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대만 전쟁나면 한국 말려들 수도…
중동분쟁까지 투입 가능하게 주한미군→신속가동군 탈바꿈
中·美분쟁 한반도 영향없을 것 우리軍은 대수롭게 생각안해
2010년 모월 모일. 갑작스레 중국과 대만 관계가 악화하더니 중국이 대만을 향해 포문을 연다. 양안(兩岸)관계가 심상찮게 돌아가는 모습을 주시하고 있던 미군은 이미 대만 해역에 출동시킨 미7함대 소속의 항공모함 전투단에 발포 명령을 내린다.
인민해방군의 상륙을 막기 위해서다. 이어 대만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일본 오키나와(沖繩)에 주둔하고 있는 18전투비행단 투입을 결정하고 미 해병원정군에도 출동대기령을 내린다.
중국이 공격용 핵잠수함과 전략미사일까지 동원해 미군을 위협하자 미 태평양사령부는 급기야 군산과 오산에 주둔하고 있는 미7공군과 주한 미2사단 지상군 병력도 투입한다는 내용을 한국 정부에 통보한다. 중국은 한국과 일본이 미군의 발진기지로 사용됐다며 발끈하면서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 대한 타격 명령을 내려 순식간에 동북아 전체가 분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든다.
동북아 안보의 핵이 된 주한미군
현실화해선 안될 가상에 불과하지만 이는 2004년 한반도에 주둔하던 미2사단 병력 일부가 이라크 전장으로 빠져나간 뒤 불거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한반도 이외 지역으로의 투입) 논란’의 배경이 된 시나리오다. 참여정부는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해외주둔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주한미군이 동북아 분쟁에 개입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주한미군이 폭발성 강한 동북아 분쟁에 휘말릴 경우 위의 시나리오처럼 한반도의 안보도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일 한미 장관급 전략대화에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허용한다고 합의함에 따라 악몽 같은 시나리오가 심각한 안보 현안으로 떠올랐다.
미국은 주한미군의 변화를 동북아 분쟁 개입으로 바로 연결시키는 데는 아직 동의하지 않고 있다. 중국의 반발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중국은 미국이 양안관계에 개입하는 기미만 보여도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미국이 한국 영토를 출격 기지로 사용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주한미군이나 주일미군의 개입에 대해 틈만 나면 경고음를 울리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산둥(山東)반도에서 러시아와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을 벌임으로써 한미일 3각 동맹을 겨냥한 무력 시위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주한미군을 동북아뿐 아니라 중동 분쟁에까지 투입할 수 있는 신속기동군으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을 오래 전부터 해 왔다. 지난해 미래형 전투사단(UEx)으로 변모시킨 미2사단이 대표적인 사례. 미2사단 UEx는 군단과 사단의 중간 규모인 지휘 부대로 보병 항공 기갑 등 화력과 기동성이 한층 증강된 실제 전투부대(UA)를 지휘하게 된다.
개편된 미2사단에 배속된 중무장 전투여단의 경우 전차ㆍ포병ㆍ정보부대를 통합해 이전의 사단급 규모의 화력을 보유하게 됐다. 미2사단을 작지만 강한 신속기동군으로 바꾼 것은 한반도 방어군으로만 활용되던 주한미군의 기능 및 전략 변화로 읽힌다.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은 수시로 주한미군은 더 이상 단일목적(한반도에서의 대북 억지력)으로 한반도에 주둔하지 않는다고 강조, 이 같은 변화를 예고하기도 했다.
우리 군은 대수롭지 않은 변화
군 당국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몰고 올 파장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분위기다. 군 고위관계자는 전략적 유연성은 전세계 분쟁에 효율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미군의 개념이라며 주한미군에 특정 임무(동북아분쟁 개입 등)가 부여되는 상황과는 상관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의 전쟁은 동맹국 대 동맹국이 싸우는 과거의 전쟁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될 것이기 때문에 중국과 미국의 전쟁에 한반도가 영향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주한미군에 전략적 유연성을 허용함으로써 한미 군사동맹에는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우선 주한미군을 한반도 이외의 작전에 투입시킴으로써 주한미군사령관을 겸하고 있는 한미연합사령관의 작전지휘권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이는 한반도에 국한시킨 연합지휘체계의 의미가 훼손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한미연합지휘체계를 독자적인 지휘체계로 분리하고 상호 협조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미 양국은 연합지휘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문제’를 논의하는 중이어서 한미 군사동맹의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김정곤 기자 jkkim@h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