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극작가 주 평
그 나그네가 걸어가는 길목에는 두 갈래 길이 뻗쳐 있었다. 그런데 그는 탄탄한 대로(大路)로 가지 않고 돌부리 투성이인 오솔길로 걸어가고 있었다. 왜 그랬을까? 그 길이 비록 험한 길일망정, 그 길이 맞닿은 고개 너머 마을에는 행복이란 열매가 열린 신비한 나무 한 그루가 서 있을 거라는 동화적(童話的)인 환상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 나그네가 70여 평생을 걸어온 그 오솔길 너머 마을에 과연 행복의 열매가 열린 신기한 나무가 서 있었을까?
6월이 오면 나는 내가 겪은 6.25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 해 이후에 내가 걸어온 내 인생여정의 돌짝길을 되돌아 본다. 그 날은 나로 하여금 그 나그네와 같이 두 갈래 길 앞에 서게 한 시발의 날이기도 하다.
6.25! 그 날 나는 국립극장 무대에서 공연되고 있던 뇌우(雷雨)라는 연극을 관람하고 있었다. 그런데 개구리 해부를 위해 메스를 들고 해부학 교실에 있어야 할 의학도인 내가 왜 그 시각에 국립극장 객석에 앉아 있었을까? 뭐가 잘못 되어도 크게 잘못된, 아니 앞으로의 내 인생 역정에 있어서 잘못 전개될 미래를 내 스스로 짐작 못하고 그저 그렇게 연극에 빨려 들어 객석에 앉아 있었는지 모른다.
중국의 유명한 극작가 조우(曺禹)가 쓴 뇌우, 극중의 주인공인 중국 상류사회 가정의 장남인 주 평(周萍 후일 내가 고향에서 이 연극의 주인공으로 공연하여 내 필명 朱萍이 되어 버렸지만)과 하인의 딸인 사봉(四鳳)과의 이루어지지 못할 애정관계! 그리고 그의 아버지의 후처인 젊고 예쁜 <번계>란 여인의 주평에 대한 연정! 이야말로 한 집 안에서 벌어지는 뒤죽박죽인 애정문제를 다룬 작품인 것이다. 어쩌면 이는 그 날 6.25 이후에 내 생애에서 꼬이고 꼬인, 또 내가 방향감각을 잃고 기로에서 허둥대는 내 인생의 숙명적인 앞날을 그 뇌우 무대를 통해 보고 있었는지 모른다.
연극이 한참 무르익고 있을 때, 갑자기 막이 내려지고, 극장의 안내방송을 통해 흘러 나온 아나운서의 다급한 목소리! 오늘 새벽 3 . 8선을 넘어 온 인민군이 서울을 향해 진격하고 있으니 빨리 귀가하라는 독촉의 방송이 극장 안에 거듭 울려 퍼지고 있었다. 그러자 연극에 몰입 되어 있던 관객들은 선잠을 깬 듯 휘청거리는 발걸음으로 극장 밖으로 빠져나갔다. 정말로 예기치 못한 이 돌발사는 무대 위에서 펼쳐지고 있는 가상(假想)의 스토리가 아닌 현실이었다.
나는 극장을 나와 한강철교 근처에 있는 하숙집으로 가기 위해 광화문에서 노량진 행 전차를 집어 탔다. 멀리서 들려오는 포성을 귓전으로 들으며 전차 차창을 통하여 나는 우왕좌왕하는 서울 시민의 물결을 내다보고 있었다.
인민군 치하(治下)에서 숨어 지낸 두 달! 후리 치기 식 강제모병으로 인민군에 의해 끌려가 의용군이 된 많은 젊은이들!
8월도 중반에 접어 들었을 때, 나는 의용군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 한 가지 묘책(妙策)을 생각해 내었다. 그 묘책이란 서울을 빠져나가 내 고향이 있는 남쪽으로 안전하게 내려가는 방법이었다. 그래서 나는 한강교통병원에서 폐병 말기의 가짜 X레이 (남의 것) 사진 한 장을 그 병원의 아는 의사를 통해 손에 넣었다. 그리고 내가 숨어 자냈던 동네인 정릉인민위원회로 가서, 가지고 간 X레이 사진을 내밀고는 폐병 요양차 남쪽으로 피난하게 해 달라고 애원했다. 그래서 피난증을 발급 받은 나는 그날로 남향 길에 올랐다. 내 앞에는 국도(國道)라는 대로가 뻗어 있었다.
하지만 나는 그 길로 걸어가지 못하고 산길을 타고 걸어갈 수 밖에 없었다. 국도에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쌕쌕이>란 미군 전투기가 날라와 인민군의 진군을 막기 위해 기총소사를 가하고 있었기 때문에서였다. 그리하여 천리 길을 걸어 서울을 출발한지 두 달 만에 나는 고향의 부모 품에 안기는 기적 같은 행운을 안았다. 하지만 나와는 달리 의용군과 학도병에 끌려가 죽어간 내 또래의 젊은이와 친구들의 죽음들이 내 가슴을 짓누르고 있었다. 나는 나의 기지로 목숨을 건진 후에도 험한 산길을 타고 피난길을 걸어갔듯이 의사의 길을 가지 않고, 그 시절 생활을 보장 받지 못하는 연극의 길 그것도 황무지 같은 아동극 분야에 발을 담그고 말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 가족은 이 황무지를 개간하느라 무진 고생을 했다. 그러나 우리는 그 힘든 일을 끝내 견뎌내지 못하고 패잔병 같이 반 봇짐을 싸 짊어 지고 이 미국 땅으로 옮겨 와 버렸던 것이다.
그리하여 28년!
이 6월에 나는 생각해 본다. 6. 25가 나로 하여금 아동극분야라는 험난한 길을 가게 했지만, 그래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평생을 두고 후회 없이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지 않았나 하고... 그렇다면 그 나그네는 그가 걸어간 그 오솔길 너머 마을에서 행복의 열매나무를 찾은 걸까? 그런데 나와는 달리 대로인 의사의 길로 걸어간 다른 나그네는 지금 얼마만큼의 행복한 여생을 보내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