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철(의사,윤동주 문학사상회 워싱턴지부 회장)
여행을 좋아해 그동안 여러 곳을 돌아 다녔고 특히 오스트리아는 아내의 조국이어서 여러 번 갔지만 지난 11월 2일 비엔나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내 마음은 유치원에 다닐 때 창경원으로 소풍을 가던 때처럼 마음이 들떠 있었습니다. 아내도 약간은 흥분해 있었습니다. 전라남도 소록도 병원 김 명호 씨 말씀처럼 “살아 계시는 성모 어머님”을 찾아뵈러 가는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40년 이상을 전남 소록도에서 이 세상으로부터 소외된 ‘한센 씨 병’ 환자들을 돌보시다가 나이 70을 넘어 이제는 당신들이 남의 도움을 받을 나이가 되어 남에게 폐를 끼치기 전에 들고 오신 낡은 여행 가방 한 개씩만 갖고 조용히 소록도를 떠나 그분들의 조국 오스트리아로 돌아가신 마리안네(Marianne)와 마아가렛(Margaret) 두 수녀님을 만나 뵈러 가는 길이었습니다.
아내는 두 분이 좋아하실 것 같은 한국 김과 따뜻한 목도리를 준비했습니다. 저는 서울로 전화해 윤동주 문학사상선양회 박영우 회장께 두 수녀님께 드리기 위해 그분들에 대해 쓴 제 졸작이 실린 서시 2006년 봄 호 두 부만 보내 주시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때 박 회장께서는 아주 놀랍고 반가운 제안을 하셨습니다. 윤동주 문학사상선양회 제2회 평화상 후보로 두 분을 추천을 할 테니 두 분의 승낙을 받는 것은 저의 책임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두 분이 소록도에서 일하실 때 많은 곳에서 상을 드리려고 노력했지만 그 때마다 정중하게 거절하시고 때로는 산으로 도망까지 하셨으며 오스트리아 정부에서 보내 온 훈장도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가 직접 소록도까지 찾아가서 전해 드렸다는 이야기를 잘 알고 있는 저로서는 정말 난감했지만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두 분이 살고 계시는 인스브룩으로 향했습니다. 8시간을 운전해 만나 뵙기로 한 한국음식점에 도착한 것은 약속시간 15분 전이었습니다. 추운 날씨인데도 두 분은 저희보다 먼저 오셔 아직 문도 열지 않은 음식점 앞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이곳에도 우리 한국 분들이 살고 있으며 한국 음식점도 두 곳이나 있다고 했습니다. 버섯 된장국을 맛있게 한다고 추천하셔 모두 버섯 된장국을 주문했는데 두 분이 한사람 분을 갖고 나누어 드셨습니다. 주인에게 물어 보았더니 항상 그렇게 소식을 하신답니다.
특히 마리안네(Marianne) 큰 수녀님은 한국에 계시는 동안 장 수술을 세 번이나 하셔서 아직도 몸이 불편하셨습니다. “한국에서 죽는 날까지 일하고 그곳에 묻히기를 바랐었는데...”하시며 눈물이 글썽거리셨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면서 두 분이 얼마나 많이 한국을 사랑하시고 특히 소록도의 환자들을 잊지 못하고 계시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세살 아래의 마아가렛(Margaret) 작은 수녀님은 연장자 수녀님께 절대 순종이 무엇인가를 세 시간 동안의 대화에서 몸소 보여 주셨습니다.
끝까지 수상을 거절하셨을 때 저의 아내가 수녀님들께서 수상을 해주심으로써 삶의 목적을 잃고 방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삶을 사는 것이 옳은 길인지를 알려 주시기 위해서라도 꼭 허락해 주십사고 간절히 부탁드리면서 수락을 안 하시면 인스브룩에 수락하실 때까지 머물겠다고 위협(?)을 드렸습니다. 한참을 눈을 감고 생각하시던 큰 수녀님이 제 아내의 손을 잡고 조용히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들 사진 등은 절대로 신문에 내지 말고, 주시는 상금은 모두 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운 병원에서 운영하는 호스피스를 선정해 기증해 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멀리까지 온 두 분의 정성을 보아서 소록도의 사랑하는 형제자매의 이름으로 감사히 받겠습니다.”
환자들을 위한 봉사,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소록도에서 오셔서 얼마나 열심히 일하셨는지는 우연히 소록도에 오신지 28년 지난 후 고국에서 가족이 오셔서 작은 수녀님께서 처음으로 섬 밖으로 나오셔서 서울 구경을 하셨다는 얘기를 듣고 진정으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도 없는 4층에 위치한 수녀님 거처는 침실도 따로 없는 조그마한 스튜디오였습니다. 침대도 없으셔서 소파베드로 정성껏 잠자리를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길 건너에 살고 있는 동생 집으로 가셨습니다. 벽에는 예수님 고상과 한지에 붓으로 당신이 쓰신 것 같은 무욕(無慾) 무심(無心) 무상(無常) 등을 한자로 써 붙여 놓으셨습니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두 분이 저희에게 보여주신 교훈은 너무나 가슴에 벅찼습니다. 한참 후 아내가 입을 열었습니다. “우리는 그래도 욕심 안 부리고 사치 안하고 살고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직 멀은 것 같아요”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