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와 관련된 우스개 소리 중에 이런 게 있다. 즉, 나이 들어 은퇴하면 세계적인 명문 대학들로부터 초빙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선택한 학교에 따라 노후가 좌우된다고 한다. 동경(?)대를 가면 동네 경로당에서만 시간을 보내게 되고, 하바드(?) 대를 가면 하는 일 없이 바깥만 들락거리게 되니, 제일 좋은 곳은 바로 예일(?) 대라는데… 이유인즉슨, 예순이 넘어서도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젊은 세대에게는 재미난 농담 정도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중년을 넘어선 이들에게는 그야말로 가슴을 서늘하게 하는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최근 20년 동안 한국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고령 비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8%를 넘어선 수준이다. 인구학에서는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의 비율이 7%가 넘어서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 사회’, 그리고 20%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라고 부른다. 한국의 고령 인구는 2000년에 34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2%를 넘으면서 이미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2018년에는 이 수치가 14%를 넘어 ‘고령 사회’가 되며, 2026년에는 20%를 넘어 인구 5명중 1명이 노인이 되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 한국의 노령인구는 세계적으로 볼 때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넘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해 보면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나게 된다. 프랑스는 115년, 독일이나 미국은 40~70년이 걸렸다. 그리고 지금까지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의 경우 24년이 걸렸다. 과연 한국은 얼마나 걸릴 것인가? 앞서 언급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18년(2000년~2018년)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예상 수치일 뿐이며 출산율이나 평균수명에 따라 약간의 변동폭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략 20년 안팎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거의 확실하며, 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이다.
노인들이 겪는 문제는 크게 역할의 상실, 가난, 고독, 그리고 건강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역할의 상실에 대해 생각해 보자. 현재 평균수명은 계속 늘어나는데 정년은 지난 반세기 동안 거의 그대로이다. 아니 실제로는 정년이 더 단축되는 추세이다. 결국 일자리가 없는 상태에서 보내는 여생이 그만큼 길어지게 되는 셈이다. 산업화, 자동화, 정보화가 진행될 수록 노인들의 역할은 점점 더 줄어들게 되고, 사람들은 더 빨리 노인으로 내몰리게 된다.
역할의 상실은 두 번째 문제인 가난, 즉 경제적인 문제와도 직결된다. 한국에서는 그나마 모아둔 돈이나 퇴직금을 자녀의 결혼 비용으로 써버리기 일 쑤다.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노후를 위해 따로 돈을 모으는 사람들보다는 아무 준비없이 노후를 맞는 사람들이 더 많은 듯 싶다.
18세기 덴마크의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자아 상실에서 비롯된 절망을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불렀다. 노인의 우울증은 젊은이 보다 더 쉽게 마음의 병이 될 수 있고, 이는 신체적 건강의 문제로 직결 될 수 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제 때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문제는 더 악화된다. 결국 이러한 의료비용을 개인이 아닌 국가가 사회복지정책을 통해 감당하고자 할 때 고령 사회가 갖게 되는 큰 사회적 부담이 생기게 된다.
70이란 나이가 나한테만큼은 결코 다가오지 않을 먼 훗날의 얘기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내가 70이 되었을 때 내 주변 세대들이 대부분 살아있다고 한번 상상해보자. 물론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그런 상황에서 사회의 노인 비율은 과연 얼마나 될까? 그 때 사회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 가령 지하철에 경로석이 따로 있을 필요도 없지 않을까? 나와 시대를 같이한 정겨운 형제 자매들이, 친구들이 나의 바램처럼 다들 행복하게 노년을 보낼 수 있을까? 나의 모습은 어떠한가? 그 때를 대비해 지금 나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또 국가는 ‘우리의 일흔’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우리의 일흔’은 국가만의 고민이 될 수 없다. ‘우리의 일흔’ 전에 당장 나의 일흔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내 일’로서 관심을 갖고, 다같이 사회의 고령화에 대한 진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오종남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