 안 봐주고. 그 자식은 슈퍼 우먼이라야 되겠소. 서 여사 서로 도와가면서 살아요.”
“그래요. 난 편하게 살고 있어요.”
“그 편하게 생활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한번 들어봐요.”
“내 먹고싶은 것 먹고, 몸 관리하고, 쇼핑 다니고 그런 거죠.”
“정말 비생산적인 생활을 하네. 건강할 때 손자도 봐주고, 집안 일도 하면 얼마나 좋아요.” 2.
“그런 것은 그들이 할 일이죠.”
“서 여사 보자 하니 먹물은 들은 것 같은데 인성이 없군. 인성 위에 지식이 있어야 되는 것이 아니요?”
서 여사는 아무 말 없이 정 노인을 빤히 쳐다본다.
“저 혹시 교편 생활하지 않았소?”
정 노인이 물었다.
“네. 십이 년이나 했죠. 어떻게 알아요?”
“말들으니까 알 것 같네요. 난 이십 년 했소. 교단을 떠나면서 선생이란 이름도 내려놓고 나와서요.”
“그런데 어디서 했소. 억양이 같은 것 같은데.”
“난 말동무라도 할까했는데 그만 두어야겠소. 위아래가 꽉 막혔으니 원.”
“정 노인. 그것이 무슨 말이요?”
“서 여사처럼 이기적인 사람은 난 싫어하니까요. 쉬었다 가요.”
정 노인은 일어나 산책길을 따라 걷는다. 서 여사는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듯이 멍하니 바라보다 뭐라고 중얼거린다.
“구닥다리 영감이 이런 멋쟁이 할망구를 왜 싫다고 할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