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물질의 풍요와 정비례하지 않는다. 행복은 마음의 풍요와 정비례한다. 계미(癸未)년 새해를 맞아 올 한해 마음의 풍요를 구가하며, 진정한 행복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봄도 괜찮을 게다. 물질은 편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물질은 마음을 순간적으로 기쁘게 할 수는 있다. 그러나 물질은 마음을 항상 즐겁게 해 줄 수는 없다.
여기서 얘기된 물질이란 우리가 늘 사용하는 돈과 사용품 및 부동산 등이 해당된다. 여기엔 집도, 자동차도 포함된다. 돈이 많아 아무리 좋은 집과 좋은 자동차를 갖고 살아도 마음이 풍요롭지 못해 불안한 사람은 진정 행복한 사람이 아니다. 작은 집과 그냥, 그런 자동차를 갖고 살아도 마음이 풍요로우면 그는 진정한 행복자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어떻게 마음을 풍요롭게 가질 수 있냐 하는 것이다.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 첫 번째 방법은 욕심을 줄이는 것이다. 쉬운 일 같지만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다. 욕심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욕구라고도 할 수 있다. 사실 욕구는 인간의 본능에 속한다. 이 본능을 자제하려면 그만한 노력이 필요하다.
욕구를 줄이는 방법 중 하나는 현재에 감사하는 것이다. 현재 내가 갖고 있는 것에 감사하는 것이다. 현명한 것 같기도 하나 잘못 해석하면 바보 같기도 한 생각이다. 혹자는 “현재에 감사하면 미래에 발전이 없지 않냐?”고 질문할 수도 있다. 맞다. 그러나 ‘현재에 감사함’이란 ‘현재에 안주함’과는 다른 뜻이다.
현재에 안주함은 꿈도 미래도 없는 삶이 될 수 있다. 현재에 감사함이란 미래와 꿈을 가진 상태에서 주어진 현재를 감사함이다. 건강하면 건강에 감사하는 것이 현재에 감사함이다. 직장이 있으면 직장에 감사하는 것이 현재에 감사하는 것이다. 하루 세끼 밥 먹을 수 있고 돈 꾸러 다니지 않는다면 현재에 감사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현재에 감사할 일은 많다. 기회를 잘 사용하면 성공할 수 있는 나라가 미국이다. 그런 미국에 사는 것 자체에 감사함이 현재에 감사함이다. 자녀들은 미국에서 교육받고 좋은 직장을 잡을 수 있다. 자녀에 대한 미래도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보다 더 잘 살 수 있는 보장이 된다. 이것에 감사함도 현재에 감사함이다.
작은 것에 감사할 줄 알아야 큰 것에도 감사하게 된다. 눈에 보이는 감사 외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자산에도 감사할 줄 알아야 현재에 감사하는 것이다. 뉴욕은 공기가 좋다. 물도 좋다. 공기 좋고 물 좋은 곳에 사는 것을 감사함도 현재에 감사하는 것이다. 뉴욕의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은 물세(水稅)도 내지 않는다. 작은 것 같지만 감사할 수 있다.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 두 번째 방법은 ‘나’를 ‘남’과 비교하지 않는 것이다. 선의의 경쟁을 통해 나와 남을 비교함은 좋다. 발전적이고 긍정적이다. 하지만 질투로, 자신 없음으로 인해 나와 남을 비교해 열등의식 속에 빠진다면 이보다 더 불행한 사람은 없다. 복제인간이 탄생된다 하더라도 ‘나’는 ‘나’지 절대 ‘너‘는 될 수 없다.
이렇듯 ‘나’라고 하는 희귀성(稀貴性) 속에 ‘나’만이 갖고 있는 독특성(獨特性)을 가미시켜 최고의 가치성(價値性)이 자신 속에 잠재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잠재해 있는 그 귀한 것을 발굴해 내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발굴해 내는 방법은 책을 통해서, 명상을 통해서, 가르침을 통해서, 실패를 통해서도 발굴해 낼 수 있다.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이란 속담이 있다. 아니다. ‘잘되어도 제 탓이요 못되어도 제 탓’이다. 조상 탓 할 필요가 없다. 자신의 타고남을 비관할 필요도 없다. 바보들이나 하는 짓이다. 남의 잘못됨이 나의 행복이 아니요 남의 잘됨이 나의 불행도 아니다. 자신이 얼마나 열심히 사느냐에 따라 자신의 생은 변화되고 발전한다.
문제는 다른 곳에 있지 않다. “비교하지 않겠다” 해놓고 뛰어넘지 못하는 자신의 부족함에 문제는 있다. 그러기에 마음 수양이 필요하다. 의식구조를 개조시켜야 할 필요성이 여기서 제기된다. 마음의 풍요로움을 안겨줄 또 다른 방법 중 하나에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을 해봄”도 좋다. 지난 과거 고생할 적 생각도 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를 감사하는
것이다.
나와 남을 비교하지 않아 스스로 행복할 수 있다면 정말 좋다. 물질의 풍요로움보다 마음의 풍요로움을 바라며 살 때 작은 가슴 적셔줄 진정한 행복은 올 것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